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톰 테일러는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연극 활동을 시작하며 창작 재능을 발휘했다.
1.1. 어린 시절 및 교육
멜버른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그의 초기 생애에 대한 구체적인 학업 경험이나 가정 환경에 대한 정보는 공개된 바가 많지 않다.
1.2. 초기 활동
14세부터 연극과 뮤지컬 분야에서 연기 및 극작 활동을 시작했다. 그의 연극 작품들은 전 세계 4개 대륙에서 공연되었으며, 세계 최대 단막극 축제인 '쇼트 앤 스위트(Short and Sweet)'에서 '최고 드라마 작문상'을 수상하는 등 여러 상과 찬사를 받았다. 그의 연극은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멜버른 아트 센터, 에든버러 프린지 등 유수의 공연장에서 상연되었다.
2. 주요 활동 및 업적
톰 테일러는 코믹스, 연극, 영상 매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수많은 작품을 창작하고 여러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2.1. 코믹스 작가
톰 테일러는 DC 코믹스, 마블 코믹스, 다크 호스 코믹스 등 주요 출판사를 비롯해 여러 독립 출판사에서 다수의 인기 코믹스 시리즈를 집필하며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2.1.1. DC 코믹스
테일러는 DC 코믹스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작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다수의 베스트셀러 시리즈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 《인저스티스》 시리즈
- 《인저스티스: 갓즈 어몽 어스》(2013): 동명 게임의 프리퀄 코믹스로, 슈퍼맨이 독재자가 되는 평행 세계를 다루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2014년과 2013년에 IGN에서 '최고 디지털 시리즈상'과 '피플스 초이스상'을 수상했다.
- 《인저스티스: 이어 투》(2014): 전작의 성공을 이어받아 스토리를 확장했다.
- 《인저스티스: 이어 스리》(2014-2015): 계속해서 인저스티스 세계관의 이야기를 심화시켰다.
- 《인저스티스 2》(2017-2018): 게임 《인저스티스 2》의 프리퀄로, 72개의 챕터로 구성되었다. 2018년 레저 어워드를 수상했다.
- 《인저스티스 이어 제로》(2020-2021): 오리지널 인저스티스 이야기의 이전 시점을 다루는 프리퀄이다.
- 《DCeased》 시리즈
- 《DCeased》(2019): DC 유니버스에 좀비 아포칼립스가 닥친다는 파격적인 설정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2019년 호주 섀도우 어워드 '최고 그래픽 노블상'을 수상했으며, 2020년 브리티시 판타지 어워드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DCeased: 언킬러블스》(2020): 좀비 바이러스에 면역인 빌런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 《DCeased: 호프 앳 월즈 엔드》(2020): 종말 속에서 희망을 찾는 이야기를 그린다.
- 《DCeased: 데드 플래닛》(2020-2021): 《DCeased》의 후속작으로, 생존자들이 새로운 위협에 맞서는 내용을 담고 있다.
- 《DCeased: 워 오브 더 언데드 갓즈》(2022-2023): 《DCeased》 세계관의 최종장을 장식하는 시리즈이다.
- 《나이트윙》
- 《나이트윙》 (vol. 4) #78- (2021-): 2020년 12월, 브루노 레돈도와 함께 《나이트윙》 솔로 시리즈의 새로운 작가로 발표되었다. 2024년 2월에는 #114호부터 시작되는 5부작 스토리 아크 "폴른 그레이슨(Fallen Grayson)"을 끝으로 테일러와 레돈도의 연재가 종료될 것이 발표되었다. 이들의 연재 기간 동안 40개 이상의 이슈가 발행되었다. 《나이트윙》은 2023년과 2024년 아이스너상 '최고 연속 시리즈상'을 수상했으며, 2022년에는 #87호 '겟 그레이슨(Get Grayson)'으로 '최고 단일 이슈/원샷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슈퍼맨: 칼 엘의 아들》
- 《슈퍼맨: 칼 엘의 아들》 #1-18 (2021-2022): 슈퍼맨의 아들 존 켄트를 주인공으로 한 시리즈이다. 2021년 국민 커밍아웃의 날에 테일러는 존 켄트가 양성애자임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여 큰 화제를 모았다. 이는 코믹스 역사상 중요한 다양성 포용의 사례로 평가받는다.
