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톰마소 살바도리 팔레오티는 이탈리아의 백작 가문에서 태어나 의학 교육을 받았으며, 이탈리아 통일 운동에 참여하는 등 다채로운 생애를 보냈다.
1.1. 출생 및 가족
아델라르도 톰마소 살바도리 팔레오티 백작은 1835년 9월 30일 이탈리아 마르케주 페르모현의 포르토산조르조에서 루이지 살바도리 백작과 영국인 어머니 에셀린 웰비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형제 조르조는 사촌 아델레 에밀리아니와 결혼하여 다섯 자녀를 두었다. 그의 조카 굴리엘모 살바도리 팔레오티는 자친타 갈레티 데 카딜하크와 결혼하여 글래디스, 마시모 살바도리, 조이스 루수 세 자녀를 두었다.
1.2. 교육
살바도리는 피사 대학교와 로마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으며, 피사 대학교에서 의학 학위를 취득했다.
1.3. 군사 활동
1860년, 살바도리는 주세페 가리발디가 이끄는 시칠리아 원정대인 천인대 원정에 군의관으로 참여하여 이탈리아 통일 운동에 기여했다.
2. 주요 업적 및 활동
살바도리는 군사 활동 이후 학자의 길을 걸으며 조류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특히 박물관에서의 역할과 아시아 조류 연구에 집중했다.
2.1. 자연사학자로서의 경력
군사 활동 이후 살바도리는 토리노에 정착하여 조류학 연구에 매진했다. 그는 1863년부터 1879년까지 토리노 대학교 동물학 박물관의 필리포 데 필리피의 조수로 일했으며, 1879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토리노 자연사 박물관의 부관장을 역임했다. 그의 재직 기간 동안 박물관의 조류 표본 컬렉션은 이탈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1862년에 사르디니아 조류 목록을 출판하는 등 일찍부터 조류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2.2. 연구 분야 및 저술
살바도리는 아시아 조류 분류의 전문가였다. 그는 제노바 시립 자연사 박물관에 소장된 이 지역의 방대한 조류 컬렉션과 파리, 런던, 베를린, 레이던의 동인도 조류 컬렉션을 연구했다. 1880년에는 런던 자연사 박물관의 초청으로 런던에서 박물관의 『조류 목록』 3권 작업에 참여했으며, 1890년부터 1891년까지는 런던 자연사 박물관의 표본을 분류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그의 연구는 이탈리아 탐험가 루이지 마리아 달베르티스 등이 수집한 표본을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그는 조류학 분야에서 30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1874년의 『보르네오 조류 분류 목록』(Catalogo Sistimatica Degli Uccelli di Borneo이탈리아어)과 1880년의 『파푸아와 몰루카의 조류학』(Ornitologia della Papuasia e delle Molucche이탈리아어) 등이 있다.
그의 주요 저작 목록은 다음과 같다.
- Monografia del Gener Ceyx Lacépède. Torino (1869) (Atti della Accademia delle Scienze di Torino)
- Nuove specie di uccelli dei generi Criniger, Picus ed Homoptila Nov. Gen.. Torino (1871) (Atti della R. Accademia delle Scienze)
- Intorno al Cypselus horus. Torino (1872) (Atti della R. Accademia delle Scienze) (O. 안티노리 공저)
- Intorno ad un nuovo genere di Saxicola. Torino (1872) (Atti della R. Accademia delle Scienze) (O. 안티노리 공저)
- Nuova specie del Genere Hyphantornis. Torino (1873) (Atti della R. Accademia delle Scienze)
- Di alcune specie del Genere Porphyrio Briss.. Torino (1879) (Atti della R. Accademia delle Scienze)
- Ornitologia della Papuasia e delle Molucche. Torino (1879) (Atti della R. Accademia delle Scienze)
- Osservazioni intorno ad alcune specie del Genere Collocalia G.R. Gr.. Torino (1880) (Atti della R. Accademia delle Scienze)
- Collezioni ornitologiche fatte nelle isole del Capo Verde da Leonardo Fea. Annali Museo Civico di Storia Naturale di Genova (2) 20: 1-32. (1889)
- Catalogue of the Psittaci, or parrots,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London (1891)
- Catalogue of the Columabe, or pigeons,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London (1893)
- Catalogue of the Chenomorphae (Palamedeae, Phoenicopteri, Anseres) Crypturi and Ratitae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London (1895)
- Due nuove specie di Uccelli dell'Isola di S. Thomé e dell'Isola del Principe raccolte dal sig. Leonardo Fea. Bollettino della Società dei Musei di Zoologia ed Anatomia comparata della R. Università di Torino (1901)
- Uccelli della Guinea Portoghese raccolti da Leonardo Fea. Annali del Museo Civico di Storia Naturale di Genova (1901)
- Caratteri di due nuove specie di Uccelli di Fernando Po. Bollettino della Società dei Musei di Zoologia ed Anatomia comparata della R. Università di Torino (1903)
- Contribuzioni alla ornitologia delle Isole del Golfo di Guinea. Memorie della Reale Academia delle Scienze di Torino, serie II, tomo LIII (1903)
- I - 프린시페섬의 조류
- II - 상투메섬의 조류
- III - 아노봉 및 페르난도포의 조류
톰마소 살바도리의 이름이 헌정된 사자나미오리속(Salvadorina)에 속하는 사자나미오리
3. 평가 및 영향
톰마소 살바도리는 이탈리아 조류학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으며, 그의 업적은 후대에까지 큰 영향을 미쳤다.
3.1. 긍정적 평가
살바도리는 300편이 넘는 조류학 논문을 저술하며 이탈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조류학자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는 토리노 자연사 박물관의 조류 표본 컬렉션을 이탈리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아시아 조류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는 해당 지역의 조류 분류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런던 동물학회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된 것은 그의 국제적인 명성을 보여준다.

3.2. 헌사 및 기념
톰마소 살바도리의 학문적 공헌을 기리기 위해 여러 동식물 종의 학명에 그의 이름이 헌정되었다.
조류 종으로는 다음과 같다.
- 살바도리꿩 (Lophura inornata)
- 살바도리무화과앵무 (Psittaculirostris salvadorii)
- 노란머리꼬마앵무 (Micropsitta keiensis)
- 살바도리쏙독새 (Caprimulgus pulchellus)
- 살바도리개미지빠귀 (Myrmotherula minor)
- 살바도리에레모멜라 (Eremomela salvadorii)
- 살바도리참새 (Serinus xantholaemus)
- 사자나미오리속 (Salvadorina waigiuensis)
파충류 종으로는 다음과 같다.
- 악어모니터 (Varanus salvadorii) - 살바도리모니터, 파푸아모니터, 아르텔리아 등으로도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