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스 지트(Hans Sitt, Jan Hanuš Sitt얀 하누시 지트체코어)는 보헤미아 출신의 저명한 바이올린 연주자, 비올라 연주자, 음악 교육자, 그리고 작곡가이다. 그는 생전에 당대 최고의 바이올린 교육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으며, 유럽과 북미의 많은 오케스트라와 음악원에는 그의 제자들이 포진해 있었다. 지트는 폭넓은 음악 활동을 통해 연주자, 지휘자, 교육자로서 명성을 쌓았으며, 특히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위한 다수의 교육용 작품을 남겨 후대 음악 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2. 생애 및 교육
2.1. 출생과 가족
한스 지트는 1850년 9월 21일 프라하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안톤 지트(Anton Sitt, 1819-1878)는 헝가리 태생의 저명한 바이올린 제작자였다. 한스 지트의 형인 안톤 지트 주니어(Anton Sitt the Younger, 1847-1929) 또한 저명한 전문 바이올린 연주자였으며, 헬싱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콘서트마스터로서 장 시벨리우스의 주요 관현악곡 대부분을 초연하기도 했다.
2.2. 학력
지트는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보였으나, 그의 부모는 그를 신동으로 내세우기보다 현명하게도 평범한 삶을 살도록 했다. 그는 일반적인 김나지움에서 정규 교육을 받은 후 프라하 음악원에 진학했다. 프라하 음악원에서 1861년부터 1867년까지 모리츠 마일드너(Moritz Mildner, 1812-1865)와 안토닌 베네비츠(Antonín Bennewitz)에게 바이올린을 배웠고, 요제프 크레이치(Josef Krejčí, 1821-1881)와 요한 프리드리히 키틀(Johann Friedrich Kittl, 1806-1868)에게 작곡을 사사했다.
3. 음악 활동
한스 지트는 바이올린과 비올라 연주자로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며, 지휘자로서도 명성을 얻었다. 특히 라이프치히 음악원의 교수로 재직하며 수많은 제자를 양성하고 중요한 교육용 작품을 저술하여 음악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3.1. 연주자
음악원 졸업 후 지트는 짧은 기간 동안 성공적인 솔로 연주자 경력을 쌓았다. 그는 17세가 되던 1867년 브로츠와프의 브레스라우 오페라 오케스트라의 콘서트마스터로 임명되었고, 1873년부터 1880년까지 켐니츠 오케스트라의 콘서트마스터를 역임했다. 또한 1883년부터 1895년까지 아돌프 브로츠키가 창단한 브로츠키 콰르텟에서 휴고 베커(Hugo Becker), 율리우스 클렝겔(Julius Klengel), 아돌프 브로츠키와 함께 비올라 연주자로 활동했다.
3.2. 지휘자
지트는 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등지에서 여러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로 활동하며 명성을 쌓았다. 특히 1885년부터 1903년까지 라이프치히 바흐 협회(Bach-Verein Leipzig)의 지휘자를 맡았다.
3.3. 교육자
1884년부터 1921년까지 지트는 라이프치히 음악원의 바이올린 교수라는 중요한 직책을 맡았다. 그는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위한 여러 중요한 연구서와 교재를 저술했으며, 그 중 일부는 오늘날까지도 사용된다. 당시 유럽과 북미의 많은 오케스트라와 음악원에서는 그의 문하생들을 영입하기 위해 경쟁할 정도로 그의 교육적 명성은 높았다.
4. 작품 활동
한스 지트는 교육용 작품 외에도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작곡했다. 특히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6개의 협주곡을 포함한 여러 작품과 다양한 악기를 위한 소나타들을 남겼다. 그의 작품들은 실내악, 피아노곡, 성악곡, 합창곡 등 광범위한 영역을 아우른다.
