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헥터 게레로의 초기 생애와 배경은 그의 출생, 가족 관계, 그리고 교육 과정에 기반을 둔다.
1.1. 출생 및 가족
헥터 게레로(본명 헥터 마누엘 게레로 야네스)는 1954년 10월 1일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태어났다. 그의 출생 연도는 일부 기록에서는 1957년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미국 텍사스 엘파소로 이주했다.
그는 전설적인 프로레슬러 고리 게레로(Salvador "Gory" Guerrero Quesada살바도르 "고리" 게레로 케사다스페인어)의 아들이며, 프로레슬링계에서 가장 유명한 가문 중 하나인 게레로 가문의 일원이다. 그의 형제들인 차보 게레로, 만도 게레로, 에디 게레로 또한 유명한 프로레슬링 선수였다. 조카로는 차보 게레로 주니어와 샤울 게레로(Raquel Diaz라켈 디아스영어)가 있으며, 그의 삼촌인 엔리케 야네스(Enrique Llanes엔리케 야네스스페인어) 역시 프로레슬러였다.
1.2. 교육 및 초기 활동
게레로는 텍사스 대학교 엘파소 캠퍼스에 진학하여 체육 교육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1973년 아버지 고리 게레로의 지도를 받아 프로레슬러로 데뷔했다. 데뷔 초에는 짧은 이름인 "헥터 게레로"를 사용했다. 경력 초반에는 주로 캘리포니아에서 활동했으며, 종종 그의 형제들인 차보 게레로 시니어와 만도 게레로와 팀을 이루어 태그팀 경기를 펼쳤다.
2. 프로레슬링 경력
헥터 게레로는 1973년 데뷔 이후 다양한 프로모션에서 활약하며, 특히 북미 주요 단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1. 데뷔 및 초기 활동 (1973년-1980년대)
1973년 멕시코에서 프로레슬러로 데뷔한 후, 헥터 게레로는 1970년대 후반부터 형 차보 게레로 시니어가 주로 활동했던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의 NWA 할리우드 레슬링에서 활동했다.
1978년 1월 13일, 그는 차보 게레로와 팀을 이루어 블랙 고드먼(Black Gordman)과 엘 골리아스(El Golias)로부터 NWA 아메리카스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같은 해 2월 10일에는 로디 파이퍼가 맡았던 마스크드 캐네디언(Masked Canadian)을 꺾고 NWA 아메리카스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차지했다. 1978년 1월 13일에 개최된 해당 지역의 신년 배틀 로얄에서는 차보, 마스크드 캐네디언, 앙드레 더 자이언트, 후지나미 타츠미, 론 바스, 딘 호, 빅터 리베라, 문독 메인, 히로 오타, 부처 브래니건, 도미닉 데누치 등 쟁쟁한 선수들을 제치고 우승을 차지하며 자신의 입지를 다졌다.

1979년 1월, 헥터 게레로는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처음으로 일본 투어를 왔다. 그는 후지나미 타츠미를 상대로 훌륭한 경기를 펼쳤으며, 밥 룹, 조니 파워스, 커트 폰 헤스와 같은 베테랑 선수들과도 대결했다. 이후 그는 테네시, 오클라호마, 플로리다 등 미국 남부를 순회하면서도, 프로레슬링 인기가 하락세였던 로스앤젤레스 지역에도 꾸준히 출전했다. 1982년 7월 9일에는 만도 게레로와 팀을 이루어 미스터 토요(러셔 기무라)와 미스터 고(고 류마)의 일본인 태그팀을 물리치고 통산 여섯 번째 NWA 아메리카스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1983년 4월에는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4월 20일 도쿄 체육관에서 오니타 아츠시가 보유하고 있던 NWA 인터내셔널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 도전하며 명승부를 연출했다. 그는 할리 레이스의 파트너로서 점보 츠루타와 텐류 겐이치로의 '츠루류 콤비', 그리고 자이언트 바바와 아슈라 하라와의 경기에 나섰다.