- 기타 DC 코믹스 작품
- 《수어사이드 스쿼드》 #1-11 (2019-2020): 2021년 코믹 아트 어워드 오브 오스트레일리아(Comic Arts Award of Australia)를 수상했다.
- 《저스티스 리그/파워 레인저스》 #1-6 (2017)
- 《배트맨/슈퍼맨》 #28-30 (2016)
- 《그린 랜턴 군단: 엣지 오브 오블리비언》 #1-6 (2016)
- 《어스-2》 #17-29 (2013-2014)
- 《디텍티브 코믹스》 #1090 (2024)
- 《타이탄즈: 비스트 월드》 #1-6 (2023-2024)
- 《다크 나이츠 오브 스틸: 올윈터》 #1-6 (2024)
- 《배트맨 - 원 배드 데이: 라스 알 굴》(2023)
- 《슈퍼맨의 모험: 존 켄트》 #1-6 (2023)
- 《타이탄즈》 #1-15 (2023-2024)
- 《액션 코믹스》 #1050 (2022)
- 《배트맨 더 디텍티브》 #1-6 (2021)
- 《다크 나이츠 오브 스틸》 #1-12 (2021-2023)
- 《그린 애로우: 80주년》 #1 (2021)
- 《헬블레이저: 라이즈 앤 폴》 #1-3 (2020-2021)
- 《조커 80주년》 #1 (2020)
- 《아쿠아맨 자이언트 #3》(2020)
- 《이어 오브 더 빌런: 블랙 마스크》(2019)
- 《DCeased: 어 굿 데이 투 다이》 #1 (2019)
- 《DC 빌런스 자이언트》(2019)
- 《배트맨 연간 #3》(2018)
- 《배트맨 시크릿 파일즈 #1》(2018)
- 《DC 뉴클리어 윈터 스페셜 #1》(2018)
- 《인저스티스: 갓즈 어몽 어스 연간 #4》(2015)
- 《어스-2 연간 #2》(2014)
- 《인저스티스: 갓즈 어몽 어스 연간 #1》(2013)
- 《배트맨 레전드 오브 더 다크 나이트 - 더 크라임 네버 커미티드》(2012)
- 《로즈 앤 쏜》(2012)
- 《DC 유니버스 온라인: 레전드 - 브레이니악/시네스트로 군단 전쟁》(2011)
2.1.2. 마블 코믹스
테일러는 마블 코믹스에서도 중요한 작품들을 집필하며 독자들에게 새로운 캐릭터 해석과 흥미로운 스토리를 선보였다.
- 《올뉴 울버린》
- 《올뉴 울버린》 #1-35 (2015-2018): 로라 키니(X-23)가 새로운 울버린으로 활약하는 내용을 다루며, 캐릭터의 깊이와 감성적인 면을 잘 살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7년 IGN '최고 코믹북 시리즈' 후보에 올랐다.
- 《엑스맨 레드》
- 《엑스맨 레드》 #1-11 (2018): 진 그레이가 부활하여 새로운 엑스맨 팀을 이끄는 이야기를 그린다.
- 기타 마블 코믹스 작품
- 《슈피리어 아이언맨》 #1-9 (2014-2015): 토니 스타크가 도덕적으로 타락한 모습을 보이는 시기를 다룬다.
- 《스타워즈 레전드: 보바 펫 - 블러드 타이스》(2021): 과거 다크 호스 코믹스에서 출판되었던 시리즈의 재판본이다.
