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호앙껌(Hoàng Cầm호앙껌베트남어, 본명: 부이땅비엣(Bùi Tằng Việt부이땅비엣베트남어), 1922년 2월 22일 ~ 2010년 5월 6일)은 베트남의 시인이자 극작가, 소설가이다. 그는 특히 시집 『Bên kia sông Đuống』과 『Lá diêu bông』, 그리고 희곡 『끼에우 로안』과 『한 남 꽌』으로 잘 알려져 있다. 호앙껌은 1950년대 후반 베트남 지식인 탄압 사건인 인민문학-간 품 사건에 연루되어 1958년 베트남 작가 협회에서 탈퇴했으나, 2007년 베트남 정부로부터 베트남 국가 문학 예술상을 수상하며 문학적 업적을 재조명받았다. 그는 자유로운 표현과 지적 활동에 대한 헌신을 통해 베트남 문학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2. 초기 생애 및 배경
2.1. 출생과 가족
호앙껌은 1922년 2월 22일 박장성 비엣옌현 푸옥땅(Phúc Tằng)에서 태어났다. 그의 본가는 박닌성 투언타인현 송호(Song Hồ) 마을 출신의 유서 깊은 유학자 집안이었다. 그의 부친은 과거 시험에 합격하지 못했으나, 박장성에서 한자를 가르치고 한의학 약재를 다루는 일을 했다. 호앙껌이라는 이름은 그의 고향 지명인 푸옥땅과 비엣옌을 합쳐 지어진 것이다.
2.2. 교육
어린 시절 호앙껌은 박장성과 박닌성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다녔다. 1938년에는 하노이로 유학하여 탕롱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1940년 그는 투따이(tú tài) 시험에 합격하며 본격적으로 문학 활동을 시작할 준비를 마쳤다.
3. 문학 활동의 시작
3.1. 필명 사용과 초기 문학
호앙껌은 1940년 투따이 시험 합격 후 부 딘 롱이 운영하던 떤전싸(Tân Dân Xã) 출판사에서 작가 겸 번역가로 활동을 시작했다. 이때 그는 '호앙껌'이라는 필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황금(Hoàng Cầm황금베트남어)이라는 베트남어 이름의 약초에서 따온 것이다. 황금은 한의학에서 중요한 약재로 쓰이는 쓴맛이 나는 약초이다. 그는 또한 부이땅비엣(Bằng Việt), 레타이(Lê Thái), 레끼아인(Lê Kỳ Anh), 부이땅피(Bằng Phi) 등의 다른 필명도 사용했다.
3.2. 문학계 입문
떤전싸 출판사에서 번역 및 창작 활동을 시작하며 호앙껌은 본격적으로 베트남 문학계에 발을 들였다. 이 시기에 그는 알퐁스 드 라마르틴의 작품을 각색한 『한 응아이 산』(Hận ngày xanh한 응아이 산베트남어, 1940),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동화를 각색한 『봉 센 짱』(Bông sen trắng봉 센 짱베트남어, 1940), 그리고 천일야화를 각색한 『꺼이 덴 탄』(Cây đèn thần꺼이 덴 탄베트남어, 1941)과 『띤 작 머 부아』(Tỉnh giấc mơ vua띤 작 머 부아베트남어, 1942) 등 초기 산문 작품들을 발표했다.
4. 혁명 활동 및 군대 문화 활동
4.1. 비엣민 활동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이 격화되면서 전쟁 상황이 긴박해지자, 호앙껌은 가족과 함께 본가인 투언타인으로 돌아갔다. 이곳에서 그는 비엣민의 청년 구국(Thanh niên Cứu quốc) 운동에 참여하며 독립운동에 가담하기 시작했다.
4.2. 군대 내 문화 예술 활동
8월 혁명이 발발한 후, 호앙껌은 다시 하노이로 돌아와 '동프엉(Đông Phương)'이라는 연극단을 창단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발발하자 그는 연극단을 이끌고 하노이를 떠나 박닌, 박장, 선떠이, 타이빈 등지에서 순회 공연을 펼치다가 해체했다. 1947년 8월, 그는 베트남 인민군의 전신인 위국군(Vệ quốc quân)에 합류하여 제12전구에서 활동했다. 그해 말, 그는 베트남 최초의 군대 문화 선전단인 '선전 문예단'을 창설했다. 1952년에는 베트남 정치총국 산하 공공공연단(Văn công)의 단장으로 임명되어 자유 지역의 군인과 민간인을 위한 공연 활동을 총괄하고 여러 전역에서 문화 예술 활동을 지원했다. 1955년에는 국립 극단 단장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5. 주요 작품 및 문학 세계
호앙껌은 시, 희곡, 산문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발한 창작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그의 시는 베트남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5.1. 희곡
호앙껌은 여러 편의 희곡을 발표했으며, 특히 시극(詩劇)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 『한 남 꽌』(Hận Nam Quan한 남 꽌베트남어, 1944): 우정관에서의 증오를 다룬 시극.
