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어니스트 모리스 "키키" 반더웨그 3세(Ernest Maurice "Kiki" VanDeWeghe III영어, 1958년 8월 1일 출생)는 독일에서 태어난 미국-캐나다 국적의 전직 농구 선수이자 코치, 그리고 임원이다. 그는 NBA에서 선수로서 두 차례 올스타에 선정되었고, 은퇴 후에는 덴버 너기츠와 뉴저지 네츠의 단장(General Manager), 그리고 네츠의 임시 감독을 역임했다. 2013년부터 2021년까지 NBA 리그 운영 부사장으로 활동했으며, 이후 고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3년에는 조부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성의 철자를 "Vandeweghe"에서 "VanDeWeghe"로 변경했다.
2. 유년기와 교육
2.1. 출생 및 가족 배경
q=Wiesbaden|position=left
반더웨그는 1958년 8월 1일 서독의 비브스바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전 NBA 선수였던 어니 반더웨그이며, 어머니는 1952년 미스 아메리카 우승자였던 콜린 케이 허친스이다. 어린 시절 미국으로 돌아와 성장했다. 그는 NBA 선수이자 네 차례 올스타에 선정되었던 멜 허친스의 조카이기도 하다. 또한, 그의 조카인 코코 반더웨그는 프로 테니스 선수로 활동했다. 반더웨그는 아내 페기와 사이에 2002년 태어난 아들 어니스트 모리스 리스 반더웨그 4세를 두었다. 그의 또 다른 조카인 휴 반더웨그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NCAA 디비전 I 농구 선수로 뛰고 있다.
반더웨그는 경력의 대부분 동안 자신의 성을 "Vandeweghe"로 표기했으나, 2013년 돌아가신 친할아버지이자 자신의 이름과 같은 이름을 기리기 위해 성의 철자를 "VanDeWeghe"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2.2. 대학 경력
반더웨그는 UCLA에서 4시즌 동안 대학 농구 선수로 활약했다. 특히 4학년 시즌에는 팀에 대한 기대치가 이전 시즌보다 낮았다. 당시 팀은 데이비드 그린우드, 로이 해밀턴, 브래드 홀랜드 등 세 명의 주전 선수가 NBA 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으로 떠났고, 래리 브라운이라는 신임 감독이 대학팀을 처음 맡았다. 이들의 빈자리는 주로 신인 선수들인 "로켓" 로드 포스터, 마이클 홀튼, 대런 데이와 2학년생 마이크 샌더스로 채워졌다. 반더웨그와 제임스 윌크스가 팀의 유일한 4학년생이었다.
시즌 초반 팀은 다소 부진했으나, 후반기에 들어서면서 조직력을 다져 정규 시즌을 17승 9패로 마쳤다. "키키와 아이들"이라는 별명이 붙었던 UCLA 브루인스 농구팀은 1980년 NCAA 남자 농구 토너먼트에 48번째이자 마지막 팀으로 선정되었다. 반더웨그의 활약에 힘입어 브루인스는 마크 아귀레가 이끄는 1위 팀 디폴을 꺾는 이변을 연출하며 결승전까지 진출했다. 그러나 결승에서는 대럴 그리피스가 이끄는 루이빌 대학교에 패했다. 반더웨그는 4학년 때 평균 19.5득점을 기록하며 팀의 주축으로 활약했다.
3. 프로 선수 경력
반더웨그는 NBA에서 13시즌 동안 활약하며 뛰어난 득점 능력을 보여주었다.
3.1. 초기 NBA 경력 (덴버 너기츠)
반더웨그는 1980년 NBA 드래프트에서 댈러스 매버릭스에 전체 11순위로 지명되었으나, 댈러스에서 뛰는 것을 거부하고 트레이드를 요청했다. 이로 인해 그는 선수 경력의 거의 대부분 동안 댈러스에서 경기를 할 때마다 야유를 받았다. 그는 결국 1980년 12월 3일 덴버 너기츠로 트레이드되었다.
너기츠 소속으로 반더웨그는 1983년과 1984년에 두 차례 서부 콘퍼런스 올스타 팀에 선정되었다. 그는 1983년에 평균 26.7득점으로 리그 득점 2위를 기록했고, 1984년에는 개인 최고 기록인 평균 29.4득점으로 득점 3위를 기록했다. 특히 1982-83 시즌에는 팀 동료인 알렉스 잉글리시가 득점 1위를 차지하여, 한 팀에서 두 명의 선수가 리그 득점 1, 2위를 독점한 유일한 사례를 만들었다. 그는 7시즌 연속으로 평균 20득점 이상을 기록하며 리그의 탁월한 득점원과 외곽 슈터로 자리매김했다. 반더웨그는 스텝백 동작을 특히 능숙하게 사용하여, 그의 경력 후반에는 이 동작이 "키키 무브"로 불리기도 했다.
