1. 생애
가네코 마코토는 1975년 11월 8일 지바현 아비코시에서 태어났다.
1.1. 유년기 및 학창 시절
가네코 마코토는 조소가쿠인 고등학교에서 야구 선수로 활동하며 고시엔 대회에 춘계와 하계 대회를 합해 총 3차례 출전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주로 유격수를 맡았다. 3학년이던 1993년 여름, 제75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 준결승전에서 도이 요시히로가 소속된 가스카베 공영고등학교에게 패했지만, 이 대회에서 모든 경기에 걸쳐 안타를 기록하며 뛰어난 타격 능력을 선보였다.
1.2. 프로 입단
1993년 가을에 열린 일본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닛폰햄 파이터스로부터 3순위 지명을 받고 프로에 입단했다.
2. 선수 경력
2.1.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시절
가네코 마코토는 1994년부터 2014년까지 닛폰햄 파이터스 소속으로 활약하며 팀의 핵심 내야수로 자리매김했다.
2.1.1. 데뷔 및 초기 성과 (1994-2001)
프로 입단 첫 해인 1994년에는 1군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고 2군에서 경험을 쌓았다. 이듬해인 1995년 4월 2일,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와의 경기에서 이가라시 신이치의 대주자로 출전하며 프로 데뷔를 이뤘다. 같은 해 10월 3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와의 경기에서는 8번 타자 겸 2루수로 선발 출전하여 첫 안타를 기록했다.
프로 3년 차인 1996년에는 주전 2루수로 발돋움하여 타율 .261과 퍼시픽 리그 최다인 38개의 희생 번트를 기록했다. 이러한 활약을 인정받아 그 해 퍼시픽 리그 신인왕으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고등학교 선배인 니시 도시히사가 센트럴 리그 신인왕을 수상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1997년에는 개인 통산 첫 두 자릿수 홈런인 12개와 타율 .277을 기록했다. 이 해에는 골든 글러브상 수상에 1표 차이로 아쉽게 실패했지만, 이듬해인 1998년과 1999년에는 2년 연속으로 2루수 부문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하며 뛰어난 수비력을 인정받았다. 1999년에는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전 경기에 출장했다. 2000년에는 타율 .231로 다소 부진했으나, 2001년에는 다시 타율을 끌어올리고 2년 만에 전 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1997년부터 2001년까지 5년 연속으로 2루수 수비율 1위를 기록하며 퍼시픽 리그 타이 기록을 세웠다.
2.1.2. 포지션 변경 및 중반기 활약 (2002-2009)
2002년, 기존의 주전 유격수였던 다나카 유키오가 3루수로 포지션을 변경함에 따라 가네코 마코토는 유격수로 전환했다. 이 해 그는 타격에서도 타율 .285를 기록하며 좋은 모습을 보였고, 평소 형처럼 따르던 가타오카 아쓰시가 한신 타이거스로 이적하면서 그의 등번호 8번을 물려받았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는 타격 부진을 겪으며 눈에 띄는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그러나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팀 동료인 오가사와라 미치히로와 함께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2005년에는 당시 트레이 힐만 감독으로부터 낮은 출루율을 지적받고, 신인 외국인 선수 에릭 알몬테에게 주전 유격수 자리를 내주며 시즌을 2군에서 시작했다. 하지만 알몬테의 부진으로 5월에 1군에 복귀하여 다시 주전으로 활약했다. 시즌 종료 후에는 삿포로 그랜드 호텔에서 열린 선수 디너쇼에 출연하여 팬들과 소통하며 팬층 확대에 기여했다.
2006년에는 닛폰햄 선수회장으로 취임했다. 주로 9번 타자로 출전하여 팀의 퍼시픽 리그 우승과 2006년 일본 시리즈 우승에 크게 공헌했다. 주니치 드래건스와의 일본 시리즈 2차전에서는 7회 초 야마모토 마사로부터 역전타를 터뜨렸고, 그 이닝에서는 1사 1, 2루의 위기에서 대타 다쓰나미 가즈요시의 어려운 타구를 호수비로 잡아 2루 포스 아웃을 만들어냈다. 5차전에서는 5회 말 가와카미 겐신을 상대로 절묘한 스크이즈 번트를 성공시켜 동점을 만들었다. 이 해 2006년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부터는 아사기색 손목 밴드를 착용하기 시작했다.