- 『끼에우 로안』(Kiều Loan끼에우 로안베트남어, 1946): 베트남의 고전 서사시 『끼에우』를 바탕으로 한 시극.
- 『꼬 가이 느억 떤』(Cô gái nước Tần꼬 가이 느억 떤베트남어, 1949): 진나라 여인을 소재로 한 시극.
- 『비엔 칵』(Viễn khách비엔 칵베트남어, 1952)
- 『렌 드엉』(Lên đường렌 드엉베트남어, 1952)
- 『옹 꾸 리엔』(Ông cụ Liên옹 꾸 리엔베트남어, 1952)
- 『라오 까이』(Lào Cai라오 까이베트남어, 1957)
- 『쯔엉 찌』(Trương Chi쯔엉 찌베트남어, 1983): 베트남의 전설적인 인물 쯔엉 찌를 다룬 시극.
- 『뜨엉 라이』(Tương lai뜨엉 라이베트남어, 1995)
5.2. 시
호앙껌의 시는 서정적이면서도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특히 고향에 대한 애착과 전쟁의 비극을 다룬 작품들이 많다.
- 『터이 몽』(Thoi mộng터이 몽베트남어, 1941)
- 『벤 끼아 송 두옹』(Bên kia sông Đuống벤 끼아 송 두옹베트남어, 1948):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중 고향 마을의 황폐화를 다룬 가슴 아픈 시.
- 『라 디에우 봉』(Lá diêu bông라 디에우 봉베트남어, 1959): 여러 시집에 수록된 대표작 중 하나.
- 『능 니엠 띤』(Những niềm tin능 니엠 띤베트남어, 1965): 알제리 시인 보날란 칸파의 번역시.
- 『멘 다 방』(Men đá vàng멘 다 방베트남어, 1989): 시 이야기 형식의 작품.
5.3. 시집
호앙껌은 여러 시집을 출간했으며, 각 시집은 그의 문학적 여정과 주제 의식을 보여준다.
- 『띠엥 핫 꽌 호』(Tiếng hát quan họ띠엥 핫 꽌 호베트남어, 1956): 꽌호 민요의 선율을 담은 장편시. 『끄어 비엔』 시집에 함께 수록되었다.
- 『므어 투언 타인』(Mưa Thuận Thành므어 투언 타인베트남어, 1991): 19편의 시가 수록된 시집.
- 『베 낀 박』(Về Kinh Bắc베 낀 박베트남어, 1994): 1959년부터 1960년 사이에 창작된 51편의 시가 수록된 시집.
- 『99 띤 쿡』(99 tình khúc99 띤 쿡베트남어, 1996): 1941년부터 1995년 사이에 창작된 98편의 사랑 시가 수록된 시집.
5.4. 산문 및 기타 작품
시와 희곡 외에도 호앙껌은 소설, 수필, 번역 등 다양한 산문 작품을 남겼다.
- 『한 응아이 산』(Hận ngày xanh한 응아이 산베트남어, 1940): 알퐁스 드 라마르틴의 작품을 각색.
- 『봉 센 짱』(Bông sen trắng봉 센 짱베트남어, 1940):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동화를 각색.
- 『꺼이 덴 탄』(Cây đèn thần꺼이 덴 탄베트남어, 1941): 천일야화를 각색.
- 『터이 몽』(Thoi mộng터이 몽베트남어, 1941): 중편 소설.
- 『맛 티엔 투』(Mắt thiên thu맛 티엔 투베트남어, 1941): 시집 (원고 유실).
- 『하이 란 쩻』(Hai lần chết하이 란 쩻베트남어, 1941): 단편 소설.
- 『띤 작 머 부아』(Tỉnh giấc mơ vua띤 작 머 부아베트남어, 1942): 천일야화를 각색.