- 《마블스: 다크 에이지스》 #1-6 (2021-2022)
- 《데드풀: 블랙, 화이트 앤 블러드》 #1 (2021)
- 《이모탈 헐크: 그레이트 파워》(2020)
- 《프리 코믹 북 데이: 엑스맨》(2020)
- 《프렌들리 네이버후드 스파이더맨》 #1-14 (2019)
- 《워 오브 더 렐름스: 스트라이크포스 - 랜드 오브 자이언츠》(2019)
- 《스타워즈: 에이지 오브 레지스턴스 - 레이》(2019)
- 《스타워즈: 에이지 오브 레지스턴스 - 카일로 렌》(2019)
- 《스타워즈: 에이지 오브 레지스턴스 - 포 대머론》(2019)
- 《스타워즈: 에이지 오브 레지스턴스 - 헉스》(2019)
- 《스타워즈: 에이지 오브 레지스턴스 - 핀》(2019)
- 《스타워즈: 에이지 오브 레지스턴스 - 스노크》(2019)
- 《스타워즈: 에이지 오브 레지스턴스 - 로즈 티코》(2019)
- 《프리 코믹 북 데이: 스파이더맨》(2019)
- 《울버린을 찾아서: 아다만티움 어젠다》 #1-4 (2018)
- 《엑스맨 레드 연간》(2018)
- 《제너레이션스: 더 베스트》(2017)
- 《올뉴 울버린 연간》(2016)
- 《시크릿 워즈: 아틀라스의 요원들》 #1 (2015)
2.1.3. 다크 호스 코믹스
테일러는 다크 호스 코믹스에서 다수의 《스타워즈》 코믹스 시리즈를 집필하며 이 프랜차이즈에 크게 기여했다.
- 《스타워즈: 블러드 타이스》
- 《스타워즈: 블러드 타이스 - 장고와 보바 펫의 이야기》(2010): CNN에 의해 '보바 펫 이즈 데드(Boba Fett is Dead)'라는 도발적인 제목으로 보도되기도 했다. 이 시리즈는 2012년 영국 전역의 수천 명의 학생들이 투표한 '스탠 리 엑셀시어 어워드(Stan Lee Excelsior Award)'를 수상했다.
- 《스타워즈: 인베이전》
- 《스타워즈: 인베이전 볼륨 1: 레퓨지스》(2009)
- 《스타워즈: 인베이전 볼륨 2: 레스큐스》(2011)
- 《스타워즈: 인베이전 볼륨 3: 레벨레이션스》(2012)
- 기타 다크 호스 코믹스 작품
- 《스타워즈: 다스 몰 - 데스 센텐스》(2012): 《클론 전쟁》 TV 시리즈 4시즌 직후를 배경으로 한다.
- 《스타워즈 어드벤처스: 루크 스카이워커와 드래곤스네이크의 보물》(2010): 《스타워즈 에피소드 5: 제국의 역습》 시기에 루크 스카이워커가 요다와 함께 다고바에서 훈련하는 미공개 이야기를 담고 있다.
- 《스타워즈 어드벤처스: 다스 베이더의 의지》(2010)
- 다크 호스 부사장 랜디 스트래들리(Randy Stradley)는 톰 테일러가 자신이 본 어떤 작가보다도 빠르게 코믹스 작문에 적응했다고 언급했다.
2.1.4. 기타 출판사
테일러는 붐! 스튜디오스, 펭귄 랜덤 하우스, 게슈탈트 퍼블리싱 등 다양한 독립 출판사에서도 성공적인 작품들을 선보였다.
- 붐! 스튜디오스
- 《세븐 시크릿》(2020-2021): 출시 당시 붐! 스튜디오스 역사상 가장 높은 판매량을 기록한 오리지널 시리즈였다.
- 《더 딥》 #1-6 (재판본) (2017)
- 《파워 레인저스》 연간 (2017)
- 펭귄 랜덤 하우스
- 《네버랜더스》(2022): 존 소마리바(Jon Sommariva)와 함께 작업한 이 그래픽 노블은 2023년 올해의 아동 도서상: 고학년 부문을 수상한 최초의 그래픽 노블이 되었다.
- 게슈탈트 퍼블리싱
- 《더 딥: 히어 비 드래곤스》(2011): 오스트레일리아 최고의 추측 소설 문학상인 아우레알리스상 '최고 삽화 도서/그래픽 노블상'을 수상했다.
- 《더 딥: 더 배니싱 아일랜드》(2013): 전작에 이어 2014년 다시 아우레알리스상을 수상했다.
- 《M.I.D.A.S.》(2015)
- 《더 이그잼플》(2009): 그의 연극 작품을 코믹스로 각색한 것이다.
