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프레디 아길라의 초기 생애와 배경은 그의 음악적 여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음악에 대한 깊은 열정을 보였으며, 이는 그의 독특한 음악 스타일과 사회 비판적 시각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1.1. 출생 및 어린 시절
프레디 아길라는 1953년 2월 5일 필리핀 이사벨라주 일라간에서 태어났다. 그는 12세 때인 1965년에 라이브 클럽에서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하며 노래하는 가수로 처음 데뷔했다. 18세가 되던 해에 그는 가족과 떨어져 대학을 중퇴하고 음악 활동에 전념하기 시작했으며, 20세에는 정식으로 무대에서 공연을 시작했다. 대학 중퇴 후 5년이 지나 자신의 선택을 후회하며 그는 대표곡인 "아낙"을 작곡했다.
1.2. 교육
아길라는 데 구스만 공과대학교에서 전기 공학을 전공했으나 학위를 마치지 않고 음악의 길을 택했다. 그는 학업을 중단한 후 거리의 악사로 활동하다가 포크 클럽과 바에서 음악가로 경력을 이어갔다.
1.3. 음악적 영향
프레디 아길라의 음악 스타일은 영국의 캣 스티븐스와 미국의 제임스 테일러와 같은 영미권 포크 록 스타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또한 그는 필리핀의 유산과 민족주의적 감정에 깊이 영향을 받아, 필리핀의 정신을 음악적으로 탐구하려는 시도를 자신의 작품에 담아냈다.
2. 경력
프레디 아길라는 필리핀 음악계와 사회 운동에 걸쳐 폭넓은 경력을 쌓았다. 그의 음악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강력한 도구로 활용되었다.
2.1. 음악 경력 시작
아길라는 1967년부터 전문적인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1973년 20세의 나이에 마닐라 에르미타에 위치한 호빗 하우스에서 포크송 공연 오디션에 합격하며 대중 앞에서 처음으로 공연을 시작했다. 당시 그는 공연당 500 PHP를 받았다.
2.2. "아낙"을 통한 세계적 성공
아길라의 곡 "아낙"은 1978년 발표되어 1979년 필리핀 음반 차트를 석권했을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 1위를 차지하며 앙골라, 말레이시아, 홍콩 및 서유럽 일부 국가에서도 상당한 인기를 얻었다. 이 노래는 전 세계적으로 23개 언어로 약 100가지 버전이 녹음될 정도로 유명해졌다. 빌보드지는 "아낙"이 1980년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히트곡이며, 아길라가 1981년 유럽에서 두 번째로 많이 팔린 음반 아티스트였다고 보도했다. 2006년 기준으로 "아낙"은 필리핀 음악 역사상 가장 높은 판매량을 기록한 음반으로 남아있다.
2.3. "바얀 코"와 정치적 활동
아길라는 "바얀 코"를 부르기 전부터 사회적 불의를 겨냥한 곡들을 작곡하고 공연했다. 그의 앨범 마그달레나(Magdalena타갈로그어)에는 빈곤으로 인해 매춘을 강요당하는 소녀에 대한 노래가 담겼고, "민다나오"(Mindanao타갈로그어)는 기독교와 이슬람 간의 충돌을 다루었다. 또한 그는 힘없는 자들의 불의, 빈곤, 그리고 미국과 러시아 같은 강대국의 오만함을 비판하는 노래를 불렀다.
"아낙"을 작곡한 지 5년 후, 프레디 아길라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정권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하기 시작했으며, 정부의 과도한 행태를 비판하는 노래를 쓰고 공연했다. 그가 주류 언론에서 금지당하게 된 곡들 중에는 부당하게 고발당한 사람들을 대변하는 "카타-룬간"(Kata-rungan타갈로그어, 정의), 지도자의 약속 불이행을 비판하는 "팡아코"(Pangako타갈로그어, 약속), 그리고 필리핀인들에게 억압의 현실을 깨닫도록 촉구하는 "루즈비-민다"(Luzvi-minda타갈로그어, 루손, 비사야스, 민다나오의 약자) 등이 있다. 당시 그가 가장 기억되는 곡 중 하나는 "바얀 코"(Bayan Ko타갈로그어, 나의 조국)의 해석으로, 그는 원곡에 한 구절을 추가했다.