4.1. 오케스트라 및 협주곡
- 오케스트라를 위한 《녹턴과 스케르초》(Nocturne und Scherzo), Op. 6
- E단조 《가보트》(Gavotte), Op. 15 (1884); 피아노곡으로도 편곡됨
- 오케스트라를 위한 A. 레시보의 "돈 후안 다우스트리아" 서곡(Ouverture zu A. Leschivo's "Don Juan d'Austria"), Op. 20 (c.1884, 1891년 초연)
-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자장가와 가보트》(Wiegenlied und Gavotte), Op. 48 (1892);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곡으로도 편곡됨
- 《축제 행진곡》(Festmarsch), Op. 54 (1895)
;협주곡
-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F장조 《녹턴》(Nocturne) (1882)
-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바이올린 협주곡 1번 D단조, Op. 11 (1884)
-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바이올린 협주곡 2번 A단조, Op. 21 (1884)
-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콘체르티노 1번 A단조, Op. 28 (1888)
-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또는 피아노)를 위한 폴로네즈 1번 A장조, Op. 29 (1885년 출판)
- 바이올린(첫 3개 포지션)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콘체르티노 2번 E단조 "첫 3개 포지션으로 연주 가능"(in den ersten drei Lagen ausführbar), Op. 31 (1889)
- 첼로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첼로 협주곡 1번 A단조, Op. 34 (1890)
- 첼로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첼로 협주곡 2번 D단조, Op. 38 (1891)
- 비올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G단조 《콘체르트슈튀크》(Concertstück, 콘서트 피스), Op. 46 (1892, 1899년 관현악 편곡)
- 바이올린(첫 5개 포지션)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콘체르티노 3번 D단조, Op. 65 (1896)
- 비올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비올라 협주곡 A단조, Op. 68 (1900)
- 바이올린(첫 5개 포지션)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콘체르티노 A단조 "첫 5개 포지션"(in den ersten 5 Lagen), Op. 70 (1898)
- 바이올린(첫 포지션)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콘체르티노 A단조, Op. 93 (1906)
- 비올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G단조 《로망스》(Romance), Op. 72 (1900)
-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바이올린 협주곡 3번 D단조, Op. 111 (1912)
-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와 오케스트라(또는 피아노)를 위한 《콘체르트슈튀크: 알레그로 아파시오나토, 로망스, 타란텔라》(Konzertstück: Allegro appassionato, Romanze und Tarantelle), Op. 119 (1916)
4.2. 실내악
지트의 현존하는 실내악 작품으로는 1880년대에 작곡된 두 개의 피아노 삼중주곡이 유일하다. 이 피아노 삼중주곡들은 야심찬 대작은 아니지만 결코 졸작이 아니며, 지트가 악기 편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세 악기 각각이 충분히 활약할 수 있도록 탐구한 흔적이 엿보인다.
- 피아노 삼중주 1번 G장조, Op. 63 No. 1 (1880년대 작곡)
- 피아노 삼중주 2번 B♭장조, Op. 63 No. 2
- 호른과 피아노를 위한 《몽상》(Rêverie), Op. 75 No. 2 (1902년 출판); 원곡은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곡
4.3. 바이올린 및 피아노 작품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그레트헨: 프란츠 리스트의 파우스트 교향곡 중 패러프레이즈》(Gretchen: Paraphrase aus Liszt's Faust-Symphonie) (c.1880)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이름 없는 악보》(Namenlose Blätter), Op. 10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앨범 소품: 로마네스카》(3 Albumblätter: Romanesca) B단조, 《멜로디》(Melodie), 《곤돌리에라》(Gondoliera), Op. 13 (1894년 출판)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소품》(3 Stücke), Op. 14 (1884)