- 《플린치》(2009), 《롬비즈》(2009), 《브리프 케이시스》(2012)
- 와일드스톰
- 《디 오소리티》 #22-29 (2010): 와일드스톰 임프린트가 종료될 때까지 집필했다.
- IDW 퍼블리싱
- 《인 더 다크 앤솔로지: 인 플레인 사이트》(2014)
- 《진라이즈 #3》(2013)
- 《록키티어 어드벤처스 - 워크 투 두》(2012)
- 2000 AD
- 《사그스 스릴러스: 15》(2012)
2.2. 극작 및 연극
톰 테일러는 14세부터 연극 무대에서 활동하며 다수의 연극과 뮤지컬을 집필했다. 그의 작품들은 전 세계적으로 공연되었으며, 특히 단막극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 《더 이그잼플 (The Example)》
- 2005년 '쇼트 앤 스위트' 페스티벌에서 '최고 드라마 작문상'을 수상한 대표작이다.
- 공연지: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2006), 에든버러 페스티벌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2008), 더 엣지 퍼포밍 아츠 & 컨벤션 센터 (뉴질랜드 오클랜드, 2010), 에스플러네이드 (싱가포르, 2006), 브라이튼 페스티벌 프린지 (잉글랜드 브라이튼, 2006), 브리즈번 파워하우스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2008), 멜버른 아트 센터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2005), 시모어 센터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2006), 아랄루엔 아트 센터 (오스트레일리아 앨리스 스프링스, 2008), 다윈 엔터테인먼트 센터 (오스트레일리아 다윈, 2008), 케언즈 시빅 시어터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2008), 록햄프턴 퍼포밍 아츠 센터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2008), 캔버라 시어터 센터 (오스트레일리아 ACT, 2008).
- 기타 연극 작품
- 《드립 (DRIP)》: 스트래튼 플레이어스 (미국 보스턴, 2007), 뉴타운 시어터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2009), 칼튼 코트하우스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2008).
- 《폴링 프레잉 (FALLING PRAYING)》: 에든버러 프린지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2009), 퍼레이드 플레이하우스 국립 드라마 예술 연구소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2010), 멜버른 아트 센터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2008).
- 《빌리브 (BELIEVE)》: 바이트 사이즈 시어터 (잉글랜드 브라이튼, 2007), 뉴타운 시어터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2007).
- 《프로테스트 (PROTEST)》: 페어팩스 시어터, 멜버른 아트 센터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2007), 뉴타운 시어터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2007).
- 《미스터리 플라이트 (MYSTERY FLIGHT)》: 채플 오프 채플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2009).
- 《A4 2 A3》 (사이먼 발로우와 공동 집필): 국립 드라마 예술 연구소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2007).
- 《시티 헤드 (CITY HEAD)》: 멜버른 트레이드 홀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2007).
- 《나자닌 (NAZANIN)》: BDP 앙상블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2006).
- 《마이 먼스 애즈 어 멤버 (MY MONTH AS A MEMBER)》: 올드 피츠로이 호텔 시어터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2005).
- 《더 레이팅스 워 (THE RATINGS WAR)》 (다니엘 홀, 사이먼 발로우와 공동 집필): 라 마마 시어터 멜버른 코미디 페스티벌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2004).
- 《캔디데이트 (CANDIDATE)》 (다니엘 홀, 사이먼 발로우, 조 귀튼과 공동 집필): 라 마마 시어터 멜버른 코미디 페스티벌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2003).
- 《하드 러비시 위크 (HARD RUBBISH WEEK)》 (스크립트 코디네이터): 아테나움 시어터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2003).
2.3. 영상 매체
톰 테일러는 자신의 그래픽 노블을 기반으로 한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성공을 통해 영상 매체 분야에서도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 《더 딥》 TV 시리즈
- 테일러는 자신의 그래픽 노블 《더 딥》을 원작으로 한 CG 애니메이션 시리즈 《더 딥》의 공동 제작자, 총괄 프로듀서, 그리고 수석 작가로 활동했다.
- 이 시리즈는 총 4시즌에 걸쳐 65개의 에피소드가 제작되었으며, 넷플릭스와 CBBC를 포함한 130개 이상의 지역에서 전 세계적으로 방영되었다.
