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최창무 대주교는 대한민국 천주교의 중요한 지도자로서 오랜 기간 봉사하며 한국 천주교회의 발전에 기여했다. 그의 생애는 학문적 성취와 사목적 헌신으로 특징지어진다.
1.1. 출생 및 어린 시절
최창무는 1936년 9월 15일 경기도 파주군 문산읍에서 태어났다. 그의 세례명은 안드레아이다.
1.2. 학력
그는 성신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가톨릭대학교 신학부에서 3년간 수학했다. 이후 독일로 유학하여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1962년 학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1969년에는 같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3. 초기 활동
최창무는 1963년 6월 9일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사제로 사제서품을 받았다. 사제 서품 당시 그의 나이는 27세였다. 1966년에는 명동성당에서 보좌신부로 사목 활동을 시작했다. 1969년 독일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귀국한 후, 1970년부터 1995년까지 가톨릭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 1979년에는 가톨릭대학교 제11대 학장을, 1991년에는 제16대 학장을 역임했다. 1992년 가톨릭대학이 가톨릭대학교로 승격되자 1995년 2월까지 초대 총장을 지내며 학교의 발전과 위상 정립에 크게 기여했다.
2. 주요 활동 및 업적
최창무 대주교는 사제로서, 그리고 주교로서 한국 천주교회 안팎에서 다양한 중요한 직책을 수행하며 많은 업적을 남겼다.
2.1. 사제 활동
최창무는 1963년 사제 서품을 받은 후 명동성당 보좌신부로 사목 활동을 시작했다. 특히 가톨릭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신학 교육에 헌신했으며, 두 차례에 걸쳐 학장을 역임하고 학교가 대학교로 승격된 후에는 초대 총장으로서 학교의 교육 시스템과 행정을 총괄하며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학문적 배경과 교육자로서의 경험은 이후 그의 사목 활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2.2. 주교 활동
최창무는 1994년 서울대교구 보좌주교로 임명되면서 주교직을 수행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광주대교구의 중요한 직책들을 맡아 교구의 사목 방향을 이끌었다.
2.2.1. 서울대교구 보좌주교
1994년 2월 3일, 최창무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천주교 서울대교구 보좌주교로 임명되었다. 동시에 푸르멘피센세의 명의주교로 서품되었다. 주교 서품식은 1994년 3월 25일에 거행되었으며, 당시 천주교 서울대교구의 교구장이었던 김수환 추기경이 주례했다. 이때 그는 주교 좌우명으로 "말씀은 생명의 빛"을 선택했다.
2.2.2. 광주대교구 부교구장 대주교
1999년 2월 9일, 최창무는 천주교 광주대교구의 부교구장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이 임명은 그에게 광주대교구장직을 승계할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었다.
2.2.3. 광주대교구장
2000년 11월 11일, 당시 광주대교구장이었던 윤공희 대주교가 고령으로 은퇴함에 따라, 최창무 부교구장 대주교는 천주교 광주대교구의 제8대 교구장직을 승계했다. 그의 광주대교구장으로서의 임기는 2000년 11월 30일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약 10년간 광주대교구를 이끌었으며, 2010년 3월 25일 교회법에 따라 고령을 이유로 교황청에 제출한 사임이 수락되면서 교구장직에서 물러났다. 그의 후임으로는 김희중 대주교가 임명되었다.
2.3. 교회 지도부 활동
최창무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을 지내며 한국 천주교의 주요 정책 결정과 방향 설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그는 현재 교황청 인류복음화성 위원과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한국 천주교회와 보편교회의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3. 사상 및 철학
최창무 대주교의 사상과 철학은 그의 주교 좌우명에 잘 드러나 있다.
3.1. 주교 좌우명
최창무 대주교의 주교 좌우명은 "말씀은 생명의 빛"(말씀은 생명의 빛Malssumeun Saengmyeongui Bit한국어)이다. 이 좌우명은 성경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하느님의 말씀이 인간의 삶에 빛과 생명을 가져다준다는 그의 확고한 신앙적 지향을 보여준다. 이는 그의 사목 활동과 학문 연구 전반에 걸쳐 중요한 정신적 기반이 되었다.
4. 개인사
최창무 대주교의 개인적인 삶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는 1936년 9월 15일 경기도 파주군에서 태어났으며, 세례명은 안드레아이다.
5. 평가 및 유산
최창무 대주교는 한국 천주교회에 대한 오랜 봉사와 다양한 직책 수행을 통해 중요한 유산을 남겼다.
5.1. 긍정적 평가
최창무 대주교는 사제로서, 교육자로서, 그리고 주교로서 한국 천주교회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특히 가톨릭대학교의 학장과 초대 총장을 역임하며 한국 가톨릭 교육의 기틀을 다지고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또한 천주교 광주대교구장으로서 교구를 안정적으로 이끌고,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으로서 한국 천주교회의 중요한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며 교회의 사회적 역할과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한 점이 높이 평가된다. 그의 학문적 깊이와 사목적 헌신은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6. 영향
최창무 대주교는 그의 생애와 활동을 통해 한국 천주교회에 다방면으로 깊은 영향을 미쳤다.
6.1. 한국 천주교회에 미친 영향
최창무 대주교는 가톨릭대학교의 교수, 학장, 그리고 초대 총장으로서 한국 천주교의 신학 교육과 인재 양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의 교육적 리더십은 미래 사제들과 교회 지도자들의 양성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했다. 천주교 광주대교구장으로서 재임하는 동안 교구의 사목 방향을 설정하고, 지역 사회와의 소통을 강화하며 교회의 역할을 확대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으로서 한국 천주교 전체의 중요한 사안들을 조율하고, 교회의 목소리를 사회에 전달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은퇴 후에도 교황청과 한국천주교주교회의의 위원회 활동을 통해 한국 천주교회의 신앙과 교리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7. 외부 링크
- [http://www.cbck.or.kr/en/CatholicChurchInKorea/Bishops/10000049 한국천주교주교회의 프로필]
- [http://www.catholic-hierarchy.org/bishop/bchocm.html Catholic Hierarchy 프로필]
- [https://web.archive.org/web/20090919062410/http://www.kjcatholic.or.kr/ 천주교 광주대교구 (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