- 첼로(또는 바이올린)와 피아노(또는 오르간)를 위한 G장조 《로망스》(Romanze), Op. 17 (1884)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2개의 《콘서트용 연습곡》(2 Etüden zum Conzertgebrauch), Op. 24 (1886)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카바티네와 바르카롤레》(Cavatine und Barcarole), Op. 25 (1887); 《카바티네》는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편곡 (1888)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D장조 《왈츠》(Walzer) (1888); 《오일렌부르크의 음악 가정 및 가족 달력》(Eulenburg's musikalischer Haus- und Familienkalender) (1889)에 출판
- 바이올린(첫 포지션)과 피아노를 위한 12개의 《어린 시절부터》(Aus der Jugendzeit) 소품, Op. 26 (1885)
- 바이올린(첫 3개 포지션)과 피아노를 위한 10개의 《느슨한 앨범 소품》(Lose Blätter), Op. 37b (1880년대); 원곡은 피아노 솔로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6개의 《앨범 소품》(6 Albumblätter), Op. 39 (1891, 1896); 원곡은 비올라와 피아노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6개의 《환상 소품》(6 Fantasiestücke), Op. 40 (1891)
- 2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6개의 쉬운 교육용 듀엣 《바이올린 듀엣》(Violin-Duette, sechs leichte instructive Duette), Op. 42 (1892)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6개의 《소품》(6 Stücke), Op. 47 (1892)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자장가와 가보트》(Wiegenlied und Gavotte), Op. 48 (1892);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으로도 편곡됨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폴로네즈 2번 A장조, Op. 49 (1893년 출판)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카프리치오》(Capriccio), Op. 50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로망스와 마주르카》(Romanze und Mazurka), Op. 52 (1892)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12개의 쉬운 소품 《미니어처》(Miniatures), Op. 53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자장가》(3 Berceuses), Op. 56 (1894)
- 바이올린(첫 3개 포지션)과 피아노를 위한 12개의 《어린 시절부터: 새로운 모음》(Aus der Jugendzeit: Neue Folge) 소품, Op. 57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스케르초 카프리치오소》(Scherzo capriccioso), Op. 59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소나티나》(3 Sonatinen) (C장조, A단조, D장조), Op. 62 (1895)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2개의 《소품: 바르카롤레와 칸초네타》(2 Stücke: Barcarolle und Canzonetta), Op. 64b (1894, 1897); 원곡은 첼로와 피아노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점진적 순서의 환상곡》(3 Fantasien in progressiver Reihenfolge), Op. 66 (1897)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4개의 《소품》(4 Stücke), Op. 67 (1900년 출판)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3개의 《바이올린 연주곡: 로망스, 녹턴, 스케르초-타란텔라》(3 Violin-Vorträge: Romanze, Nocturne, Scherzo-Tarantelle), Op. 71 (1898)
- 바이올린과 피아노 또는 2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20개의 《점진적 난이도의 짧은 콘서트 소품》(20 kleine Vortragsstücke in progressiver Schwierigkeit), Op. 73 (1900)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3개의 《크리스마스 캐럴에 대한 짧은 환상곡》(3 kleine Fantasien über Weihnachtslieder), Op. 74 (1903년 출판)
- 바이올린(첫 포지션)과 피아노를 위한 12개의 《선율적인 콘서트 소품》(Zwölf Melodische Vortragsstücke), Op. 78 (1902)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12개의 작고 쉬운 소품 《청소년 앨범》(Jugend-Album), Op. 79 (1902)
- 바이올린(첫 포지션)과 피아노를 위한 12개의 쉬운 소품 《다채로운 악보》(Bunte Blätter), Op. 84 (1904)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2개의 《소품》(Two Pieces), Op. 87 (1905)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D단조, Op. 88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소품》(3 Stücke), Op. 89
