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주세페 데 산크티스는 예술에 대한 가족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서 성장했으며, 나폴리 미술 아카데미에서 당대 최고의 스승들로부터 정규 미술 교육을 받았다. 이후 런던과 파리에서 국제적인 경험을 쌓으며 자신만의 화풍을 정립하고, 이탈리아 국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1.1. 유년기 및 교육
주세페 데 산크티스는 1858년 6월 21일 나폴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체사레 데 산크티스(Cesare de Sanctis이탈리아어)는 음악, 예술, 연극을 사랑하는 사업가였으며, 심지어 유명한 작곡가 주세페 베르디의 절친한 친구이기도 했다. 베르디는 주세페의 세례식에도 참석했을 정도로 두 사람의 관계는 돈독했다. 다른 많은 예술가 지망생들과는 달리, 주세페는 아버지의 영향과 격려 덕분에 화가가 되고자 하는 자신의 열망을 가족으로부터 전폭적으로 지지받았다. 1872년, 그는 나폴리 미술 아카데미(Accademia di Belle Arti di Napoli이탈리아어)에 입학하여 도메니코 모렐리(Domenico Morelli이탈리아어), 필리포 팔리치(Filippo Palizzi이탈리아어), 조아키노 토마(Gioacchino Toma이탈리아어)와 같은 저명한 스승들 밑에서 수학했다.

1.2. 초기 활동 및 해외 체류
아카데미를 졸업한 후, 데 산크티스는 런던과 파리로 건너가 해외에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특히 파리에서는 스승 모렐리의 추천 덕분에 유명한 미술 상회인 구필 상회(Goupil & Cie프랑스어)와 협력하게 되었다. 그는 이 시기에 한 명의 모델을 사용하여 여러 점의 여성 초상화를 그렸는데, 이 작품들은 현재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들 중 일부가 되었다. 동시에 그는 장-레옹 제롬(Jean-Léon Gérôme프랑스어)에게서 추가로 그림을 배웠으며, 동시대 화가인 파스칼 다냥-부베레(Pascal Dagnan-Bouveret프랑스어)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2. 주요 작품 활동
주세페 데 산크티스는 이탈리아와 국제 무대에서 꾸준히 자신의 작품을 선보이며 명성을 쌓았고, 이탈리아 미술계의 주요 기관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
2.1. 국제 활동 및 명성
데 산크티스는 1882년부터 1917년까지 나폴리에서 열리는 정기 전시회에 꾸준히 참여했으며, 파리 살롱(Salon de Paris프랑스어)에도 1890년과 1899년에 작품을 출품하며 국제적인 활동을 이어갔다. 그의 회화 작품인 비잔티움의 저녁 기도(La preghiera della sera a Bisanzio이탈리아어)는 팔레르모 전시회에서 은메달을 수상했으며, 1886년에는 당시 이탈리아의 국왕 움베르토 1세가 직접 이 작품을 구매하여 그의 명성을 공고히 했다.
2.2. 국내 활동 및 예술 단체 기여
1890년, 데 산크티스는 나폴리 예술 서클(Circolo artistico di Napoli이탈리아어) 창설에 참여했다. 같은 해, 그는 유명한 카페 감브리누스(Caffè Gambrinus, Naples이탈리아어) 장식에 참여한 예술가들 중 한 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1895년 이후에는 베네치아 비엔날레와 인연을 맺어 1903년과 1905년에는 비엔날레의 기획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이탈리아 예술계의 주요 행사 조직에 기여했다. 1901년에는 자신의 스승이었던 도메니코 모렐리의 뒤를 이어 나폴리 미술 아카데미에서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후에 판화 부문의 교수로 임명되어 후학 양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2.3. 후기 작품 경향
생애 후반부에는 주로 프랑스 풍경을 주제로 한 그림들을 많이 그렸지만, 사보이아 가문을 비롯한 이탈리아 왕실 인물들의 초상화를 여러 점 제작하기도 했다.
3. 예술 세계 및 주요 작품
주세페 데 산크티스의 작품은 주로 초상화와 도시 풍경을 다루었으며, 여성 인물과 프랑스 풍경에 대한 그의 특별한 관심이 반영되어 있다.
- 초상화: 그의 초기 작품 중 구필 상회와의 협업으로 제작된 여성 초상화들이 대표적이다. 이 시기 작품들은 대체로 동일한 모델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기에는 왕실 인물들의 초상화도 제작했다.
- 테오도라 황후(Empress Theodora이탈리아어)
- 붉은 모자(The Red Bonnet이탈리아어)
테오도라 황후 (Empress Theodora) 붉은 모자 (The Red Bonnet) 데 산크티스의 초상화 작품들은 인물의 내면을 섬세하게 포착하며 당대 사회의 면모를 보여준다. 특히 구필 상회와의 협업을 통해 제작된 여성 초상화들은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 도시 풍경 및 일상: 런던과 파리에서의 생활은 그의 작품에 도시 풍경과 일상적인 장면을 담게 했다. 특히 프랑스 풍경에 대한 관심은 그의 후기 작품 경향으로 이어졌다.
- 브뤼셀의 꽃 시장(Flower Market in Brussels영어)
- 실내 풍경과 인물(Interior Scene with Figure영어)
1900년대 초 파리의 모습을 담은 작품 브뤼셀의 꽃 시장 (Flower Market in Brussels) 실내 풍경과 인물 (Interior Scene with Figure) 그는 도시의 활기찬 모습과 일상적인 순간들을 자신만의 시각으로 담아냈으며, 특히 프랑스의 풍경은 그의 작품 세계에 깊은 영감을 주었다.
3.1. 우의화:
- 봄과 가을(Spring and Autumn영어)
봄과 가을 (Spring and Autumn) 숲 (Forest) 데 산크티스는 비유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를 담은 우의화 또한 제작하여 그의 예술적 폭을 넓혔다.
4. 사망
주세페 데 산크티스는 1924년 6월 18일, 그가 태어난 도시인 나폴리에서 사망했다.
5. 평가 및 유산
주세페 데 산크티스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이탈리아 회화의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된다. 그는 가족의 전폭적인 지지 속에서 예술가로서 성장할 수 있었으며, 나폴리 미술 아카데미에서 당대 최고의 스승들로부터 깊이 있는 교육을 받았다. 런던과 파리에서의 국제적인 활동, 특히 구필 상회와의 협업을 통해 그의 작품은 유럽 전역에 알려졌고, 파리 살롱과 팔레르모 전시회에서의 수상, 움베르토 1세 국왕의 작품 구매는 그의 예술적 역량과 국제적인 명성을 증명하는 중요한 업적이다.
그는 이탈리아 국내에서도 나폴리 예술 서클 창설에 참여하고 카페 감브리누스 장식에 기여하는 등 지역 예술계에 활발히 참여했다. 또한 베네치아 비엔날레의 기획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이탈리아 미술이 국제 무대에 소개되는 데 일조했으며, 나폴리 미술 아카데미에서 스승의 뒤를 이어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하는 데에도 헌신했다. 이처럼 데 산크티스는 단순한 화가를 넘어 이탈리아 예술계의 발전과 후속 세대의 교육에 기여한 다면적인 예술가로 기억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