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천스위안은 1985년 10월 28일 대만 타이베이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린 시절은 바둑에 대한 깊은 관심과 한국에서의 전문적인 교육으로 특징지어진다.
1.1. 어린 시절과 교육
천스위안은 어린 시절부터 바둑에 두각을 나타내어, 1996년 세계청소년바둑선수권대회 소년부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주목받았다. 12세의 나이인 2000년에는 바둑 강국인 대한민국으로 유학을 떠나 권갑룡 6단 문하에서 바둑을 본격적으로 수학했다. 그는 약 5년간 한국에 머물며 한국 바둑의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
1.2. 프로 입단 및 초기 경력
한국에서의 유학 생활 중인 2000년에 천스위안은 한국기원에 정식으로 프로 바둑 기사로 입단했다. 이후 2002년에 2단으로 승단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2004년에는 제8회 SK가스배 신예프로10걸전에서 8위에 입상하며 한국 무대에서도 자신의 기량을 입증했다. 2005년에는 3단으로 승단했으며, 같은 해에 중환배(Zhonghuan Cup)에서 우승하고 동강배(Donggang Cup)에서도 우승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하지만 그는 중화민국의 병역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2005년에 대만으로 귀국하여 대만기원 소속으로 활동을 이어가게 되었다.
2. 주요 경력 및 업적
천스위안은 대만 귀국 후 대만 바둑계의 주요 선수로 자리매김하며 다양한 국내외 기전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특히 여러 타이틀을 석권하며 대만 바둑의 역사를 새로 썼다.
2.1. 국내 기전 타이틀 및 수상
천스위안은 대만 내 주요 바둑 기전에서 수많은 타이틀을 획득하며 독보적인 입지를 다졌다. 그는 대만 바둑 사상 최초로 '5관왕'과 '6관왕'을 달성한 기사이다.
기전명 | 우승 연도 |
---|---|
중환배(Zhonghuan Cup) | 2005, 2008, 2011, 2012 |
동강배(Donggang Cup) | 2005, 2007, 2009 |
국수전(Guoshou) | 2006, 2007, 2012, 2015, 2016, 2017 |
CMC TV배(CMC TV Cup) | 2007 |
천원전(Tianyuan) | 2007, 2011, 2012 |
왕좌전(Wangzuo) | 2008, 2009, 2010, 2011, 2012 |
기왕전(Qiwang) | 2009, 2010, 2011, 2012 |
애심배(Aixin Cup) | 2009 |
기성전(Qisheng) | 2010 |
해봉배(Haifong Cup) | 2012, 2015, 2017 |
고성전(Goseong) | 2010, 2014, 2015 |
주요 기전 준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왕좌전: 2006년, 2007년
- 중환배: 2007년, 2009년, 2012년
- 기왕전: 2008년
- 고성전: 2008년
- 천원전: 2008년, 2009년, 2013년
- 해봉배: 2009년
- 동강배: 2010년
- 십단전(Judan): 2012년
천스위안은 2007년에 동강배, 국수전, CMC TV배, 천원전에서 우승하며 '4관왕'을 달성했다. 2011년에는 기왕전, 고성전, 왕좌전, 중환배, 천원전에서 우승하여 대만 바둑 사상 첫 '5관왕'에 올랐다. 이듬해인 2012년에는 기왕전, 천원전, 왕좌전, 국수전, 중환배, 해봉배에서 우승하며 전대미문의 '6관왕'을 달성하여 대만 바둑계에 큰 획을 그었다. 특히 왕좌전에서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여 2014년에 명예 왕좌 칭호를 수여받았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국수전 3연패를 기록하기도 했다.
2.2. 국제 기전 참가 및 성과
천스위안은 국내 기전에서의 활약 외에도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대만을 대표하는 기사로 활동했다.
- LG배 세계기왕전: 2009년 16강 (왕시를 꺾었으나 추쥔에게 패배), 2011년 8강 (한웅규, 박승화를 꺾었으나 이창호 9단에게 패배).
- 일대정예 프로선수권(日台精鋭プロ選手権): 2011년 우승, 2009년 준우승.
- CSK배 바둑 아시아대항전: 2006년 대회에 참가했으나 셰허, 고근태, 유키 사토시에게 모두 패배하여 3패를 기록했다.
-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즈: 2008년 남자 단체전 4위.
- 스포츠어코드 월드 마인드 게임즈: 2011년, 2014년 남자 단체전 4위.
- 아시아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2013년 남자 단체전 3위, 남자 개인전 6위.
- IMSA 엘리트 마인드 게임즈: 2017년 남자 단체전 3위.
- 국수산맥배 국제바둑대회: 2016년 단체전 3위, 2017년 혼성 페어전 준우승 (헤이자자와 팀).
- 페어바둑 월드컵: 2016년 준우승, 2017년 3위 (모두 헤이자자와 팀).
- 오카게배 국제신예대항전: 2014년 3위.
- 국제신예바둑대항전:
- 2004년: 1승 2패 (박정상에게 패, 류싱에게 승, 미조카미 토모히사에게 패)
- 2005년: 1승 2패 (펑취안에게 패, 송태곤에게 패, 고노 린에게 승)
- 2006년: 1승 2패 (고근태에게 승, 박문요에게 패, 마쓰모토 타케히사에게 패)
- 2007년: 1승 2패 (이영구에게 승, 쿵제에게 패, 이시야마 유타에게 패)
- 천등배 해협양안도시바둑대항전: 2009년 (녜웨이핑에게 승), 2010년 (창하오에게 패), 2013년 (미위팅에게 패).
- 중국 바둑 리그:
- 2008년 을급 리그 (대만기원 소속, 강등): 3승 4패
- 2010년 병급 리그 (대만기원 소속): 5승 2패
- 2012년 병급 리그 (대만 중환 소속, 승격): 6승 1패
- 2013년 을급 리그 (대만 중환 소속): 2승 5패
- 2014년 병급 리그 (대만 중환 소속): 5승 2패
- 2015년 을급 리그 (대만 중환 소속): 3승 4패
- 2016년 병급 리그 (해봉기원 소속): 2승 5패
2.3. 승단 기록 및 기사 서열
천스위안의 프로 바둑 기사 승단 기록은 다음과 같다.
- 2000년: 프로 입단 (한국기원)
- 2001년: 2단
- 2005년: 3단 (승수 규정), 5단 (동강배 우승)
- 2006년: 7단 (국수전 우승)
- 2009년: 8단
- 2011년: 9단
2.4. 연간 승패 기록
천스위안의 주요 연도별 승패 기록은 다음과 같으며, 이를 통해 그의 꾸준한 기량과 높은 승률을 엿볼 수 있다.
- 2006년: 43승 20패
- 2007년: 44승 15패
- 2008년: 40승 21패
- 2009년: 55승 11패
- 2010년: 46승 15패
- 2011년: 21승 3패
3. 개인 생활
천스위안은 2010년에 동료 바둑 기사인 장정핑 2단과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었다.
4. 평가 및 영향력
천스위안은 대만 바둑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저우쥔쉰, 린즈한과 함께 '대만 3강'으로 불리며 대만 바둑의 기량 향상과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2012년에 달성한 대만 최초의 6관왕 기록과 왕좌전 5연패를 통한 명예 왕좌 칭호는 그의 압도적인 실력과 꾸준함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업적이다. 한국에서의 유학 경험은 그의 기풍 형성 및 실력 향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대만 귀국 후 이를 바탕으로 대만 바둑계의 수준을 끌어올리는 데 기여했다. 그의 다수 타이틀 획득은 후배 기사들에게 큰 동기 부여가 되었으며, 대만 바둑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일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