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인 배경
1.1. 출생 및 유년기
크리스틴 스트뢰머 스타이라는 1981년 4월 30일 노르웨이 누르란주 모 이 라나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키는 169 cm이다.
1.2. 학력
스타이라 선수의 학업 배경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알려져 있지 않다.
2. 선수 경력
스타이라는 2002년 홀멘콜렌 스키 대회에서 크로스컨트리 월드컵에 데뷔하며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스프린트 예선 탈락, 30km에서 46위에 그치는 등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
2.1. 월드컵 데뷔 및 초기 경력
2003년 FIS 노르딕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 노르웨이 대표로 출전하여 추적 경기에서 28위, 30km에서 25위를 기록했다. 2005년 1월 22일 이탈리아 프라젤라토에서 열린 추적 경기에서 생애 첫 월드컵 우승을 차지하며 국제 무대에서의 잠재력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같은 해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0km에서 9위, 스키애슬론에서 동메달, 그리고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중요한 활약을 펼쳤다.
2.2. 올림픽 메달 및 주요 성적
스타이라는 올림픽에서 총 2개의 메달(금메달 1개, 동메달 1개)을 획득했다. 특히 4위 기록이 많아 '영원한 4위'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연도 | 나이 | 10km 개인 | 15km 스키애슬론 | 30km 매스스타트 | 스프린트 | 4 × 5km 계주 | 팀 스프린트 |
---|---|---|---|---|---|---|---|
2006 | 24 | 4 | 4 | 4 | - | 5 | - |
2010 | 28 | 8 | 4 | 8 | - | 금메달 | - |
2014 | 32 | - | 22 | 동메달 | - | - | - |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10km, 스키애슬론, 30km 개인전에서 모두 4위를 기록하며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이는 그녀에게 '영원한 4위'라는 별명이 붙게 된 계기가 되었다.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는 10km 추적 경기에서 8위, 30km 경기에서 8위를 차지했으며, 15km 추적 경기에서는 4위에 머물러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특히 15km 추적에서는 유스티나 코발치크에게 0.1초 차이로 아깝게 메달을 놓쳐 아쉬움을 남겼다. 그러나 2010년 2월 25일, 비베케 스코프테루드, 테레세 요하우그, 마리트 비에르겐과 함께 출전한 4 × 5k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마침내 올림픽 챔피언이 되었다.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는 15km 스키애슬론에서 22위에 그쳤지만, 마지막 종목인 30km 매스스타일 프리스타일 경기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개인전 첫 올림픽 메달의 한을 풀었다.
2.3.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및 주요 성적
스타이라는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총 8개의 메달(금메달 3개, 은메달 2개, 동메달 3개)을 획득했다.
연도 | 나이 | 10km | 15km | 추적 | 30km | 스프린트 | 4 × 5km 계주 | 팀 스프린트 |
---|---|---|---|---|---|---|---|---|
2003 | 21 | - | - | 28 | 25 | - | - | - |
2005 | 23 | 9 | - | 동메달 | - | - | 금메달 | - |
2007 | 25 | 4 | - | 동메달 | 은메달 | - | 동메달 | - |
2009 | 27 | 6 | - | 은메달 | 5 | - | 4 | - |
2011 | 29 | 10 | - | 9 | 5 | - | 금메달 | - |
2013 | 31 | 9 | - | 4 | 9 | - | 금메달 | - |
2007년 삿포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0km에서 4위를 차지했지만, 스키애슬론과 계주에서 동메달, 30km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하며 총 3개의 메달을 목에 걸었다. 200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스키애슬론에서 은메달을 추가했다. 자국 노르웨이에서 열린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계주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1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계주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팀의 주요 멤버로서 활약했다.
2.4. 월드컵 시즌별 성적
스타이라는 2001-02 시즌부터 2014-15 시즌까지 FIS 크로스컨트리 월드컵에 출전했다. 그녀의 최고 종합 순위는 2009-10 시즌과 2012-13 시즌에 기록한 6위이다.
시즌 | 나이 | 종목별 순위 | 스키 투어 순위 | ||||
---|---|---|---|---|---|---|---|
종합 | 장거리 | 스프린트 | 노르딕 오프닝 | 투르 드 스키 | 월드컵 파이널 | ||
2002 | 20 | 분류 안됨 | - | - | - | - | - |
2003 | 21 | 42 | - | 분류 안됨 | - | - | - |
2004 | 22 | 27 | 20 | - | - | - | - |
2005 | 23 | 12 | 9 | - | - | - | - |
2006 | 24 | 22 | 12 | - | - | - | - |
2007 | 25 | 14 | 12 | 분류 안됨 | - | 7 | - |
2008 | 26 | 16 | 12 | 분류 안됨 | - | 11 | 15 |
2009 | 27 | 9 | 4 | 53 | - | 9 | 4 |
2010 | 28 | 6 | - | 49 | - | 5 | 4 |
2011 | 29 | 28 | 19 | 분류 안됨 | - | - | 8 |
2012 | 30 | 14 | 9 | 분류 안됨 | 10 | 완주 못함 | 6 |
2013 | 31 | 6 | - | 45 | 8 | - | 25 |
2014 | 32 | 19 | 11 | 분류 안됨 | 14 | 완주 못함 | 9 |
2015 | 33 | 53 | 33 | - | - | - | - |
2.5. 월드컵 개인전 및 단체전 성적
스타이라는 월드컵에서 총 6번의 개인전 우승과 22번의 포디움 기록을 가지고 있다. 단체전에서는 총 13번 우승했으며, 18번 포디움에 올랐다.