1983-84 시즌 동안 반더웨그는 두 차례의 NBA 기록 경기에서 50득점 이상을 득점했다. 첫 번째는 1983년 12월 13일 디트로이트 피스톤스와의 경기에서 개인 최고 기록인 51득점을 기록한 경기였다. 이 경기는 NBA 역사상 양 팀 합산 최다 득점 경기로, 세 번의 연장전 끝에 186-184로 패했다. 두 번째는 1984년 1월 11일 샌안토니오 스퍼스와의 경기에서 50득점을 기록한 경기였는데, 당시 NBA 정규 시즌 최고 합산 득점 경기인 163-155 승리 경기였다.
3.2. 후기 NBA 경력 (트레일블레이저스, 닉스, 클리퍼스)
1984년 여름, 반더웨그는 캘빈 내트, 웨인 쿠퍼, 팻 레버 및 두 장의 드래프트 지명권과 교환되어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로 트레이드되었다. 포틀랜드에서 그는 클라이드 드렉슬러와 함께 역동적인 득점 듀오를 형성하며 여러 생산적인 시즌을 보냈고, 경기당 평균 25득점에 가까운 득점을 기록했다. 포틀랜드 이적 후 3년 연속 팀 내 득점왕을 차지했다. 1986년 NBA 플레이오프에서는 그의 친정팀인 너기츠에게 1라운드에서 패했지만, 경기당 플레이오프 개인 최고 기록인 28득점을 기록했다. 1987년 3월 5일, 그는 시애틀 슈퍼소닉스와의 경기에서 트레일블레이저스 선수로서 개인 최고 기록인 48득점을 기록했으나, 팀은 127-122로 패했다.
그러나 1987-88 시즌 동안 반더웨그는 등 부상을 입었고, 제롬 커시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었다. 이듬해 그는 그의 아버지가 선수 생활 전체를 보냈던 뉴욕 닉스로 트레이드되어 몇 년간 뛰었다. 이후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에서 반 시즌을 보낸 후 1992-93 시즌을 끝으로 리그에서 은퇴했다.
반더웨그는 13시즌 중 12시즌 동안 팀이 NBA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지만, 그의 팀은 단 한 번도 NBA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지 못했다. NBA 통산 기록은 810경기에 출전하여 총 15,980득점(평균 19.7득점)이다.
4. 임원 및 코치 경력
선수 은퇴 후 반더웨그는 농구 프런트 오피스와 코치로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4.1. 프런트 오피스 역할
반더웨그는 은퇴 후 처음으로 댈러스 매버릭스에서 프런트 오피스 역할을 맡았으며, 디르크 노비츠키의 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댈러스에 있는 동안 그는 잠시 어시스턴트 코치로도 활동했다.
2001년 8월 9일, 반더웨그는 친정팀인 덴버 너기츠의 단장으로 임명되었고, 너기츠가 NBA 플레이오프에 복귀하는 것을 이끌었다. 그가 주도한 주요 영입에는 2003년 카멜로 앤서니의 드래프트 지명, 2002년 마커스 켐비의 트레이드 영입, 2005년 조지 칼 감독의 고용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일부 다른 영입은 실패로 돌아가거나 기대했던 성과를 내지 못했는데, 2002년 니콜로즈 츠키티슈빌리의 드래프트 지명과 2003-04 시즌 말 뉴저지 네츠와 케년 마틴을 영입하기 위한 사인 앤 트레이드 계약 등이 그러했다. 2006년 플레이오프에서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에게 1라운드에서 탈락한 직후, 너기츠는 반더웨그의 계약을 갱신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2006-07 시즌 동안 ESPN의 농구 분석가로 활동하며 채널의 스포츠센터 및 NBA 슈트어라운드 프로그램 등에 출연했다. 그러나 2007년 12월 31일, 네츠는 반더웨그가 팀 사장 겸 단장인 로드 손의 특별 보좌관으로 합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반더웨그는 앞서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로 떠난 에드 스테판스키의 후임이었다.