- 《더 딥》은 영국과 그리스 등 여러 지역에서 시청률 1위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2017년 골데너 슈파츠(Goldener Spatz) 상과 키즈스크린(Kidscreen) '최고 신작 시리즈상'을 수상했으며, 2022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 효과 및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에서 'TV 시리즈 - 아동 부문' AEAF 상을 수상했다. 2019년에는 영국 아카데미 영화 텔레비전 예술상 '최고 국제 애니메이션'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인저스티스》 (2021년 영화)
- 2021년 개봉한 애니메이션 영화 《인저스티스》는 DC 유니버스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영화 라인의 일부로, 테일러의 코믹스 《인저스티스: 이어 원》과 게임 《인저스티스: 갓즈 어몽 어스》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 《클레버맨》
- 테일러는 TV 시리즈 《클레버맨》의 세 번째 시즌 작가진에 합류했다.
- 《더 이그잼플》 (영화 각색)
- 테일러는 자신의 연극 《더 이그잼플》의 영화 각색본을 집필했으며, 이 작품은 2011년 스테이플 픽션(Staple Fiction)에 의해 영화화되었다.
- 《A4 투 A3》
- 사이먼 발로우와 공동 집필한 그의 수상 경력에 빛나는 단편 뮤지컬 《A4 투 A3》는 2009년 브라바다 필름(Bravada Films)에 의해 영화화되었고, 테일러가 각본을 맡았다. 이 영화는 2010년 4월 29일 뉴포트 비치 영화제에서 초연되었다.
3. 사상 및 이념
톰 테일러의 작품은 단순히 엔터테인먼트를 넘어 사회적 관점과 다양성 포용에 대한 그의 깊은 사상을 반영한다. 특히, 그는 주류 코믹스에서 소외되었던 소수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그들의 존재를 가시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슈퍼맨: 칼 엘의 아들》 시리즈에서 슈퍼맨의 아들 존 켄트를 양성애자로 묘사한 것이다. 2021년 국민 커밍아웃의 날에 테일러는 존 켄트가 남성 캐릭터와 로맨틱한 관계를 맺을 것이라고 발표하며, 슈퍼히어로 코믹스에서 성소수자 캐릭터의 중요한 진전을 이끌었다. 이러한 결정은 단순한 설정 변경을 넘어, 주류 문화에서 성적 지향성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포용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테일러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인권, 정의, 그리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감과 이해를 지속적으로 강조한다. 그의 작품들은 종종 사회적 불평등, 폭력, 그리고 권력 남용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들을 슈퍼히어로 장르의 틀 안에서 비판적으로 탐구하며, 독자들이 더 나은 세상을 상상하고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영감을 준다. 이러한 그의 사상적 경향은 코믹스 산업 내에서 다양성과 포용성을 증진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4. 수상 및 인정
톰 테일러는 코믹스, 애니메이션,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의 뛰어난 재능을 인정받아 수많은 상을 수상하고 후보에 지명되었다.
- 수상
- 2024년 아이스너상 '최고 단일 이슈/원샷상' (《나이트윙》 #105: '유 아 나이트윙')
- 2023년 올해의 아동 도서상: 고학년 부문 (《네버랜더스》)
- 2023년 아이스너상 '최고 연속 시리즈상' (《나이트윙》)
- 2023년 코믹 아트 어워드 오브 오스트레일리아 (《네버랜더스》)
- 2022년 오스트레일리아 효과 및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TV 시리즈 - 아동 부문' AEAF 상 (《더 딥》 시즌 4)
- 2021년 코믹 아트 어워드 오브 오스트레일리아 (《수어사이드 스쿼드: 배드 블러드》)