1984년 7월 13일 로스앤젤레스에서 공석이었던 NWA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의 새로운 챔피언으로 인정받았다. 이어서 7월 14일에는 플로리다에서 차보 게레로와 팀을 이루어 배리 윈덤과 마이크 로툰도로부터 NWA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태그팀 챔피언십 (플로리다 버전)을 획득했다. 같은 해 8월, 그는 차보와 함께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다시 방문하여 세계 최강 주니어 태그 리그전에 참가했다. 마이티 이노우에와 그랑 하마다, 오니타와 후치 마사노부, 할 소노다와 울트라 세븐, 피쉬맨과 베이비 페이스를 상대로 경기를 펼쳤으며, 이노우에와 하마다와 결승에서 맞붙었다. 이후 미국에서는 플로리다에서 계속 활동했으며, 1985년 8월 28일 제시 바를 꺾고 NWA 플로리다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차지했다.
2.2. NWA 및 AWA 활동 (1980년대 중반)

1980년대 중반, 헥터 게레로는 NWA의 짐 크로켓 프로모션스에 합류하여 활동했다. 이 시기에 그는 매니 페르난데스와 '라틴 커넥션'이라는 태그팀을 결성하기도 했으나, 페르난데스가 릭 루드와 폴 존스에 합류하기 위해 그를 배신하며 대립 구도를 형성했다.
1986년부터는 NWA 미드-아틀랜틱 지역에서 '레이저트론'(Lazer-Tron)이라는 마스크를 쓴 기믹으로 변신했다. 공중 기술을 주특기로 삼는 레이저트론은 어린이 팬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으며, 1987년 3월 7일에는 NWA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두 번째로 획득했다. 그는 지미 발리언트와도 태그팀을 이루어 미드카드 전선에서 활약했다. NWA를 떠난 후에는 다시 맨얼굴로 돌아왔고, 1987년 10월 19일 테네시 멤피스에서 닥터 D(칼 코백)와 파트너를 이루어 제리 롤러와 빌 던디로부터 AW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2.3. 월드 레슬링 페더레이션 (1990년, 2001년)
헥터 게레로는 1990년 WWF에 등장하여 그의 경력 중 가장 논란이 많았던 기믹인 '고블디 구커'를 선보였다. 1990년 11월 22일 서바이버 시리즈에서 그는 칠면조 의상을 입고 거대한 알에서 '부화'하는 모습으로 등장했다. 이 알은 수개월 동안 WWF 행사에서 대대적으로 홍보되어 팬들의 기대를 모았으나, 실제 등장 시 관중 반응은 매우 부정적이었다. 팬들은 헥터 게레로가 진 오컬런드 아나운서와 링에서 춤을 출 때 크게 야유했으며, 해설자 고릴라 몬순과 로디 파이퍼는 열정적인 반응을 유도하려 노력했으나 역부족이었다. 이 캐릭터는 서바이버 시리즈 이후 몇 차례 사전 녹화된 홍보 영상에만 등장한 후 빠르게 TV에서 사라졌다. 몇 년 뒤, 프로레슬링 비판 웹사이트인 레슬크랩은 이 기믹의 실패에 영감을 받아 최악의 기믹, 스토리라인, 또는 사건에 수여하는 '구커 어워드'를 제정했다.
이 캐릭터가 중단된 후, WWF는 10년 이상 이 기믹을 언급하지 않았다. 'WWE 레전드' 쇼에서 팻 패터슨은 빈스 맥마흔이 고블디 구커 아이디어를 냈다고 밝히기도 했다. 2000년대 초, WWF는 과거의 실수를 풍자하기 시작했고, 고블디 구커 기믹은 2001년 레슬매니아 X-Seven에서 '기믹 배틀 로얄'에 참가하며 10년 만에 부활했다. 이 경기는 대부분 은퇴한 레슬러들이 기이한 기믹을 하고 참여하는 특별한 배틀 로얄이었다. 의상은 원본과 다소 달랐고, 화면 그래픽에는 캐릭터 이름이 '고블리 구커'로 잘못 표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헥터 게레로가 다시 의상을 착용했다. 그는 경기에서 두 번째로 제거되었다. 2006년 오컬런드가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을 때, 그는 자신의 유명한 인터뷰들을 회상하며 고블디 구커 의상 속에 헥터 게레로가 있었음을 인정했고, "헥터, 우리는 정말 즐거웠지만, 이 모든 것은 잊혀졌다"고 말했다.