아길라는 1978년 "바얀 코"를 처음 녹음하며 "우리가 진정 누구인지 잊기 시작한 사람들을 다시 일깨우기 위한" 애국적인 노력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이 곡은 영감을 주며 그에게 흥분과 힘을 불어넣었다고 한다. 이 노래는 원래 1928년 콘스탄시오 데 구스만(Constancio de Guzman)이 작곡하고 시인 호세 코라손 데 헤수스가 작사했으며, 당시 필리핀이 미국의 점령으로부터 독립을 위해 투쟁하던 시기에 만들어졌다. 이 곡은 마르코스 정권 시기에 다시 부상하여,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를 축출하는 데 크게 기여한 피플 파워 혁명의 비공식적인 국가가 되었다.
1983년 베니그노 "니노이" 아키노 주니어의 암살은 마르코스 독재 정권에 대한 대규모 시위를 촉발시켰고, 아길라의 "바얀 코"는 마닐라 전역과 필리핀 지방의 거리에서 라디오와 지프니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울려 퍼졌다. 아키노 상원의 장례식에서 프레디 아길라는 "바얀 코"를 불렀고, 아키노가 필리핀의 자유를 위해 목숨까지 바친 행동가라고 느꼈다고 말했다. 공연 중 그는 더 이상 두려움을 느끼지 않고 강하고 자신감에 차 있었다고 한다. 이후 그는 자신도 그 대의에 동참하기로 결심했다. 아길라는 APO 하이킹 소사이어티 및 독재에 반대한 다른 피노이 팝 음악가들과 함께 반마르코스 집회의 일환으로 다른 시위 가수들과 음악 및 거리 공연에 참여했다. 몇 년 후 아길라는 1986년 봉기로 이어진 전국 선거에서 코라손 아키노의 대통령 후보 출마를 위해 선거 운동을 벌였다. 아길라는 ABS-CBN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 노래의 가사가 필리핀인들의 조국에 대한 사랑, 아키노 가족에 대한 추모, 그리고 국가에 대한 헌신을 담고 있다고 언급했다. 현대에도 필리핀인들은 "바얀 코"를 국가의 시위가로 인식하고 있다.
2.4. 후기 경력 및 현대 활동
2008년 1월 18일, 아길라는 대한민국에서 열린 아시아 모델 어워드 페스티벌에서 아시아 스타상을 수상했다. 그는 여전히 필리핀에 거주하며 공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자신의 이름을 딴 "카 프레디스"(Ka Freddie's영어)라는 바를 운영하고 있으며, 필리핀과 해외에 거주하는 많은 필리핀인들 사이에서 여전히 강력한 팬층을 유지하고 있다.
아길라는 "문화예술부"라는 새로운 부서의 설립을 옹호해 왔다.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의 선거 운동과 취임식에서 아길라는 두테르테의 선거 운동 노래 중 하나인 "파라 사 투나이 나 파그바바고"(Para sa Tunay na Pagbabago타갈로그어, 진정한 변화를 위하여)를 "이파글라라반 코"(Ipaglalaban Ko타갈로그어)의 멜로디에 맞춰 불렀다. 아길라는 두테르테 대통령이 가장 좋아하는 가수이기도 하다.
아길라는 2019년 필리핀 상원 선거에 출마했다. 그는 무소속 후보로 출마했지만, 두테르테 대통령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그는 낙선하여 12석 중 30위를 기록했다. 그는 또한 아낙 재단(Anak Foundation)을 설립하여 학교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3. 음악 스타일 및 사상
프레디 아길라의 음악은 단순한 멜로디를 넘어선 깊은 사회적 메시지와 철학을 담고 있다. 그의 음악적 특징과 가사 주제는 필리핀의 역사와 민족적 정체성을 반영한다.