- 『본 쭈옌 응안』(Bốn truyện ngắn본 쭈옌 응안베트남어, 1939-1943): 『띠에우 투옛 트 바이』(Tiểu thuyết thứ Bảy)에 연재된 네 편의 단편 소설.
- 『반 쑤오이 호앙껌』(Văn xuôi Hoàng Cầm반 쑤오이 호앙껌베트남어, 1997): 산문집.
5.5. 대표작 조명
호앙껌의 대표작으로는 시 『벤 끼아 송 두옹』과 『라 디에우 봉』이 꼽힌다. 특히 『벤 끼아 송 두옹』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프랑스군에 의해 황폐해진 고향 마을의 비극을 생생하게 묘사하여 많은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으며, 베트남 고등학교 교과 과정에도 포함되어 가르쳐지고 있다. 『라 디에우 봉』은 그의 서정적인 면모를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여러 시집에 수록되며 꾸준히 사랑받았다.
6. 정치적 참여와 사회적 논란
6.1. 인민문학-간 품 사건과 문학협회 탈퇴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이후, 호앙껌은 1955년 말 베트남 작가 협회에서 출판 업무를 담당하며 활동했다. 1957년 4월에는 베트남 작가 협회 창립에 참여하고 집행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그러나 1950년대 후반 베트남에서 발생한 인민문학-간 품 사건에 연루되면서 그는 큰 시련을 겪었다. 이 사건은 베트남 정부가 지식인들의 자유로운 표현과 비판적 사고를 탄압했던 사건으로, 호앙껌은 이로 인해 1958년 작가 협회에서 탈퇴해야만 했다. 그는 1970년 48세의 나이로 은퇴했다.
6.2. 수감 생활
인민문학-간 품 사건의 여파로 호앙껌은 계속해서 정부의 감시를 받았다. 1982년, 그는 1959년부터 1960년 사이에 창작했던 시집 『베 낀 박』이 문제가 되어 호아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그는 당에 반대하는 죄목으로 기소되었으나, 어떠한 재판도 없이 1983년에 풀려났다. 이 수감 경험은 그에게 깊은 심리적 영향을 미쳐 우울증을 앓게 되었다. 이 사건은 베트남 사회에서 표현의 자유가 얼마나 억압되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7. 후기 활동 및 평가
7.1. 문학 예술상 수상
오랜 세월 동안 정치적 탄압과 수감 생활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호앙껌의 문학적 가치는 점차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2007년 초, 베트남 정부는 그에게 베트남 국가 문학 예술상을 수여했다. 이 상은 국가 주석이 직접 서명하여 수여하는 것으로, 한때 금지되었던 작가에게 주어진 것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수상작으로는 『벤 끼아 송 두옹』, 『라 디에우 봉』, 『99 띤 쿡』 등이 포함되었다.
7.2. 문학사적 위상
호앙껌은 베트남 문학사에서 독특하고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는 인물이다. 그의 작품은 베트남의 역사적 격변기 속에서 민족의 아픔과 희망을 담아냈으며, 특히 고향과 전통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표현했다. 베트남의 한 평가는 "베트남의 항전은 반 까오의 음악이 없었다면, 호앙껌의 시가 없었다면 성공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그의 문학이 베트남 독립 운동과 민족 정신에 미친 지대한 영향을 강조했다. 그는 시, 희곡, 산문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베트남 문학의 지평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다.
8. 사망
호앙껌은 말년에 하노이에서 거주했으며, 2010년 5월 6일 하노이에서 지병으로 사망했다. 향년 88세였다.
9. 영향
9.1. 후대에 미친 영향
호앙껌의 작품과 사상은 후대 베트남 작가들과 문화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시는 서정성과 함께 민족의 역사적 현실을 담아내는 데 있어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특히 고향 '낀박'에 대한 깊은 애착과 전통 문화에 대한 탐구는 많은 후배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그의 문학적 유산은 베트남의 현대 시와 희곡 발전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9.2. 특정 분야에 대한 기여
호앙껌은 특히 시와 희곡 분야에서 뛰어난 기여를 했다. 그의 시는 베트남의 전통적인 서정성을 현대적인 감각과 결합하여 독자들에게 깊은 공감을 얻었다. 또한 그는 시극이라는 독특한 장르를 통해 베트남 연극의 예술적 깊이를 더했으며, 고전 문학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시도를 통해 새로운 창작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의 작품은 베트남 문학의 다양성과 풍부함을 증명하는 중요한 사례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