- G장조 《앨범 소품》(Albumblatt)
- A장조 《느린 왈츠》(Langsamer Waltzer)
- C장조 《행진곡》(Marsch)
- 2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3개의 《첫 포지션 초급자용 듀엣》(3 Duette in der ersten Lage für Anfänger), Op. 91 (1905)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전주곡, 미뉴에트, 아리오소, 간주곡, 서주와 가보트)(Suite (Präludium, Menuet, Arioso, Intermezzo, Introduction und Gavotte)) (1905)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3개의 《교육적인 콘서트 소품》(3 instruktive Vortragsstücke), Op. 94 (1906)
- A장조 《로망스》(Romanze)
- 《바가텔》(Bagatelle)
- D장조 《폴로네즈》(Polonaise)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12개의 짧은 콘서트 소품 《모자이크》(Mosaik: Zwölf kleine Vortragsstücke), Op. 95 (1906)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6개의 《서정적인 소품》(Sechs lyrische Stücke), Op. 96 (1907)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소품》(3 Stücke), Op. 97 (1907)
- A장조 《로망스》(Romanze)
- G단조 《바르카롤레》(Barkarole)
- D단조 《마주르카》(Mazurka)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소품》(3 Stücke), Op. 102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학생용 콘체르티노 1번 C장조 "첫 포지션"(Schüler-Konzertino No. 1 in der ersten Lage), Op. 104 (1909)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학생용 콘체르티노 2번 A단조 "첫 3개 포지션"(Schüler-Konzertino No. 2 in den ersten 3 Lagen), Op. 108 (1909)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소나티나》(3 Sonatinen), Op. 109 (1910)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학생용 콘체르티노 3번 D단조 "첫 5개 포지션"(Schüler-Konzertino No. 3 in den ersten 5 Lagen), Op. 110 (1911)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가보트, Op. 113 No. 3 (1912)
- 2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3개의 작고 쉬운 듀엣 "첫 1-3 포지션"(3 kleine leichte Duette in der 1.-3. Lage), Op. 117 (1913)
- 2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3개의 작고 쉬운 듀엣 "첫 1-3 포지션"(3 kleine leichte Duette in der 1.-3. Lage), Op. 118 (1913)
- 2대의 바이올린(첫 3개 포지션)과 피아노를 위한 콘체르티노 D단조, Op. 133 (1920)
4.4. 비올라 및 피아노 작품
-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6개의 《앨범 소품》(6 Albumblätter), Op. 39 (1891);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곡으로도 편곡됨 (1896)
-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G단조 《콘체르트슈튀크》(Concertstück, 콘서트 피스), Op. 46 (1892, 1899년 관현악 편곡)
-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3개의 《환상 소품》(3 Fantasiestücke), Op. 58 (1894)
-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소품》(3 Stücke), Op. 75 (1901)
-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가보트와 마주르카》(Gavotte und Mazurka), Op. 132 (1919)
-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D단조 《로망스》(Romanze), Op. 102 No. 1 (1909);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소품 중 작곡가 본인의 편곡
4.5. 첼로 및 피아노 작품
- 첼로(또는 바이올린)와 피아노(또는 오르간)를 위한 G장조 《로망스》(Romanze), Op. 17 (1884)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소품》(3 Stücke), Op. 33 (1889)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A단조 《스케르초》(Scherzo), Op. 35 (1890)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작은 소품》(3 kleine Stücke), Op. 45 (1891)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2개의 《소품: 바르카롤레와 칸초네타》(2 Stücke: Barcarolle und Canzonetta), Op. 64 (1894);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곡으로도 편곡됨 (1897)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세레나데》(Serenade) (1914년 출판)
