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및 배경
피터르 슈르츠 헤르브란디는 1885년 4월 13일, 네덜란드 프리슬란트주스네이크 근처의 작은 마을 고잉게아에서 태어났다. 그는 민족적으로 프리슬란트인이었으며, 그의 이름은 전통적인 프리슬란트 방식으로 '피터르'(이름), '슈르츠'(부칭, '슈르트의 아들'), '헤르브란디'(성)로 구성되어 있다. 흥미롭게도 그의 성 '헤르브란디' 또한 부칭에서 유래했는데, 그의 고조부인 Jouke Gerbrens(1769~1840)가 1811년 12월 30일 이 이름을 성으로 채택하면서부터이다.
1.1. 어린 시절과 교육
헤르브란디는 1904년 6월 암스테르담 자유 대학교에 입학하여 법학을 전공했다. 그는 학업에 매진하여 1911년 1월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같은 해부터 1920년까지 변호사와 검사로 활동하며 법조인으로서의 경력을 쌓았다.
1.2. 초기 경력
법조인으로서의 활동 외에도 헤르브란디는 일찍이 정치에 발을 들였다. 그는 1916년 4월부터 1930년 1월까지 스네이크 시의회 의원으로 활동했으며, 1919년 7월부터 1920년 8월까지는 프리슬란트 주 의회 의원을 지냈다. 또한 1920년 8월부터 1930년 1월까지 프리슬란트 지방 행정 위원으로 봉사했다. 1920년부터 1930년까지 그는 반혁명당 소속으로 프리슬란트 주 의회 의원직을 유지했다. 특히 1939년에는 당의 의사에 반하여 법무장관에 취임하는 등 소신 있는 정치인의 면모를 보였다.
2. 주요 활동 및 업적

헤르브란디의 생애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네덜란드 망명 정부를 이끌었던 때와 전후 정치 활동이다.
2.1. 제2차 세계 대전 및 망명 정부 활동
1940년 네덜란드 전투에서 독일군이 승리하고 네덜란드를 점령하자, 네덜란드 왕실과 많은 주요 정치인들이 런던으로 망명하여 망명 정부를 수립했다. 같은 해 디르크 얀 데 헤르 총리가 사임하자, 빌헬미나 여왕은 헤르브란디를 네덜란드 망명 정부의 총리로 임명했다. 그는 총리직 외에도 법무장관과 식민지장관을 겸임하며 전시 내각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 망명 정부의 총리로서 그는 전쟁 기간 동안 네덜란드의 주권을 대외적으로 유지하고, 연합국과의 협력을 통해 네덜란드의 해방을 위한 노력을 지휘했다.
2.2. 전후 활동 및 정치 경력
1945년 네덜란드 남부가 해방된 후, 헤르브란디는 새로운 내각을 구성했으나, 국가가 완전히 해방되자 총리직에서 사임했다. 그는 전후 네덜란드 정부의 인도네시아 정책에 강력히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1946년부터 1950년까지 그는 인도네시아 독립에 반대하고 남말루쿠 공화국의 옹호를 주장하는 '왕국 통일 수호 국가 위원회'의 의장을 역임하며 자신의 보수적 신념을 관철하려 했다.
1948년, 헤르브란디는 다시 네덜란드 의회 의원으로 복귀했으나, 그의 "격한 성품"으로 인해 소속 당원들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했다. 1956년에는 흐리트 호프만스 사건을 조사하는 위원회의 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3년 후인 1959년, 그는 의원직을 사임하며 공식적인 정치 경력을 마무리했다.
2.3. 저술 활동
헤르브란디는 정치 활동 외에도 저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견해를 피력했다. 1950년 그는 'Indonesia'라는 제목의 저서를 출간했다. 이 책은 17세기부터 1948년까지 네덜란드와 네덜란드령 동인도 제도(현 인도네시아) 간의 관계사를 설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네덜란드 통치하의 동인도", "법치", "일본 점령", "혼돈" 등의 주요 장에서 헤르브란디는 이 시기 역사에 대한 자신의 관찰과 견해를 상세히 제시했다.