3.1. 음악적 주제와 사회 비평
아길라는 피노이 록과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그의 음악은 민족주의, 사회 정의, 빈곤 등 필리핀 사회의 주요 주제들을 다룬다. 그는 "마그달레나"와 "민다나오" 같은 곡을 통해 빈곤으로 인한 매춘, 기독교-이슬람 갈등 등 사회적 불의를 비판했다. 또한 그는 힘없는 사람들의 고통, 빈곤, 그리고 미국과 러시아와 같은 강대국의 오만함을 노래하며 사회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다. 그의 노래는 정부의 과도한 행태를 비판하고, 이루어지지 않은 지도자들의 약속을 꼬집으며, 필리핀인들에게 억압의 현실을 깨닫도록 촉구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3.2. 정치적 입장
아길라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독재 정권에 대한 강력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으며, 피플 파워 혁명을 비롯한 민주주의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그의 "바얀 코"는 마르코스 정권에 대한 저항의 상징이자 비공식적인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베니그노 아키노 주니어와 코라손 아키노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며 필리핀의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다.
4. 개인사
프레디 아길라의 개인사는 그의 공적인 삶만큼이나 많은 주목을 받았다. 그의 결혼, 가족 관계, 그리고 논란이 된 사생활은 대중의 관심을 끌었다.
4.1. 가족 및 관계
1973년부터 조세핀 퀘이포(Josephine Queipo영어)와 사실혼 관계를 유지하던 아길라는 1978년 그녀와 정식으로 결혼했다. 이들 사이에는 마게인(Maegan영어), 조난(Jonan영어), 이사벨라(Isabella영어), 제리코(Jeriko영어) 등 2남 2녀의 자녀가 있다. 그러나 이들의 결혼 생활은 순탄치 않아 1997년부터 별거에 들어갔고, 2000년 영국 런던에서 이혼했다.
퀘이포와의 결혼 전, 아길라는 마릴린 안젤로(Marilyn Angelo영어)와도 결혼했으나, 결혼식을 주례한 성직자가 무면허였기 때문에 이 결혼은 법적으로 무효화되었다. 퀘이포와 별거한 후인 1998년, 아길라는 당시 17세였던 안토네트 마르티네스(Antonette Martinez영어)와 관계를 맺었다. 2000년 퀘이포와의 이혼이 확정된 후, 아길라와 마르티네스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결혼했으나, 이 결혼 또한 5년 만에 이혼으로 끝났다.

4.2. 논란
2013년 10월 17일, 아길라는 16세 소녀 조비 갓둘라 알바오(Jovi Gatdula Albao영어, 이슬람 이름 시티 마리암(Sittie Mariam영어))와 교제 중임을 공개적으로 인정하여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그녀와 결혼하여 아이를 가질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알바오 또한 아이를 갖기를 원한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는 아길라의 나이와 알바오의 미성년자 신분 때문에 대중의 비판을 받았다.
4.3. 이슬람 개종
2013년 11월 22일, 아길라는 마긴다나오 주 불루안에서 이슬람 의식에 따라 조비 갓둘라 알바오와 결혼했다. 그는 그녀와 결혼하기 위해 결혼 보도 6개월 전 이슬람으로 개종했으며, 그의 이슬람 이름은 압둘 파리드(Abdul Farid영어)이다.
4.4. 개인적인 사건
2018년 1월 3일, 케손 시티 노스 페어뷰에 위치한 아길라의 자택이 화재로 전소되었다. 화재는 그의 음악실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화재로 아길라의 예술품 컬렉션, 수상 트로피, 악기, 음반, 기타 개인 기념품 등 약 1500.00 만 PHP 상당의 귀중품 대부분이 소실되었다. 화재 당시 아길라는 자신의 바 겸 레스토랑인 "카 프레디스"에 있었으며, 그의 아내 조비, 아들 조난, 장모는 집에 있었으나 이웃의 도움으로 무사히 대피할 수 있었다.
5. 음반 목록 및 수상 경력
프레디 아길라는 수많은 음반을 발표하고 다양한 수상 경력을 통해 필리핀 음악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5.1. 음반 목록
프레디 아길라의 주요 음반 및 싱글은 다음과 같다.