4.6. 피아노 작품
- 피아노를 위한 《잠자는 숲속의 공주 폴카》(Dornröschen Polka), Op. 8 (1872)
- 피아노를 위한 10개의 《이름 없는 앨범 소품》(Namenlose Blätter), Op. 10 (1883)
- 2개의 《렌틀러》(2 Ländler), Op. 12 (1883); 아우구스트 리델(Aug. Riedel) 편곡의 피아노 4중주곡으로도 편곡됨 (1885)
- E단조 《가보트》(Gavotte), Op. 15 (1884); 오케스트라곡으로도 편곡됨
- 피아노 4중주를 위한 6개의 《소품》(6 Stücke), Op. 16 (1884)
- 8개의 《작은 환상 소품》(8 kleine Fantasiestücke), Op. 19 (1884)
- 피아노를 위한 《작은 세레나데》(Petite Sérénade), Op. 33
- 피아노를 위한 10개의 《느슨한 앨범 소품》(Lose Blätter), Op. 37 (1890);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곡으로도 편곡됨
4.7. 성악 및 합창곡
;성악곡
-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5개의 《가곡》(5 Lieder), Op. 3 (1871)
-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2개의 《가곡》(2 Lieder), Op. 18 (1884)
-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3개의 《가곡》(3 Lieder), Op. 22 (1886)
-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방랑의 시간》(Wanderzeit) 중 4개의 가곡, Op. 23 (1886); 가사: 카를 슈틸러(Karl Stieler)
-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5개의 《가곡》(5 Lieder), Op. 36 (1890)
-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작은 가곡》(3 kleine Lieder), Op. 61 (1894)
-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크리스마스 가곡》(Weihnachtslied) (1897); 가사: 율리우스 슈투름(Julius Sturm)
- 성악(또는 유니슨 합창)과 피아노를 위한 《체펠린 백작에게》(An Graf Zeppelin)
;합창곡
- 스위스 민요 《슈트라스부르크의 긴 다리 위에서》(Zu Strassburg auf der langen Brück') (1890년대)
- 혼성 합창을 위한 3개의 《가곡》(3 Lieder), Op. 43 (1891)
- 남성 합창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축제 찬가》(Festhymne), Op. 55 (1893); 가사: 프리츠 랑게(Fritz Lange, 1873-1933)
- 남성 합창을 위한 《모래 요정: 라인 민요》(Sandmännchen: rheinisches Volkslied) (c.1900)
- 남성 합창을 위한 3개의 《가곡》(3 Lieder für Männerchor), Op. 60 (1894); 가사: 게오르크 폰 외르첸(Georg von Örtzen), 구스타프 카스트롭(Gustav Kastropp), 루돌프 바움바흐(Rudolf Baumbach)
- 남성 합창을 위한 애국적인 축제 가곡 《이제 너의 가장 높은 참나무에서 부러져라》(Nun brich von deiner höchsten Eiche) (1897)
- 혼성 합창을 위한 3개의 《가곡》(3 Lieder für gemischten Chor), Op. 76 (1901)
- 남성 합창을 위한 3개의 《가곡》(3 Lieder für Männerchor), Op. 77 (1901년 출판); 가사: 율리우스 게르스도르프(Julius Gersdorff)
- 남성 합창을 위한 3개의 《남성 합창곡》(3 Männerchore), Op. 82 (1902); 가사: 아우구스트 나프(August Naaf), 펠릭스 단(Felix Dahn), 루돌프 디츠(Rudolf Dietz)
- 남성 합창을 위한 《헛된 도피》(Vergebliche Flucht), Op. 83 (1902); 가사: 율리우스 슈투름(Julius Sturm)
- 혼성 합창을 위한 《보헤미안 민요》(Böhmische Volkslieder für gemischten Chor) (1901)
- 남성 합창을 위한 《보헤미안 민요》(Böhmische Volkslieder für Männerchor) (1901)
- 여성 합창을 위한 《보헤미안 민요》(Böhmische Volkslieder für Frauenchor) (1901)
- 남성 합창을 위한 《라인의 왕관》(Die Krone im Rhein), Op. 85 (1903); 가사: 에른스트 폰 에스투슈(Ernst von Estouches)
- 남성 합창을 위한 《빛으로 나를 동반하는 너》(Du mit Strahlen mich begleitend), Op. 86 No. 1 (1904); 가사: 프리드리히 뤼케르트(Friedrich Rückert)
- 남성 합창을 위한 《경건한 기적》(Frommes Wunder), Op. 86 No. 3 (1904); 가사: 프리츠 카르슈테트(Fritz Karstedt)
- 남성 합창을 위한 《귀향》(Heimkehr) (1904); 가사: 오토 로케테(Otto Roquette)
4.8. 교육용 작품
- 바이올린을 위한 헨리 슈라디크(Henry Schradieck)의 음계 연구 보충(Nachtrag zu Henry Schradieck's Tonleiterstudien) (1887)
- 바이올린을 위한 12개의 《연습곡》(Zwölf Etüden für Violine), Op. 30 (1888)