- 2020년 오스트레일리아 섀도우 어워드 '최고 그래픽 노블상' (《헬블레이저: 라이즈 앤 폴》)
- 2019년 오스트레일리아 섀도우 어워드 '최고 그래픽 노블상' (《DCeased》)
- 2018년 레저 어워드 (《인저스티스 2》)
- 2017년 골데너 슈파츠(Goldener Spatz) 상 (《더 딥》)
- 2017년 키즈스크린 '최고 신작 시리즈상' (《더 딥》)
- 2014년 IGN '최고 디지털 시리즈상' (《인저스티스: 갓즈 어몽 어스》)
- 2014년 IGN '피플스 초이스상' (《인저스티스: 갓즈 어몽 어스》)
- 2013년 아우레알리스상 '최고 삽화 도서/그래픽 노블상' (《더 딥: 더 배니싱 아일랜드》)
- 2013년 IGN '최고 디지털 시리즈 피플스 초이스상' (《인저스티스: 갓즈 어몽 어스》)
- 2012년 '스탠 리 엑셀시어 어워드' (《스타워즈: 블러드 타이스》)
- 2012년 아우레알리스상 '최고 삽화 도서/그래픽 노블상' (《더 딥: 히어 비 드래곤스》)
- 2007년 쇼트, 스위트 앤 송 피플스 초이스상 - 'A4 2 A3'
- 2005년 '쇼트 앤 스위트' '최고 드라마 작문상' (《더 이그잼플》)
- 후보 지명
- 2024년 아이스너상 '최고 작가상'
- 2024년 GLAAD 미디어 어워드 '최고 코믹북상' (《슈퍼맨의 모험: 존 켄트》)
- 2024년 아이스너상 '최고 연속 시리즈상' (《나이트윙》)
- 2024년 드래곤 어워드 '최고 코믹북상' (《나이트윙》)
- 2023년 아우레알리스상 '최고 삽화 도서/그래픽 노블상' (《네버랜더스》)
- 2023년 아이스너상 '최고 리미티드 시리즈상' (《배트맨: 원 배드 데이》)
- 2023년 엑셀시어 어워드 (《다크 나이츠 오브 스틸》)
- 2023년 GLAAD 미디어 어워드 '최고 코믹북상' (《슈퍼맨: 칼 엘의 아들》)
- 2022년 링고 어워드 '최고 작가상'
- 2022년 아이스너상 '최고 연속 시리즈상' (《나이트윙》)
- 2022년 GLAAD 미디어 어워드 '최고 코믹북상' (《슈퍼맨: 칼 엘의 아들》)
- 2022년 드래곤 어워드 '최고 코믹북상' (《나이트윙》)
- 2022년 아이스너상 '최고 단일 이슈/원샷상' (《나이트윙》 #87: '겟 그레이슨')
- 2020년 브리티시 판타지 어워드 '최고 코믹/그래픽 노블상' (《DCeased》)
- 2020년 GLAAD 미디어 어워드 '최고 코믹북상' (《수어사이드 스쿼드》)
- 2019년 영국 아카데미 영화 텔레비전 예술상 '최고 국제 애니메이션' (《더 딥》)
- 2019년 IGN '최고 리미티드 코믹북 또는 미니시리즈상' (《DCeased》)
- 2017년 IGN '최고 코믹북 작가상'
- 2017년 IGN '최고 코믹북 시리즈상' (《올뉴 울버린》)
- 2017년 IGN '최고 신작 시리즈상' (《인저스티스 2》)
- 2017년 IGN '최고 리미티드 코믹북 또는 미니시리즈상' (《저스티스 리그/파워 레인저스》)
- 2016년 오스트레일리아 작가 길드 산업상 '최고 아동 텔레비전' (《더 딥》 - 에피소드 5 - 데블스 시 미스터리)
- 2016년 AACTA 어워드 '최고 아동 텔레비전 시리즈상' (《더 딥》)
- 2015년 오스트레일리아 작가 길드 산업상 '최고 아동 텔레비전' (《더 딥》 - 에피소드 4 - 디깅 디퍼)
- 2015년 존 힌드 과학 소설 작문 우수상 (《더 딥 (2015년 TV 시리즈)》)
- 2009년 다이아몬드 젬 어워드 (《스타워즈: 인베이전》)
- 2008년 바이트-사이즈 UK 국제 희곡 공모전 최종 후보 (《어 쇼트 플레이 포 어 컴페티션》)
- 2008년 쇼트 앤 스위트 - '최고 코미디 각본' 및 '최고 프로덕션' 후보 (《폴링, 프레잉》)
- 2005년 '라이트 나우' 전국 젊은 극작가상 최종 후보 (《마이 먼스 애즈 어 멤버》)
5. 개인 생활
톰 테일러의 개인적인 삶에 대한 공개된 정보는 많지 않다. 그는 1978년 11월 29일에 태어났으며, 결혼 여부나 가족 관계 등 사적인 세부 사항은 대중에게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6. 영향력