4.2. 코칭 (뉴저지 네츠)
2009년 12월 1일, 반더웨그는 뉴저지 네츠의 임시 감독으로서의 임무를 맡기로 합의했으며, 동시에 팀의 단장 역할도 계속 수행했다. (다만 12월 2일 경기에서는 어시스턴트 코치 톰 배리스가 감독을 맡았다.) 반더웨그는 네츠가 2009-10 시즌을 16연패로 시작한 후 로렌스 프랭크 감독의 뒤를 이어 임시 감독이 되었다. 그는 델 해리스를 어시스턴트 코치로 고용하여 자신의 "사실상 공동 감독"으로 삼으려 했으나, 해리스는 시즌 중반인 2010년 2월 2일 사임했다. 해리스는 자신이 반더웨그와 맺었던 감독직 제안에 대한 이면 계약이 실패했다는 것을 알게 된 후 사임한 것으로 알려졌다.
네츠의 소유권이 미하일 프로호로프에게 넘어간 후, 그는 반더웨그가 다음 시즌에 복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반더웨그는 네츠 감독으로서 64경기에서 12승 52패를 기록하여 승률 0.188을 기록했다. 이는 구단 역사상 최악의 시즌인 12승 70패로 이어졌다.
4.3. NBA 리그 임원
반더웨그는 2013년 NBA 리더십 팀에 합류하여 8년 동안(2013년~2021년) 농구 운영 부사장을 역임했다. 2021년에는 NBA 커미셔너 애덤 실버와 리그 운영 사장 바이런 스프루엘의 고문 역할로 전환되었다.
5. 통계 및 기록
다음은 키키 반더웨그의 선수 및 감독으로서의 주요 통계 기록입니다.
5.1. 선수 경력 통계
연도 | 팀 | 출장 경기 | 선발 출장 | 경기당 출전 시간 | 야투 성공률 | 3점슛 성공률 | 자유투 성공률 | 경기당 리바운드 | 경기당 어시스트 | 경기당 스틸 | 경기당 블록 | 경기당 득점 |
---|---|---|---|---|---|---|---|---|---|---|---|---|
1980 | 덴버 | 51 | - | 27.0 | .426 | .000 | .818 | 5.3 | 1.8 | 0.6 | 0.5 | 11.5 |
1981 | 덴버 | 82 | 78 | 33.8 | .560 | .077 | .857 | 5.6 | 3.0 | 0.6 | 0.4 | 21.5 |
1982 | 덴버 | 82 | 79 | 35.5 | .547 | .294 | .875 | 5.3 | 2.5 | 0.8 | 0.5 | 26.7 |
1983 | 덴버 | 78 | 71 | 35.1 | .558 | .367 | .852 | 4.8 | 3.1 | 0.7 | 0.6 | 29.4 |
1984 | 포틀랜드 | 72 | 69 | 34.8 | .534 | .333 | .896 | 3.2 | 1.5 | 0.5 | 0.3 | 22.4 |
1985 | 포틀랜드 | 79 | 76 | 35.3 | .540 | .125 | .869 | 2.7 | 2.4 | 0.7 | 0.2 | 24.8 |
1986 | 포틀랜드 | 79 | 79 | 38.3 | .523 | .481 | .886 | 3.2 | 2.8 | 0.7 | 0.2 | 26.9 |
1987 | 포틀랜드 | 37 | 7 | 28.1 | .508 | .379 | .878 | 2.9 | 1.9 | 0.6 | 0.2 | 20.2 |
1988 | 포틀랜드 | 18 | 1 | 24.0 | .475 | .421 | .879 | 1.9 | 1.9 | 0.4 | 0.2 | 13.9 |
1988 | 뉴욕 | 27 | 0 | 18.6 | .464 | .300 | .911 | 1.3 | 1.3 | 0.4 | 0.3 | 9.2 |
1989 | 뉴욕 | 22 | 13 | 25.6 | .442 | .526 | .917 | 2.4 | 1.9 | 0.7 | 0.1 | 11.7 |
1990 | 뉴욕 | 75 | 72 | 32.3 | .494 | .362 | .899 | 2.4 | 1.5 | 0.6 | 0.1 | 16.3 |
1991 | 뉴욕 | 67 | 0 | 14.3 | .491 | .394 | .802 | 1.3 | 0.9 | 0.2 | 0.1 | 7.0 |
1992 | L.A. 클리퍼스 | 41 | 3 | 12.0 | .453 | .324 | .879 | 1.2 | 0.6 | 0.3 | 0.2 | 6.2 |
경력 | 810 | 548 | 30.3 | .525 | .368 | .872 | 3.4 | 2.1 | 0.6 | 0.3 | 19.7 | |
올스타 | 2 | 0 | 20.0 | .588 | - | .500 | 3.0 | 1.0 | 0.5 | 0.0 | 10.5 |
연도 | 팀 | 출장 경기 | 선발 출장 | 경기당 출전 시간 | 야투 성공률 | 3점슛 성공률 | 자유투 성공률 | 경기당 리바운드 | 경기당 어시스트 | 경기당 스틸 | 경기당 블록 | 경기당 득점 |