2.4. 다양한 프로모션 활동 (1992년-1998년)
1990년대에 헥터 게레로는 엘파소 고등학교에서 아마추어 레슬링 코치로 활동하면서도 여러 단체에 단발성으로 출연했다. 1992년부터 1993년까지 짐 코네트가 운영하는 스모키 마운틴 레슬링에서 짧은 기간 활동했다.
1995년에는 필라델피아에 기반을 둔 ECW에 등장하여 리턴 오브 더 펑커에서 투 콜드 스콜피오의 ECW 텔레비전 챔피언십에 도전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그는 또한 AWA, NWA, 미드 사우스, 그리고 일본을 포함한 수많은 다른 프로모션에서 45년 이상의 링 경력을 통해 활약했다.
1997년 7월, 그는 WCW에 출연하여 자신의 스크린상 행동에 대해 동생 에디 게레로와 대립했다. 그는 WCW 새터데이 나이트 에피소드에서 동생에게 싱글 매치에서 패배한 후 해당 프로모션을 떠났다. 에디 게레로는 그의 자서전 치팅 데스, 스틸링 라이프에서 헥터가 WCW에서의 대우에 불만을 품고 떠났다고 언급했다. 1998년 5월 22일, 그는 노스캐롤라이나의 인디 단체인 PWF에서 에디 게레로와 팀을 이루어 PWF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2.5. 토탈 논스톱 액션 레슬링 (2007년-2015년)

2007년 3월 1일, TNA는 헥터 게레로가 스페인어 컬러 코멘테이터이자 로드 에이전트로 고용되었다고 발표했다. 2007년 3월 8일, 그는 TNA와 히스패닉 레거시 재단으로부터 "프로레슬링 스포츠에서의 업적"으로 상을 받았다.
2008년 5월 1일, 그는 라틴 아메리칸 익스체인지 (LAX)의 새로운 (화면상의) 고문 및 멘토 제안을 수락했다. 2008년 5월 11일, 그는 LAX를 세 번의 승리로 이끌며 TN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을 차지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두 번째와 세 번째 경기에서 개입하여 호미사이드가 에이.제이. 스타일스를 핀하는 것을 돕고, 조니 드바인을 팀 3D의 코너에서 제거하는 것을 도왔다. 2008년 9월 25일 임팩트! 에피소드에서, 게레로, 호미사이드, 숀 에르난데스는 비어 머니 주식회사(로버트 루드, 제임스 스톰, 재클린)와 '패자 매니저 퇴장' 매치(Loser's Manager Leaves Town match)를 벌였다. 이 경기는 루드가 헤르난데스를 핀하며 끝났고, 그 결과 게레로는 더 이상 TNA에서 호미사이드와 헤르난데스의 매니저를 맡을 수 없게 되었다. LAX를 떠난 후, 게레로는 컬러 코멘테이터로 복귀했다.

2009년 9월 10일 TNA 임팩트! 에피소드에서는 에릭 영과 더 월드 엘리트(The World Elite)가 헤르난데스를 자신들의 그룹에 설득하려 할 때, 게레로가 링에서 대결하는 장면이 연출되기도 했다. 2015년 4월 28일, 게레로는 트위터를 통해 8년간의 TNA 활동을 공식적으로 마감했다고 발표했다. 그의 프로필은 TNA의 졸업생 명단으로 이동되었다. 이후 게레로는 자신만의 프로레슬링 컨설팅 회사를 시작했다.
3. 개인 생활
헥터 게레로는 고리 게레로(Salvador "Gory" Guerrero Quesada살바도르 "고리" 게레로 케사다스페인어)의 아들이자 저명한 게레로 레슬링 가문의 일원이다. 그의 삼촌인 엔리케 야네스(Enrique Llanes엔리케 야네스스페인어) 또한 레슬러였다. 그의 형제들인 차보 게레로 시니어, 만도 게레로, 에디 게레로도 프로레슬링 선수로 활동했다. 조카로는 차보 게레로 주니어가 있고, 샤울 게레로(Raquel Diaz라켈 디아스영어)는 그의 조카딸이다. 그는 기독교인이다. 헥터는 오랜 연인인 페니(Penny)와 결혼했다. 그는 2006년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동생 에디 게레로의 헌액식에 차보 게레로 및 만도 게레로와 함께 참석하기도 했다. 또한 그는 2002년부터 2009년까지 플로리다 브랜든에 위치한 민츠 초등학교(Mintz Elementary)에서 체육 교사로 근무했다.