톰 테일러는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작가로서 코믹스 산업과 대중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작품은 단순히 상업적 성공을 넘어, 스토리텔링의 깊이와 사회적 메시지를 통해 독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특히, 《인저스티스》 시리즈는 디지털 코믹스의 인기를 견인하며 새로운 독자층을 유입하는 데 기여했고, 게임 원작 코믹스가 성공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 선례가 되었다. 또한, 《더 딥》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전 세계적인 성공은 그의 그래픽 노블이 다양한 매체로 확장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가장 중요한 영향력 중 하나는 그의 작품이 다양성과 포용성을 적극적으로 옹호한다는 점이다. 《슈퍼맨: 칼 엘의 아들》에서 존 켄트를 양성애자로 설정한 것은 주류 슈퍼히어로 코믹스에서 성소수자 캐릭터의 가시성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러한 시도는 후대 작가들에게도 영감을 주어 코믹스 내에서 더욱 다양한 정체성과 경험을 다루는 길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작품은 엔터테인먼트적 재미와 함께 사회적 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하며, 현대 코믹스의 중요한 흐름을 형성하는 데 일조했다.
7. 관련 항목
- DC 코믹스
- 마블 코믹스
- 다크 호스 코믹스
- 인저스티스: 갓즈 어몽 어스 (코믹스)
- DCeased
- 나이트윙
- 슈퍼맨: 칼 엘의 아들
- 올뉴 울버린
- 더 딥 (TV 시리즈)
- 아이스너상
- 아우레알리스상
8. 외부 링크
- [https://www.imdb.com/name/nm3650771/ 톰 테일러 IMDb]
- [http://www.tomtaylormade.com 공식 웹사이트]
- [http://www.doollee.com/PlaywrightsT/taylor-tom-2.html 톰 테일러 doollee.com]
- [https://twitter.com/TomTaylorMade 톰 테일러 트위터]
- [https://www.gq.com/story/how-injustice-beat-dc-comics-movies-at-their-own-game GQ 인터뷰: 톰 테일러의 인저스티스가 DC 코믹스 영화를 이긴 방법]
- [https://www.smh.com.au/entertainment/books/meet-tom-taylor-he-may-just-have-the-best-job-in-the-world-20190729-p52bp9.html 시드니 모닝 헤럴드 인터뷰: 톰 테일러를 만나다. 그는 아마도 세상에서 가장 좋은 직업을 가졌을 것이다.]
- [https://www.rollingstone.com/glixel/interviews/writer-tom-taylor-on-his-injustice-comics-and-wonder-woman-w485654 롤링 스톤 인터뷰: 작가 톰 테일러의 인저스티스 코믹스와 원더 우먼]
- [https://www.avclub.com/batman-x-men-red-and-the-superpower-of-empathy-in-tom-1831063847 A.V. 클럽 인터뷰: 톰 테일러 코믹스 속 배트맨, 엑스맨 레드, 그리고 공감의 초능력]
- [https://www.hollywoodreporter.com/heat-vision/boom-studios-sets-seven-secrets-august-1294884 할리우드 리포터: 붐 스튜디오스, '세븐 시크릿' 8월 출시 예정]
- [http://comicbookresources.com/?page=article&id=19915 CBR.com: NYCC, 톰 테일러가 "스타워즈: 인베이전"을 이끌다]
- [https://www.theaustralian.com.au/news/in-a-superhero-free-world/story-e6frg90f-1225707797708 호주 언론: 슈퍼히어로 없는 세상]
- [https://undercoverfanboy.com/2010/04/15/the-undercover-fanboy-interviews-writer-tom-taylor/ 언더커버 팬보이 인터뷰: 작가 톰 테일러]
- [http://theauthority.ws/interviews/taylor1.htm 더 하이어 오소리티: 코믹스의 극장]
- [http://www.theage.com.au/news/entertainment/film/the-fan-force/2009/06/03/1243708504480.html 디 에이지: 팬 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