개인전 포디움 (우승 6회, 포디움 22회)
No. | 시즌 | 날짜 | 장소 | 경기 | 레벨 | 순위 |
---|---|---|---|---|---|---|
1 | 2004-05 | 2005년 1월 28일 | 람자우 암 다흐슈타인, 오스트리아 | 15km 매스스타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2 | 2005년 1월 22일 | 프라젤라토, 이탈리아 | 7.5km + 7.5km 추적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
3 | 2005-06 | 2006년 3월 19일 | 삿포로, 일본 | 7.5km + 7.5km 추적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4 | 2006-07 | 2007년 1월 2일 | 오버스트도르프, 독일 | 5km + 5km 추적 클래식/프리스타일 | 스테이지 월드컵 | 1위 |
5 | 2007년 1월 3일 | 10km 개인 클래식 | 스테이지 월드컵 | 2위 | ||
6 | 2007년 1월 6일 | 카발레세, 이탈리아 | 10km 개인 프리스타일 | 스테이지 월드컵 | 2위 | |
7 | 2007-08 | 2007년 12월 8일 | 다보스, 스위스 | 10km 개인 클래식 | 월드컵 | 3위 |
8 | 2008년 1월 1일 | 노베 메스토 나 모라베, 체코 | 10km 추적 프리스타일 | 스테이지 월드컵 | 2위 | |
9 | 2008년 1월 6일 | 발 디 피엠메, 이탈리아 | 9km 추적 프리스타일 | 스테이지 월드컵 | 2위 | |
10 | 2008-09 | 2008년 12월 6일 | 라 클뤼자, 프랑스 | 15km 매스스타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11 | 2009년 1월 4일 | 발 디 피엠메, 이탈리아 | 9km 추적 프리스타일 | 스테이지 월드컵 | 2위 | |
12 | 2009년 3월 22일 | 팔룬, 스웨덴 | 10km 추적 프리스타일 | 스테이지 월드컵 | 1위 | |
13 | 2009-10 | 2010년 1월 2일 | 오버호프, 독일 | 10km 추적 클래식 | 스테이지 월드컵 | 3위 |
14 | 2010년 1월 10일 | 발 디 피엠메, 이탈리아 | 9km 추적 프리스타일 | 스테이지 월드컵 | 1위 | |
15 | 2010년 3월 13일 | 오슬로, 노르웨이 | 30km 매스스타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
16 | 2010년 3월 20일 | 팔룬, 스웨덴 | 5km + 5km 추적 클래식/프리스타일 | 스테이지 월드컵 | 2위 | |
17 | 2010년 3월 21일 | 10km 추적 프리스타일 | 스테이지 월드컵 | 2위 | ||
18 | 2010-11 | 2010년 12월 18일 | 라 클뤼자, 프랑스 | 15km 매스스타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3위 |
19 | 2012-13 | 2013년 1월 5일 | 발 디 피엠메, 이탈리아 | 10km 매스스타트 클래식 | 스테이지 월드컵 | 2위 |
20 | 2012년 12월 29일 - 2013년 1월 6일 | 투르 드 스키 (독일, 스위스, 이탈리아) | 종합 순위 | 월드컵 | 3위 | |
21 | 2013년 2월 2일 | 소치, 러시아 | 7.5km + 7.5km 스키애슬론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
22 | 2013년 2월 17일 | 다보스, 스위스 | 10km 개인 프리스타일 | 월드컵 | 3위 | |
단체전 포디움 (우승 13회, 포디움 18회)
No. | 시즌 | 날짜 | 장소 | 경기 | 레벨 | 순위 | 팀원 |
---|---|---|---|---|---|---|---|
1 | 2002-03 | 2003년 1월 19일 | 노베 메스토 나 모라베, 체코 | 4 × 5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아니타 뫼엔 / 마리트 비에르겐 / 힐데 G. 페데르센 |
2 | 2003년 3월 23일 | 팔룬, 스웨덴 | 4 × 5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아니타 뫼엔 / 힐데 G. 페데르센 / 벤테 스카리 | |
3 | 2003-04 | 2003년 11월 23일 | 베이토스톨렌, 노르웨이 | 4 × 5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비베케 스코프테루드 / 힐데 G. 페데르센 / 마리트 비에르겐 |
4 | 2004년 1월 11일 | 오테패, 에스토니아 | 4 × 5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비베케 스코프테루드 / 힐데 G. 페데르센 / 마리트 비에르겐 | |
5 | 2004년 2월 22일 | 우메오, 스웨덴 | 4 × 5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비베케 스코프테루드 / 마리트 비에르겐 / 힐데 G. 페데르센 | |
6 | 2006-07 | 2006년 11월 19일 | 옐리바레, 스웨덴 | 4 × 5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비베케 스코프테루드 / 힐데 G. 페데르센 / 마리트 비에르겐 |