3. 사상 및 이념
헤르브란디의 사상과 이념은 그의 정치적 행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3.1. 이념 형성 배경
헤르브란디는 반혁명당 (ARP) 소속이었다. 이 당은 훗날 기독교 민주 아펠의 전신 중 하나가 되는 보수적인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이었다. 그의 정치적 배경은 강한 보수주의적 신념과 국가주의적 태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1939년 당의 의사에 반하여 법무장관에 취임한 일화는 그의 독립적이고 확고한 신념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3.2. 이념의 특징 및 내용
헤르브란디는 강력한 보수주의적 신념을 지녔으며, 이는 특히 식민지 문제에 대한 그의 입장에서 명확히 드러났다. 그는 인도네시아의 독립에 강력히 반대하고 네덜란드 왕국의 통일 유지를 주장했다. 그의 이러한 입장은 당시 국제 사회의 탈식민화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었으며, 이는 그의 정치적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격한 성품"은 이러한 신념을 타협 없이 고수하려는 태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그가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는 강직한 인물이었음을 보여준다.
4. 개인 생활
피터르 슈르츠 헤르브란디는 1911년 5월 18일 Hendrina Elisabeth Sikkel(1885년 2월 26일 ~ 1980년 5월 4일)과 결혼했다. 슬하에 두 아들과 한 딸을 두었다.
5. 사망
피터르 슈르츠 헤르브란디는 1961년 9월 7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76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6. 평가 및 수용
피터르 슈르츠 헤르브란디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그의 전시 지도력과 전후 식민지 정책에 대한 입장으로 나뉜다.
6.1. 긍정적 평가
헤르브란디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네덜란드 망명 정부의 총리로서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빌헬미나 여왕과 함께 국가의 주권을 유지하고 저항을 이끈 지도력으로 높이 평가받는다. 그의 단호하고 흔들림 없는 리더십은 전시 혼란 속에서 네덜란드의 정통성을 지키고 연합국과의 협력을 통해 국가 해방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6.2. 비판 및 논란
헤르브란디는 "격한 성품"으로 인해 당내에서도 마찰을 빚었으며, 특히 전후 네덜란드 의회 복귀 후 당원들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있었다. 그러나 그에 대한 가장 큰 논란은 인도네시아 독립에 대한 그의 강경한 반대 입장이었다. 이는 탈식민주의 시대의 국제적 흐름과 민족 자결권이라는 보편적 가치에 역행하는 보수적 시각으로 비판받는다. 그는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막기 위해 '왕국 통일 수호 국가 위원회'를 이끄는 등 적극적으로 활동했으며, 이는 현대적 관점에서 인권과 자결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7. 영향
헤르브란디의 활동과 사상은 네덜란드 역사와 특정 분야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7.1. 후대에 미친 영향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 정부의 총리로서 보여준 헤르브란디의 리더십은 네덜란드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에 국가의 연속성을 상징하는 역할을 했다. 그의 단호한 태도는 전후 네덜란드의 재건과 정치적 안정에 간접적으로 기여했다. 그러나 그의 식민지 정책에 대한 강경한 입장은 전후 네덜란드 사회 내에서 탈식민화를 둘러싼 논쟁과 갈등을 심화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네덜란드-인도네시아 관계사에 중요한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7.2. 특정 분야에 대한 기여
헤르브란디는 법률가이자 정치인으로서 법무장관 및 총리를 역임하며 네덜란드의 법률 및 정치 체계 유지에 기여했다. 특히 전시 상황에서 법적, 행정적 기반을 유지하고 국가의 기능을 지속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의 법학 박사 학위와 변호사, 검사로서의 경험은 그의 정치적 판단과 행정에 전문성을 더했다.
8. 훈장 및 영예
피터르 슈르츠 헤르브란디는 그의 공로를 인정받아 여러 훈장과 영예를 수여받았다.
9. 관련 항목
- 네덜란드 망명 정부
- 빌헬미나 (네덜란드 여왕)
- 반혁명당
-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
- 흐리트 호프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