2007년에는 팀의 주장으로 임명되었다. 시즌 초반 팀 타선 전체가 부진한 가운데서도 가네코의 타격은 호조를 보여 한때 클린업 트리오에 배치되기도 했으나, 주로 9번 타자로 활약했다. 타율은 .243으로 리그 최하위였지만, 득점권 타율은 .285를 기록하며 팀 내 3위인 53타점을 올렸다.
2008년에는 시즌 초부터 타격 부진과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9월 이후 회복세를 보였다. 하지만 타율과 홈런 개수는 전년도보다 더 낮았다. 시즌 종료 후 유격수 니오카 도모히로가 트레이드로 닛폰햄에 이적하자, 가네코는 경쟁심보다는 '자신답게' 플레이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2009년에는 선수회장 자리를 후배 다나카 겐스케에게, 주장 자리를 이나바 아쓰노리에게 넘겨주었다. 4월에는 7일 지바 롯데 마린스전부터 15일 오릭스 버펄로스전까지 일본 프로 야구 신기록인 7경기 연속 2루타를 기록했다. 또한 4월 월간 타율 .423을 기록하며 퍼시픽 리그 월간 MVP(야수 부문)에 선정되었다. 이는 프로 16년 차에 첫 월간 MVP를 수상한 것으로, 1992년 가네이시 아키히토의 14년 차 기록을 경신하며 월간 MVP 제정 이후 퍼시픽 리그에서 가장 늦게 첫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최종적으로 1997년 이후 처음으로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했으며, 개인 통산 처음으로 3할대 타율을 달성했다. 그는 개인 통산 세 번째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는데, 이전 두 번은 2루수 부문이었고 유격수 부문에서는 처음이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12월 10일에는 개인 통산 첫 1.35 억 JPY를 넘는 추정 연봉으로 계약을 갱신했다. 이는 17년 차에 1억 엔을 돌파한 것으로, 닛폰햄 구단 역사상 가장 늦은 기록이었다.
2.1.3. 후기 경력 및 은퇴 (2010-2014)
2010년에는 아킬레스건 통증과 고관절 통증으로 인해 2군에서 시즌을 시작했다. 이후 1군에 복귀하여 77경기에 출전했으나, 우측 비복근 근육 좌상(2도) 진단을 받는 등 거듭된 부상으로 인해 시즌을 일찍 마감했다.
2011년에는 부상 관리를 위해 이이야마 유지, 이마나미 다카히로 등과 번갈아 출전하며 한 번도 2군에 내려가지 않고 시즌을 완주했으나, 타격 및 수비 성적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2012년에는 부상으로 인한 이탈이 있었지만, 3년 만에 100경기 이상 출전하며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하지만 타율은 2할대 초반에 머물렀고, 1995년 이후 처음으로 홈런을 기록하지 못했다. 시즌 종료 후에는 왼쪽 대퇴골 연골 손상으로 3개월 진단을 받고 골천공술을 받았다.
2013년에는 수술 후 재활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았고, 그 사이에 나카시마 다쿠야의 성장과 오릭스 버펄로스의 주전 유격수였던 오비키 게이지가 트레이드로 영입되면서 1군 정착 후 가장 적은 32경기 출장에 그쳤다. 타격에서는 56타석에서 18삼진을 당하며 타율 .200, 홈런 0개로 부진했고, 수비에서도 주로 2루수를 맡았으나 2루수 수비율이 .927로 낮아 공수 양면에서 아쉬운 시즌을 보냈다.
2014년에도 젊은 선수들의 성장에 밀려 전년도보다 더 적은 17경기 출장에 그쳤으며, 타율도 .143에 머물렀다. 9월 27일 현역 은퇴를 공식 발표했고, 10월 1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와의 경기에서 9번 유격수로 선발 출전하며 은퇴 경기를 치렀다. 경기 후에는 성대한 은퇴식이 열렸다.
2.2. 국제 대회 참가
가네코 마코토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야구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동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 이 공로로 지바현 지사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3. 지도자 경력
선수 은퇴 후 가네코 마코토는 다양한 코치 역할을 수행하며 지도자로서의 경력을 이어갔다.