7 | 2007년 2월 4일 | 다보스, 스위스 | 4 × 5km 계주 클래식/프ri스타일 | 월드컵 | 2위 | 아스트리드 우렌홀트 야콥센 / 비베케 스코프테루드 / 마리트 비에르겐 | |
8 | 2007-08 | 2007년 12월 9일 | 다보스, 스위스 | 4 × 5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크리스틴 뮈레르 스템란드 / 테레세 요하우그 / 비베케 스코프테루드 |
9 | 2008년 2월 24일 | 팔룬, 스웨덴 | 4 × 5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잉리 아우네트 틸둠 / 아스트리드 우렌홀트 야콥센 / 마리트 비에르겐 | |
10 | 2008-09 | 2008년 11월 23일 | 옐리바레, 스웨덴 | 4 × 5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마리트 비에르겐 / 테레세 요하우그 / 마르테 크리스토페르센 |
11 | 2008년 12월 7일 | 라 클뤼자, 프랑스 | 4 × 5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3위 | 크리스틴 뮈레르 스템란드 / 테레세 요하우그 / 베티 안 비에르크레임 닐센 | |
12 | 2009-10 | 2009년 11월 22일 | 베이토스톨렌, 노르웨이 | 4 × 5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2위 | 비베케 스코프테루드 / 테레세 요하우그 / 마리트 비에르겐 |
13 | 2010년 3월 7일 | 라흐티, 핀란드 | 4 × 5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마르테 크리스토페르센 / 테레세 요하우그 / 마리트 비에르겐 | |
14 | 2010-11 | 2010년 11월 21일 | 옐리바레, 스웨덴 | 4 × 5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비베케 스코프테루드 / 테레세 요하우그 / 마리트 비에르겐 |
15 | 2010년 12월 19일 | 라 클뤼자, 프랑스 | 4 × 5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비베케 스코프테루드 / 테레세 요하우그 / 마리트 비에르겐 | |
16 | 2011-12 | 2011년 11월 21일 | 셰셰엔, 노르웨이 | 4 × 5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비베케 스코프테루드 / 테레세 요하우그 / 마리트 비에르겐 |
17 | 2012-13 | 2013년 1월 20일 | 라 클뤼자, 프랑스 | 4 × 5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하이디 벵 / 테레세 요하우그 / 마리트 비에르겐 |
18 | 2013-14 | 2013년 12월 8일 | 릴레함메르, 노르웨이 | 4 × 5km 계주 클래식/프리스타일 | 월드컵 | 1위 | 하이디 벵 / 테레세 요하우그 / 마리트 비에르겐 |
2.6. 은퇴
크리스틴 스트뢰머 스타이라는 2015년 4월 20일, 프로 스키 선수로서의 은퇴를 공식 발표하며 14년간의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3. 개인사
스타이라는 2015년 7월 25일 캐나다 스키 선수인 데번 커쇼와 결혼했다. 그녀는 현재 노르웨이 오슬로 근처의 드뢰바크에 거주하고 있다.
4. 평가 및 영향

4.1. '영원한 4위'라는 별명
스타이라는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지만, 특히 올림픽에서 여러 차례 4위를 기록하며 메달을 아쉽게 놓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경력 때문에 노르웨이 언론에서는 그녀에게 '영원한 4위'라는 별명을 붙였고, 이는 그녀의 선수 경력을 상징하는 독특한 특징이 되었다. 2006년 토리노 올림픽에서 세 종목 모두 4위에 올랐고, 2010년 밴쿠버 올림픽에서도 15km 추적에서 0.1초 차이로 동메달을 놓치며 이 별명을 더욱 공고히 했다.
4.2. 경력 전반에 대한 평가
스타이라는 FIS 크로스컨트리 월드컵에서 총 6번의 개인전 우승을 차지했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와 올림픽에서 5개의 개인 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노르웨이 계주 팀의 일원으로서 4개의 금메달을 포함해 총 13번의 월드컵 단체전 우승을 이끌며 팀에 크게 기여했다. 그녀는 2002년부터 2006년까지 다양한 레벨에서 4번의 개인 우승을 기록했다. 2009년에는 육상 경기에 관심을 보여 2010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5000m 출전을 목표로 노르웨이 국내 대회에 참가하여 16분 01초 76의 기록으로 우승하기도 했으나, 출전 기준 기록에는 미치지 못해 최종 출전은 무산되었다.
꾸준함과 팀 기여도를 바탕으로 노르웨이 크로스컨트리 스키계에서 중요한 선수로 평가받으며, 후배 선수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