5.1.1. 정규 음반
연도 | 제목 | 음반사 |
---|---|---|
1978 | Anak | Vicor/Polydor / Vicor/Sunshine |
1978 | Buhay | Vicor |
1979 | Freddie Aguilar | PDU |
1979 | Kinabukasan | Vicor |
1979 | Freddie Aguilar after Anak | Polydor International |
1980 | Diyosa | Ugat Tunog Ng Lahi/Vicor |
1980 | Freddie Aguilar (미국 발매) | RCA Records / RCA Holland |
1980 | Todo Cambia Freddie Aguilar | RCA |
1980 | Magdalene Freddie Aguilar | King Record Ltd. |
1982 | Anak Dalita | Vicor |
1983 | Magdalena | G Records International |
1983 | Bayan | |
1985 | Katarungan | G Records |
1987 | EDSA | Ivory |
1987 | Crazy War | Ivory |
1988 | Sariling Atin | Alpha |
1989 | Hala Bira | Alpha |
1990 | Freddie Aguilar Estudyante Blues | King Record |
1990 | Heart of Asia영어 | OctoArts International |
1991 | Kumusta Ka | AMP |
1991 | Freddie Aguilar | AMP |
1992 | Pagbabalik Himig | Vicor |
1993 | Minamahal Kita | Alpha |
1993 | Estudyante Blues (재발매) | AMP |
1993 | Sariling Atin (재발매) | AMP |
1993 | Ipaglalaban Ko | AMP |
1993 | Freddie Aguilar Kumusta Ka | Millbory Production - Korea |
1994 | Anak (CD 재발매) | Vicor |
1994 | Diwa Ng Pasko | Alpha |
1994 | Maraming Salamat | AMP |
1994 | Bagong Timpla | AMP |
1996 | Impromptu | AMP |
1999 | Green Card | Concorde |
2007 | Freddie Aguilar "Love Songs" |
5.1.2. 컴필레이션 음반
연도 | 제목 | 음반사 |
---|---|---|
1979 | Greatest Hits | Vicor |
1985 | The Best of Freddie Aguilar | G Records |
1987 | Freddie Aguilar - Anak - Double "Best Of" Album | Panarecord International |
1989 | Freddie Aguilar Greatest Hits | Vicor |
1993 | Sampaguita, Lolita, Coritha Sing Freddie Aguilar | AMP |
1993 | Fifteen Years of Freddie Aguilar Vol. 1 & 2 | AMP |
1993 | Freddie Aguilar His Best | Music Distributors PTE LTD |
1995 | The Best of Freddie Aguilar | Alpha |
1995 | The Best of Freddie Aguilar and Friends | AMP |
1995 | Anak-The Best of Freddie Aguilar | EMI |
2001 | Duets with Freddie Aguilar | Concorde |
2004 | Juan Dela Cruz (AMP) Concorde Recording |
5.1.3. 외국어 음반
연도 | 제목 | 음반사 |
---|---|---|
1979 | Kenangan Ayah (말레이어 음반) | PolyGram Records Ltd. Sdn. Bhd. Malaysia |
1997 | Anak (Kenangan Ayah 디지털 리마스터 버전 재발매) | PolyGram Records Ltd. Sdn. Bhd. Malaysia |
5.1.4. 라이브 음반
연도 | 제목 | 음반사 |
---|---|---|
1990 | Freddie Aguilar Live in London | Tiger Records |
1997 | Freddie Aguilar Live! Global Tour (Vol. 1, 2, 3) | Aguilar Music / Vicor Music |
2006 | The Best of Freddie Aguilar Live! |
5.1.5. 싱글
- 1976년: "알라알라"(Alaala타갈로그어)
- 1978년: "아낙"(Anak타갈로그어)
- 1978년: "바얀 코"(Bayan Ko타갈로그어)
- 1980년: "풀루비"(Pulubi타갈로그어)
- 1980년: "불라그, 피피 앗 빙이"(Bulag, Pipi at Bingi타갈로그어)
- 1981년: "앙 부하이 응아 나만 응 타오"(Ang Buhay Nga Naman Ng Tao타갈로그어)
- 1983년: "마그달레나"(Magdalena타갈로그어)
- 1983년: "민다나오"(Mindanao타갈로그어)
- 1984년: "피노이"(Pinoy타갈로그어)
- 1985년: "Mga Bata Sa Negros"(Mga Bata Sa Negros타갈로그어)
- 1985년: "이파글라라반 코"(Ipaglalaban Ko타갈로그어)
- 1986년: "카타룬간"(Katarungan타갈로그어)
- 1987년: "'디 카 나그-이사"('Di Ka Nag-iisa타갈로그어)
- 1988년: "에스투디안테 블루스"(Estudyante Blues타갈로그어)
- 1989년: "루즈비민다"(Luzviminda타갈로그어)
- 1989년: "팡아코"(Pangako타갈로그어)
- 1993년: "미나마할 키타"(Minamahal Kita타갈로그어)
- 1994년: "쿠무스타 카"(Kumusta Ka타갈로그어)
- 1994년: "파스코 앙 담다민"(Pasko Ang Damdamin타갈로그어)
- 1994년: "Mga Pilipino Kong Mahal"(Mga Pilipino Kong Mahal타갈로그어)
- 1994년: "앙 반사 콩 말리가야"(Ang Bansa Kong Maligaya타갈로그어)
5.2. 수상 및 인정
프레디 아길라는 그의 음악적 공헌으로 수많은 상과 명예를 얻었다.