3.1. 닛폰햄 파이터스 코치
2014년 11월 25일, 가네코 마코토는 2015년 시즌부터 닛폰햄 파이터스 팀 총괄 본부 특명 코치로 부임한다고 발표되었다. 그는 닛폰햄과 업무 제휴를 맺고 있는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서 코치 연수를 받으며 야구 유학을 했고, 일본 귀국 시에는 지도에도 참여했다. 프런트 스태프의 일원이었지만, 코치로서는 비상근으로 트레이 힐만과 나시다 마사타카 전 감독들이 사용했던 등번호 88번을 부여받았다. 또한, GAORA와 삿포로 지역 민영 방송국의 파이터스 중계 해설자로도 출연했다.
2016년에는 1군 타격 코치로 보직이 변경되어 정식 코칭스태프가 되었다. 이후 2018년에는 1군 내야 수비 코치, 2019년에는 1군 타격 수석 겸 작전 코치를 역임했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는 1군 야수 종합 코치, 2022년에는 1군 야수 종합 코치 겸 타격 코치를 맡았다. 2022년 시즌을 끝으로 계약 만료에 따라 닛폰햄을 떠났다.
3.2. 야구 국가대표팀 코치
닛폰햄 코치로 재직하는 동안 2017년부터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코치도 겸임했다. 2017년에는 2017 아시아 프로 야구 챔피언십의 헤드 코치를 맡았다. 2018년에는 'ENEOS 사무라이 재팬 시리즈 2018'과 '2018 미일 야구'의 헤드 코치를 역임했다. 2019년에는 'ENEOS 사무라이 재팬 시리즈 2019'와 '2019 WBSC 프리미어 12'의 헤드 겸 타격 코치를 맡았다. 2021년에는 2020년 도쿄 올림픽 야구 국가대표팀의 헤드 겸 타격 코치로 활동하며 팀의 금메달 획득에 크게 기여했다.
2022년 11월 24일, 2023년부터 지바 롯데 마린스의 전략 코치로 부임한다고 발표되었다. 지바 롯데에서도 등번호 88번을 사용한다.
4. 개인사 및 특징
4.1. 개인사 및 가족
가네코 마코토의 별명으로는 '맥'(マック일본어)', '마코'(マコ일본어)', '네코', '상담역' 등이 있다.
입단 초기에는 팀 내에 동명이인인 가네코 다카히로가 있었기 때문에 '가네코 마코토'로 표기되었다. 1996년 시즌 종료 후 가네코 다카히로가 은퇴하자 10시즌 동안 '가네코'로 표기되었으나, 2006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가네코 요헤이가 입단하면서 다시 '가네코 마코토'로 표기되기 시작했다. 2009년 가네코 요헤이가 은퇴했지만, 이후에도 신문 등에서는 계속 풀네임으로 표기되었다.
가네코 마코토의 아내는 전 TV 아사히 스포츠 기자이자 뉴스 캐스터였던 시라키 사야카이다.
4.2. 선수로서의 특징
가네코 마코토는 1996년부터 2001년까지 2루수, 2002년부터 2012년까지 유격수로서 닛폰햄 내야진의 핵심을 담당했다. 특히 다나카 겐스케와의 이루간 수비는 야마다 히사시로부터 "12개 구단 중 최고라고 불리는 주니치의 아라키 마사히로와 이바타 히로카즈에 뒤지지 않는다", "가네코는 이바타 이상이다. 어깨가 강하고 송구가 흔들리지 않는다. 수비 위치도 가네코가 더 뒤에 있어서 수비 범위도 넓고, 그만큼 깊은 삼유간에서 땅볼을 잡아도 노바운드로 던져 아웃시킬 수 있다"는 극찬을 받았다.
Full-Count에 따르면, "2루수 시절과 유격수 시절을 합쳐 가네코가 줄인 실점은 RRF(Runs Reduced by Fielding) 계산으로 243.5점에 달한다"고 평가될 정도로 역사에 길이 남을 명수비수였다.