---|---|---|---|---|---|---|---|---|---|---|---|---|
1982 | 덴버 | 3 | - | 36.3 | .581 | - | 1.000 | 6.0 | 3.0 | 0.7 | 1.3 | 22.7 |
1983 | 덴버 | 8 | - | 39.6 | .544 | .000 | .800 | 6.5 | 4.0 | 0.5 | 0.9 | 26.8 |
1984 | 덴버 | 5 | - | 36.0 | .510 | .400 | .964 | 4.6 | 4.0 | 1.8 | 1.0 | 25.4 |
1985 | 포틀랜드 | 9 | 9 | 34.6 | .538 | .143 | .939 | 3.0 | 1.9 | 0.9 | 0.3 | 22.4 |
1986 | 포틀랜드 | 4 | 4 | 37.3 | .580 | .000 | 1.000 | 1.3 | 2.0 | 0.5 | 0.5 | 28.0 |
1987 | 포틀랜드 | 4 | 4 | 43.5 | .535 | .250 | .846 | 3.3 | 2.8 | 0.3 | 0.3 | 24.8 |
1988 | 포틀랜드 | 4 | 0 | 18.0 | .275 | .000 | 1.000 | 3.3 | 1.8 | 0.3 | 0.0 | 7.8 |
1989 | 뉴욕 | 9 | 0 | 17.7 | .510 | .375 | .952 | 1.2 | 0.8 | 0.3 | 0.2 | 8.1 |
1990 | 뉴욕 | 10 | 10 | 23.6 | .419 | .462 | .800 | 1.2 | 1.4 | 0.5 | 0.2 | 7.6 |
1991 | 뉴욕 | 3 | 3 | 33.0 | .406 | .600 | .880 | 2.7 | 1.3 | 0.3 | 0.0 | 17.0 |
1992 | 뉴욕 | 8 | 0 | 9.4 | .542 | .800 | .857 | 0.8 | 0.5 | 0.3 | 0.1 | 4.5 |
1993 | L.A. 클리퍼스 | 1 | 0 | 9.0 | .333 | - | - | 0.0 | 1.0 | 1.0 | 0.0 | 4.0 |
경력 | 68 | 30 | 27.8 | .510 | .345 | .907 | 2.8 | 2.0 | 0.6 | 0.4 | 16.1 |
5.2. 감독 경력 통계
팀 | 연도 | 경기 수 | 승리 | 패배 | 승률 | 시즌 최종 순위 | 플레이오프 경기 | 플레이오프 승리 | 플레이오프 패배 | 플레이오프 승률 | 결과 |
---|---|---|---|---|---|---|---|---|---|---|---|
뉴저지 | 2009 | 64 | 12 | 52 | 0.188 | 5위 (대서양) | - | - | - | - |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
경력 | 64 | 12 | 52 | 0.188 | - | - | - | - |
6. 유산과 영향력
키키 반더웨그는 뛰어난 득점 능력과 외곽 슈팅 능력을 바탕으로 NBA에서 오랜 기간 활약했다. 특히 그의 독특한 스텝백 동작은 "키키 무브"로 불릴 정도로 인상적이었으며, 7시즌 연속으로 평균 20득점 이상을 기록하며 꾸준함을 보여주었다. 그의 선수 경력 동안 소속 팀은 13시즌 중 12시즌 동안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팀의 승리에 기여했다.
선수 은퇴 후에도 그는 농구계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댈러스 매버릭스의 프런트 오피스에서 디르크 노비츠키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덴버 너기츠 단장으로서 카멜로 앤서니를 드래프트하고 마커스 켐비를 영입하는 등 팀을 플레이오프 강팀으로 재건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비록 뉴저지 네츠 임시 감독 시절 팀 성적이 좋지 않았으나, 그의 프런트 오피스 경험은 높이 평가된다.
이후 NBA 리그 운영 부사장으로 재직하며 리그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은퇴 후에도 리그의 고문으로서 그의 지식과 경험을 계속해서 제공하고 있다. 반더웨그는 선수로서의 뛰어난 개인 기량뿐만 아니라, 은퇴 후에도 프런트 오피스 및 리그 임원으로서 농구 발전에 기여한 다재다능한 인물로 평가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