- 1978년: 폴리도르 프라이즈 어워드 도쿄(Polydor Prize Award Tokyo영어)
- 1979년: 퍼스트 울로 응 아포 뮤직 어워드(First Ulo ng Apo Awards Music Awards영어)
- 1979년: 베스트 포크 팝 아티스트(Best Folk Pop Artist영어)
- 1981년: 가톨릭 매스 미디어 어워드 그랜드 어워드(Catholic Mass Media Awards Grand Award영어)
- 1982년: 베스트 아시안 아티스트 하와이안 월드 뮤직 페스티벌(하와이)(Best Asian Artist Hawaiian World Music Festival영어)
- 1982년: 세실 어워드 베스트 록 보컬 작곡("시가릴요")(Best Rock Vocal Composition Cecil Awards "Sigarilyo"영어)
- 1983년: 세실 어워드 베스트 포크 보컬 퍼포먼스("바얀 코")(Best Folk Vocal Performance Cecil Awards "Bayan Ko"영어)
- 1983년: 세실 어워드 베스트 포크 팝 보컬 퍼포먼스("마그달레나")(Best Folk Pop Vocal Performance Cecil Awards "Magdalena"영어)
- 1983년: 세실 어워드 베스트 작곡("마그달레나")(Best Composition Cecil Awards "Magdalena"영어)
- 1985년: 세실 어워드 베스트 포크 팝 퍼포먼스(Best Folk Pop Performance Cecil Awards영어)
- 1985년: 세실 어워드 베스트 노벨티 작곡(Best Novelty Composition Cecil Awards영어)
- 1985년: 세실 어워드 베스트 포크 팝 작곡("마이룬 칸 카이비간")(Best Folk Pop Composition Cecil Awards "Mayroon Kang Kaibigan"영어)
- 1985년: 알리우 어워드 베스트 솔로 국제 로드쇼 퍼포머(Best Solo International Road Show Performer Aliw Awards영어)
- 1986년: 알리우 어워드 올해의 엔터테이너(Entertainer of the Year Aliw Awards영어)
- 1986년: 가톨릭 매스 미디어 어워드 베스트 영감적인 노래("카타룬간")(Catholic Mass Media Awards Best Inspirational Song "Katarungan"영어)
- 1990년: 연례 젊은 성취자 어워드 골든 스크롤 수상자(Annual Young Achievers Awards Golden Scroll Awardee영어)
- 1992년: BASF 크리스탈 어워드(BASF Crystal Award영어)
- 1990년-1995년: 셀러브리티 파더 어워드 "긴통 아마 어워드"(Celebrity Father Awardee "Gintong Ama Awards"영어)
- 1993년: 아윗 어워드 필리핀 음악의 단갈(Dangal ng Musikang Pilipino Awit Awards영어)
- 1994년: NU 록 어워드 록 성취상(NU Rock Awards Rock Achievement Award영어)
- 1994년: 아윗 어워드 베스트 록 레코딩("에스투디안테 블루스")(Awit Awards Best Rock Recording "Estudyante Blues"영어)
- 1995년: 알리우 어워드 베스트 얼터너티브 레코딩(Best Alternative Recording Aliw Awards영어)
- 1995년: 베스트 얼터너티브 레코딩 "프로듀서"(Best Alternative Recording "Producer"영어)
- 1995년: 카타 뮤직 어워드 베스트 컨트리 송("이툴로이 모 앙 라반")(Best Country Song Katha Music Awards "Ituloy Mo Ang Laban"영어)
- 1996년: 카타 뮤직 어워드 베스트 록 솔로 보컬 퍼포먼스(Best Rock Solo Vocal Performance Katha Music Awards영어)
- 1997년: 메트로 팝 평생 공로상(Lifetime Achievement Awards "Metro POP"영어)
- 1998년: 카타 뮤직 어워드 베스트 컨템포러리 블루스 싱 프로듀서(Katha Music Awards Best Contemporary Blues Sing Producer영어)
- 2001년: 피노이 무시카 어워드 카카야항 피노이(Pinoy Musika Awards Kakayahang Pinoy영어)