5. 수상 및 기록
5.1. 주요 수상 경력
- 신인왕: 1회 (1996년)
- 베스트 나인: 1회 (2루수 부문: 1999년)
- 골든 글러브상: 3회
- 2루수 부문: 1998년, 1999년
- 유격수 부문: 2009년
- 월간 MVP: 1회 (야수 부문: 2009년 4월)
- 도쿄 돔 MVP: 1회 (1997년)
- 삿포로 돔 MVP (야구 부문): 1회 (2009년)
- 삿포로 돔 MVP 특별상: 1회 (2006년)
- 삿포로 돔 MVP 공로상: 1회 (2014년)
- 베스트 파더 옐로 리본상 프로 야구 부문: 1회 (2009년)
- 지바현 지사상: 1회 (2004년) - 아테네 올림픽 야구 일본 대표팀 동메달 획득 공로
5.2. 개인 기록
5.2.1. 첫 기록
- 첫 출장: 1995년 4월 2일, 대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2차전(후지이데라 구장), 9회 초 이가라시 신이치의 대주자로서 출장
- 첫 선발 출장: 1995년 10월 3일, 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13차전(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8번·2루수로서 선발 출장
- 첫 안타: 상동, 7회 초 오노 가즈요시로부터
- 첫 타점: 1996년 4월 12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1차전(도쿄 돔), 7회 말 에릭 힐만으로부터
- 첫 도루: 1996년 4월 17일, 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4차전(후쿠오카 돔), 8회 초 2루 안착 (투수: 우치야마 도모유키, 포수: 요시나가 고이치로)
- 첫 희생타: 1996년 5월 2일, 대 세이부 라이온스 5차전(도쿄 돔), 6회 말 가토리 요시타카로부터
- 첫 홈런: 1996년 5월 5일, 대 긴테쓰 버펄로스 6차전(후지이데라 구장), 8회 초 이케우에 고이치로부터 솔로 홈런
5.2.2. 마일스톤 달성 경력
- 통산 1000경기 출장: 2004년 4월 6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2차전(지바 마린 스타디움), 9번·유격수로서 선발 출장 ※역대 391번째
- 통산 1000안타: 2005년 8월 23일, 대 세이부 라이온스 15차전(인보이스 세이부 돔), 7회 초 오누마 고지로부터 중전 안타 ※역대 236번째
- 통산 200희생타: 2007년 8월 14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5차전(후쿠오카 야후! 재팬 돔), 8회 초 와다 쓰요시로부터 ※역대 27번째
- 통산 1500경기 출장: 2008년 8월 18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9차전(후쿠오카 야후! 재팬 돔), 9번·유격수로서 선발 출장 ※역대 162번째
- 통산 250희생타: 2010년 6월 5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4차전(도쿄 돔), 6회 초 위르핀 오비스포로부터 투수 앞 희생타·야수 선택 ※역대 12번째
- 통산 1500안타: 2011년 4월 20일, 대 오릭스 버펄로스 2차전(홋토못토 필드 고베), 7회 초 고바야시 마사히데로부터 좌익선상 적시 2루타 ※역대 107번째
5.2.3. 기타 기록
- 5년 연속 수비율 1위: 1997년 ~ 2001년 (2루수 부문 퍼시픽 리그 타이 기록)
- 1경기 5삼진: 1997년 6월 14일, 대 세이부 라이온스 13차전(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역대 8번째 (퍼시픽 리그 4번째)
- 1경기 유격수 최다 11보살: 2004년 7월 6일, 대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14차전(삿포로 돔), 8회 초 수비 및 2012년 4월 12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차전(후쿠오카 야후! 재팬 돔)에 기록
- 7경기 연속 2루타: 2009년 4월 7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1차전(도쿄 돔)부터 4월 15일, 대 오릭스 버펄로스 2차전(삿포로 돔)까지 달성. 이는 2024년 6월 30일 오카 히로미에 의해 기록이 경신되기 전까지 일본 프로 야구 신기록이었다. 현재는 곤도 겐스케와 함께 역대 2위 기록이다.