- 바이올린을 위한 100개의 《어떤 바이올린 교본에도 보충 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연습곡》(100 Etüden als Unterrichtsmaterial zu jeder Violinschule zu gebrauchen), Op. 32 (1889-1891)
- 제1권 - 첫 포지션 연습곡 20개(20 Etüden in der 1. Lage) (1889)
- 제2권 - 2, 3, 4, 5 포지션 연습곡 20개(20 Etüden in der 2., 3., 4. und 5. Lage) (1889)
- 제3권 - 포지션 변경 연습곡 20개(20 Etüden, Lagenwechsel) (1890)
- 제4권 - 6, 7 포지션 연습곡 20개(20 Etüden in der 6. und 7. Lage) (1890)
- 제5권 - 더블 스토핑 연습곡 20개(20 Etüden, Doppelgriffe) (1891)
- 바이올린을 위한 더블 스토핑 음계 연구(Tonleiterstudien für Violine in Doppelgriffen zum praktischen Gebrauch beim Unterricht), Op. 41 (1891)
- 《실용 비올라 교본》(Praktische Bratschen-Schule) (1891)
- 바이올린을 위한 왼손 훈련 연습곡 20개(20 Etüden zur Ausbildung in der linken Hand), Op. 51 (1892)
- 바이올린을 위한 고급 학생용 연습곡 20개(20 Studien für Violine für vorgerücktere Schüler), Op. 69 (1899)
- 바이올린을 위한 24개의 다른 조 연습곡: 피에르 로데(Pierre Rode)의 카프리치오 예비 연습곡(24 Etüden für Violine in 24 verschiedenen Tonarten als Vorstudien zu Rode's Caprices), Op. 80 (1902)
- 바이올린을 위한 첫 포지션 초급자용 연습곡 20개(20 Etüden für Anfänger in der ersten Lage), Op. 90 (1904)
- 바이올린을 위한 《기술 연습곡》(Technische Studien für Violine), Op. 92 (1905)
- 바이올린을 위한 왼손 훈련 50가지 일일 연습(50 tägliche Übungen zur Ausbildung der linken Hand), Op. 98 (1907)
- 바이올린(첫 포지션)을 위한 장조 및 단조: 모든 조에서 음정 강화 28가지 쉬운 선율 연습곡(Dur und Moll: 28 leichte melodische Etüden für Violine (erste Lage) zur Befestigung der Intonation in allen Tonarten), Op. 107 (1909)
- 비올라를 위한 15개의 《연습곡》(15 Etüden), Op. 116 (1913)
- 바이올린을 위한 첫 5개 포지션 특별 연습 40가지(40 besondere Übungen in den ersten 5 Lagen), Op. 134 (1921년 출판)
- 왼손 민첩성 훈련을 위한 속도 및 손가락 기술 학교: 60가지 특별 연습(Schule der Geläufigkeit und Fingerfertigkeit: 60 besondere Übungen zur Ausbildung der linken Hand), Op. 135 (1921년 출판)
4.9. 편곡
지트는 에드바르 그리그의 피아노 듀엣을 위한 작품인 《노르웨이 무곡》(Norwegian Dances), Op. 35 (1881년 작)의 가장 잘 알려진 관현악 편곡을 담당했다.
5. 개인 생활
한스 지트의 아버지 안톤 지트는 헝가리 태생의 저명한 바이올린 제작자였다. 그의 형 안톤 지트 주니어 또한 뛰어난 바이올린 연주자이자 헬싱키 오케스트라 협회의 콘서트마스터로 활동하며 장 시벨리우스의 주요 관현악곡 초연에 기여하는 등 음악적 재능을 이어받은 가족이었다. 공개된 결혼이나 취미 등 다른 개인 생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소스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
6. 사망
한스 지트는 1922년 3월 10일 라이프치히에서 사망했다.
7. 영향력 및 평가
7.1. 제자 및 교육적 영향
한스 지트는 라이프치히 음악원의 바이올린 교수로서 수많은 뛰어난 음악가들을 양성했다. 그의 가장 저명한 제자들로는 작곡가 프랑코 알파노(Franco Alfano), 파블로 소로자발(Pablo Sorozábal), 프레더릭 딜리우스(Frederick Delius)와 지휘자 바츨라프 탈리히(Václav Talich) 등이 있다. 그의 교육 방식과 저술한 교재들은 후대 바이올린 및 비올라 교육에 지속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 미쳤으며, 오늘날까지도 일부 교재가 사용될 정도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7.2. 음악사적 평가
한스 지트는 연주자, 지휘자, 작곡가, 그리고 특히 교육자로서 다방면에서 음악사에 기여했다. 그의 작곡 활동은 주로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위한 협주곡과 소품, 그리고 교육용 작품에 집중되었으며, 이는 그의 연주자 및 교육자로서의 배경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비록 그의 작품들이 거대한 규모의 야심찬 대작으로 평가받지는 않지만, 악기 편성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각 악기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구성된 점은 높은 평가를 받는다. 특히 그의 교육용 작품들은 바이올린과 비올라 연주 기법 발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며 후대 음악 교육의 중요한 유산으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