- 1992년: 암펙스 골든 릴 어워드 레드우드 시티 캘리포니아(Ampex Golden Reel Award Redwood City California영어)
- 2003년: 티니그 어워드 명예의 전당(Hall of Fame (Tinig Awards)영어)
- 2005년: 음악 부문 팟누바이 응 시닝 앗 칼리낭안 어워드(Patnubay ng Sining at Kalinangan Award for Music영어)
- 2006년 9월 30일: 올롱가포 시티 막사이사이 드라이브에 프레디 아길라 기념비 건립(Freddie Aguilar Monument영어)
- 2006년: ASAP 플래티넘 서클 어워드(엘리트 플래티넘 아티스트)(ASAP: Platinum Circle Award (Elite Platinum Artist)영어)
- 2008년 1월 18일: 한국모델협회(KMA) 아시아 스타상(Asia Star Award영어)
- 2023년 1월 30일: 아시아 로열티 어워드 올해의 가장 상징적인 가수 및 작곡가 아시아 로열티 어워드(Asia's Royal Awards for Most Iconic Singer and Composer of the Year영어)
5.2.1. 음반 판매량에 따른 수상
- 멀티 플래티넘
- Anak (1978)
- Magdalena (1983)
- Bayan Ko (1986)
- Sariling Atin (1989)
- Ipaglalaban Ko (1990)
- Kumusta Ka (1993)
- Fifteen Years of Freddie Aguilar (1995)
- 더블 플래티넘
- Anak (1978)
- Magdalena (1983)
- Bayan Ko (1986)
- Sariling Atin (1989)
- Ipaglalaban Ko (1990)
- Kumusta Ka (1993)
- Fifteen Years of Freddie Aguilar (1995)
- 플래티넘
- Greatest Hits (1980)
- Katarungan (1986)
- Halabira (1990)
- Fifteen Years of Freddie Aguilar (1994)
- Diwa ng Pasko (1995)
- Pagbabalik Himig ni Freddie Aguilar (1995)
- ASAP: 플래티넘 서클 어워드 (2006)
- 골드
- Anak (1979)
- Anak - Polydor Japan (1979)
- Kumusta Ka (1991)
- Kumusta Ka - Ampex Golden Reel Award (1992)
- Green Card (2000)
6. 유산 및 영향력
프레디 아길라는 필리핀 음악계와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그의 노래는 단순한 예술 작품을 넘어 사회적 변화를 이끄는 강력한 도구로 기능했다.
특히 그의 "바얀 코"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독재 정권에 대한 저항의 상징이자 피플 파워 혁명의 비공식적인 국가로 자리매김하며 필리핀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노래는 오늘날에도 필리핀의 국가적 시위가로 인식되고 있다.
아길라는 에드사 혁명 이후에도 필리핀 대중으로부터 존경을 받으며 음악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그는 "카 프레디스" 바를 운영하며 라이브 공연을 선보이고 있으며, 문화 예술 부서 설립을 옹호하는 등 문화 정책에도 목소리를 내고 있다. 또한 그는 아낙 재단을 설립하여 학교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등 사회 공헌 활동에도 힘쓰고 있다. 이러한 활동들은 그가 필리핀 사회와 문화에 미친 지속적인 영향력을 보여준다.
7. 필모그래피
프레디 아길라의 영화 및 뮤직 비디오 활동은 그의 다재다능한 예술가적 면모를 보여준다.
7.1. 영화
- 타드하나 (1978); 작곡가로 참여
7.2. 뮤직 비디오
- 아낙 (1980년 네덜란드 TV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Tops Of The Pops 오리지널, 2005년 MYX Live에서 새로운 라이브 버전 녹화)
- 사 응알란 응 아마 (1980)
- 마그달레나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