- 올스타전 출장: 3회 (2002년, 2004년, 2009년)
5.2.4. 통산 성적
연도 | 소속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자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95 | 닛폰햄 | 4 | 6 | 6 | 0 | 2 | 1 | 0 | 0 | 3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333 | .333 | .500 | .833 |
1996 | 117 | 465 | 395 | 50 | 103 | 14 | 2 | 4 | 133 | 33 | 15 | 2 | 38 | 4 | 25 | 0 | 3 | 67 | 5 | .261 | .307 | .337 | .644 | |
1997 | 134 | 604 | 513 | 80 | 142 | 18 | 2 | 12 | 200 | 53 | 13 | 9 | 36 | 5 | 46 | 0 | 4 | 91 | 10 | .277 | .338 | .390 | .728 | |
1998 | 127 | 442 | 380 | 53 | 100 | 10 | 2 | 4 | 126 | 26 | 11 | 3 | 20 | 0 | 40 | 0 | 2 | 42 | 7 | .263 | .336 | .332 | .668 | |
1999 | 135 | 473 | 416 | 56 | 114 | 17 | 3 | 3 | 146 | 29 | 4 | 6 | 18 | 0 | 38 | 0 | 1 | 65 | 11 | .274 | .336 | .351 | .687 | |
2000 | 113 | 445 | 402 | 53 | 93 | 12 | 1 | 3 | 116 | 31 | 12 | 4 | 15 | 0 | 26 | 1 | 2 | 40 | 5 | .231 | .281 | .289 | .570 | |
2001 | 140 | 559 | 501 | 57 | 127 | 22 | 2 | 8 | 177 | 56 | 9 | 9 | 10 | 4 | 38 | 3 | 6 | 65 | 4 | .253 | .311 | .353 | .665 | |
2002 | 104 | 434 | 393 | 46 | 112 | 19 | 3 | 6 | 155 | 29 | 9 | 4 | 17 | 1 | 19 | 1 | 4 | 44 | 2 | .285 | .324 | .394 | .718 | |
2003 | 117 | 409 | 373 | 42 | 91 | 19 | 2 | 3 | 123 | 33 | 8 | 6 | 6 | 5 | 22 | 2 | 3 | 61 | 10 | .244 | .288 | .330 | .618 | |
2004 | 109 | 372 | 332 | 42 | 85 | 15 | 1 | 3 | 111 | 39 | 5 | 2 | 6 | 2 | 28 | 0 | 4 | 86 | 7 | .256 | .320 | .334 | .654 | |
2005 | 79 | 230 | 208 | 19 | 50 | 9 | 1 | 4 | 73 | 24 | 2 | 2 | 8 | 1 | 13 | 1 | 0 | 33 | 3 | .240 | .284 | .351 | .635 | |
2006 | 126 | 439 | 393 | 44 | 100 | 26 | 3 | 6 | 150 | 40 | 7 | 1 | 15 | 4 | 24 | 3 | 3 | 63 | 5 | .254 | .300 | .382 | .681 | |
2007 | 132 | 470 | 419 | 34 | 102 | 15 | 4 | 4 | 137 | 53 | 9 | 5 | 20 | 0 | 27 | 0 | 4 | 78 | 9 | .243 | .296 | .327 | .623 | |
2008 | 96 | 331 | 291 | 24 | 63 | 16 | 0 | 2 | 85 | 29 | 0 | 1 | 13 | 5 | 20 | 0 | 2 | 76 | 5 | .216 | .267 | .292 | .559 | |
2009 | 136 | 510 | 454 | 58 | 138 | 31 | 2 | 14 | 215 | 66 | 6 | 4 | 22 | 4 | 27 | 0 | 3 | 88 | 8 | .304 | .344 | .474 | .818 | |
2010 | 77 | 291 | 264 | 30 | 69 | 10 | 0 | 5 | 94 | 34 | 2 | 2 | 15 | 0 | 12 | 0 | 0 | 60 | 7 | .261 | .293 | .356 | .650 | |
2011 | 98 | 279 | 256 | 18 | 60 | 7 | 1 | 3 | 78 | 20 | 0 | 1 | 12 | 0 | 11 | 0 | 0 | 49 | 5 | .234 | .266 | .305 | .571 | |
2012 | 103 | 311 | 277 | 21 | 63 | 18 | 0 | 0 | 81 | 22 | 1 | 4 | 17 | 2 | 15 | 0 | 0 | 53 | 2 | .227 | .265 | .292 | .560 | |
2013 | 32 | 56 | 50 | 3 | 10 | 0 | 0 | 0 | 10 | 1 | 0 | 0 | 4 | 0 | 1 | 0 | 1 | 18 | 1 | .200 | .231 | .200 | .431 | |
2014 | 17 | 23 | 21 | 4 | 3 | 0 | 0 | 0 | 3 | 2 | 0 | 1 | 0 | 1 | 1 | 0 | 0 | 7 | 0 | .143 | .174 | .143 | .317 | |