4. 타이틀 및 업적
헥터 게레로는 그의 프로레슬링 경력 동안 수많은 타이틀을 획득하고 다양한 업적을 달성했다.
단체 | 챔피언십 | 획득 횟수 | 비고 |
---|---|---|---|
아메리칸 레슬링 어소시에이션 | AW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 1회 | 닥터 D와 함께 |
캘리포니아 프로 레슬링 | CPW 캘리포니아 챔피언십 | 1회 | |
챔피언십 레슬링 프롬 플로리다 | NWA 플로리다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회 | |
NWA 플로리다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회 | ||
NWA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태그팀 챔피언십 (플로리다 버전) | 1회 | 차보 게레로 시니어와 함께 | |
컨티넨탈 레슬링 어소시에이션 | AWA 서던 태그팀 챔피언십 | 1회 | 스티브 리갈과 함께 |
짐 크로켓 프로모션스 | NWA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2회 | |
NWA 할리우드 레슬링 | NWA 아메리카스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2회 | |
NWA 아메리카스 태그팀 챔피언십 | 6회 | 차보 게레로 시니어 (1회), 블랙 고드먼 (1회), 배리 오튼 (1회), 만도 게레로 (3회)와 함께 | |
NWA 트라이-스테이트 | NWA 트라이-스테이트 태그팀 챔피언십 | 1회 | 론 섹스턴과 함께 |
프로 레슬링 페더레이션 | PWF 태그팀 챔피언십 | 1회 | 에디 게레로와 함께 |
프로 레슬링 일러스트레이티드 | PWI 연감 선정 PWI 500 싱글 레슬러 랭킹 | 423위 | 2003년 "PWI 연감" 선정 |
웨스턴 스테이츠 얼라이언스 | WSA 웨스턴 스테이츠 태그팀 챔피언십 | 1회 | 만도 게레로와 함께 |
월드 오거니제이션 오브 레슬링 | WOW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회 | |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어워드 | 최악의 기믹 (1990) | 1회 | 고블디 구커로서 |
월드 레슬링 카운실 | WWC 푸에르토리코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회 |
5. 기술
헥터 게레로는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다양한 기술들을 사용했으며, 특히 유연하고 민첩한 움직임을 바탕으로 한 기술들을 선호했다.
- Butterfly suplex버터플라이 수플렉스영어
- Rolling Guerrero cradle롤링 게레로 크래들영어
- Tope Suicida토페 수어사이다스페인어
- Flying cross body플라잉 크로스 바디영어
- Dropkick드롭킥영어
- Three Amigos스리 아미고스영어 (세 번 연속되는 버티컬 수플렉스의 연계기)
6. 평가 및 유산
헥터 게레로는 멕시코와 미국 프로레슬링계에 걸쳐 다재다능하고 오랜 경력을 쌓은 인물로 평가된다. 그는 게레로 가문의 일원으로서 가족의 유산에 기여하며 기술적으로 뛰어난 레슬러로 인정받았다. 특히 NWA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두 차례나 획득하고 일본 투어에서 후지나미 타츠미 같은 당대 최고의 주니어 헤비급 선수들과 명승부를 펼친 점은 그의 실력을 입증한다. 또한 TNA에서 스페인어 해설자로서 새로운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링 밖에서의 재능도 선보였다.
6.1. 비판 및 논란
그러나 헥터 게레로의 경력에서 가장 큰 비판과 논란의 대상은 단연 1990년 WWF에서 선보인 '고블디 구커' 기믹이다. 이 기믹은 엄청난 홍보에도 불구하고 관중들에게서 극도로 부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프로레슬링 역사상 최악의 기믹 중 하나로 꼽힌다.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어워드에서 '최악의 기믹' 상을 수상했고, 이후 레슬크랩이라는 웹사이트의 '구커 어워드'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이는 단체 차원에서 추진된 실패한 기획의 대표적인 사례로 남아 있으며, 헥터 게레로 개인의 실력과는 무관하게 그의 경력에 따라붙는 오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7. 같이 보기
- 게레로 가문
- 고리 게레로
- 차보 게레로 시니어
- 에디 게레로
- 차보 게레로 주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