통산: 20년 | 1996 | 7149 | 6344 | 734 | 1627 | 279 | 29 | 84 | 2216 | 620 | 113 | 66 | 292 | 38 | 433 | 11 | 42 | 1086 | 107 | .256 | .307 | .349 | .658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기록
연도 | 구단 | 1루 | 2루 | 3루 | 유격 | ||||||||||||||||||||
---|---|---|---|---|---|---|---|---|---|---|---|---|---|---|---|---|---|---|---|---|---|---|---|---|---|
경기 | 척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척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척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척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1995 | 닛폰햄 | - | 3 | 1 | 1 | 0 | 1 | 1.000 | - | - | |||||||||||||||
1996 | - | 116 | 269 | 327 | 15 | 56 | .975 | - | - | ||||||||||||||||
1997 | - | 132 | 343 | 456 | 11 | 110 | .986 | - | 3 | 8 | 13 | 0 | 3 | 1.000 | |||||||||||
1998 | - | 125 | 260 | 364 | 9 | 71 | .986 | - | 10 | 1 | 11 | 0 | 1 | 1.000 | |||||||||||
1999 | - | 129 | 319 | 405 | 7 | 81 | .990 | 10 | 9 | 16 | 2 | 1 | .926 | 5 | 4 | 4 | 0 | 2 | 1.000 | ||||||
2000 | - | 112 | 250 | 368 | 7 | 81 | .989 | - | 1 | 0 | 1 | 0 | 0 | 1.000 | |||||||||||
2001 | - | 140 | 352 | 439 | 10 | 103 | .988 | - | 1 | 0 | 0 | 0 | 0 | ---- | |||||||||||
2002 | - | 23 | 33 | 65 | 1 | 11 | .990 | - | 83 | 103 | 227 | 8 | 41 | .976 | |||||||||||
2003 | - | - | - | 116 | 185 | 346 | 13 | 83 | .976 | ||||||||||||||||
2004 | - | - | - | 109 | 173 | 316 | 13 | 71 | .974 | ||||||||||||||||
2005 | - | - | - | 79 | 106 | 191 | 4 | 52 | .987 | ||||||||||||||||
2006 | - | - | - | 126 | 198 | 391 | 10 | 90 | .983 | ||||||||||||||||
2007 | - | - | - | 132 | 172 | 408 | 12 | 80 | .980 | ||||||||||||||||
2008 | - | - | - | 96 | 142 | 287 | 2 | 54 | .995 | ||||||||||||||||
2009 | - | - | - | 136 | 203 | 446 | 8 | 76 | .988 | ||||||||||||||||
2010 | - | - | - | 77 | 113 | 261 | 10 | 59 | .974 | ||||||||||||||||
2011 | - | - | - | 97 | 114 | 246 | 11 | 40 | .970 | ||||||||||||||||
2012 | - | - | - | 103 | 143 | 295 | 6 | 43 | .986 | ||||||||||||||||
2013 | 2 | 2 | 0 | 0 | 1 | 1.000 | 11 | 17 | 21 | 3 | 7 | .927 | 9 | 3 | 4 | 0 | 1 | 1.000 | 3 | 2 | 6 | 0 | 0 | 1.000 | |
2014 | 1 | 9 | 0 | 0 | 0 | 1.000 | 1 | 0 | 0 | 0 | 0 | ---- | 7 | 1 | 7 | 1 | 1 | .889 | 7 | 3 | 8 | 0 | 1 | 1.000 | |
통산 | 3 | 11 | 0 | 0 | 1 | 1.000 | 792 | 1844 | 2446 | 63 | 521 | .986 | 26 | 13 | 27 | 3 | 3 | .930 | 1184 | 1670 | 3457 | 97 | 696 | .981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기록
- 굵은 글씨 연도는 골든 글러브상 수상
5.2.5. 등번호
- 30 (1994년 ~ 2002년)
- 8 (2003년 ~ 2014년)
- 88 (2015년 ~ ) - 닛폰햄 및 일본 대표팀 코치 시절
6. 관련 항목
- 지바현 출신 인물 목록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의 선수 목록
-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