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1.1. 유년기 및 교육
제브데트 수나이는 1899년 2월 10일 오스만 제국 트라브존 주 차이카라 근처 아타쾨이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에르주룸, 키르쿠크, 에디르네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다닌 후, 이스탄불에 위치한 쿨렐리 군사 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2. 군 복무
1917년, 수나이는 위관으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팔레스타인 전선에서 싸웠다. 이듬해인 1918년, 그는 영국군의 전쟁 포로가 되어 이집트의 포로수용소에 수감되었다. 석방된 후에는 튀르키예 독립 전쟁에 참전하여 처음에는 남부 전선에서 프랑스군과 교전했고, 이어서 서부 전선에서 그리스군과 싸웠다.
수나이는 1927년에 군사 교육을 마쳤으며, 1930년에는 참모 대학을 졸업하고 참모 장교가 되었다. 그는 군 계급이 꾸준히 상승하여 1949년에 장군으로 진급했고, 1959년에는 4성 장군이 되어 군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1960년에는 육군 총사령관에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부터 1966년까지 총참모장을 역임했다.
2. 정치 경력
제브데트 수나이는 군 복무 후 상원 의원으로 정치에 입문했으며, 튀르키예의 제5대 대통령으로서 격동의 시기를 보냈다.
2.1. 상원 의원
1966년 3월 14일, 제브데트 수나이는 당시 대통령이었던 제말 귀르셀의 비상 대통령 권한에 따라 상원 의원으로 임명되었다.
2.2. 대통령 재임
1966년 3월 28일, 제말 귀르셀 대통령이 건강 악화로 직무 수행이 불가능해지자, 제브데트 수나이는 튀르키예 대국민의회에 의해 튀르키예의 제5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1973년 3월 28일까지 7년간 헌법에 명시된 임기를 수행했다.
수나이의 재임 기간 동안 튀르키예는 심각한 정치적 불안정에 직면했다. 증가하는 테러 활동, 학생 시위, 그리고 빈번한 쿠데타 위협 속에서도 그는 대통령직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좌우 정치 대립이 격화되고, 노동 운동, 학생 운동, 정치 테러가 빈발하는 불안정한 정국이 이어졌다. 1971년에는 군부의 정치 개입으로 당시 집권당이던 정의당의 쉴레이만 데미렐 정권이 퇴진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등, 튀르키예의 민주주의에 대한 군부의 영향력이 여전히 강력하게 나타났다. 제브데트 수나이 행정부 시기에는 쉴레이만 데미렐, 니하트 에림, 페리트 멜렌 등이 주요 정치인이었다. 임기 만료 후, 그는 종신 상원 의원이 되었다.
3. 개인사
제브데트 수나이는 1929년 아투페트와 결혼하여 아틸라(Atilla), 아이셀(Aysel), 아르군(Argun) 세 명의 아들을 두었다.
4. 사망
제브데트 수나이는 1982년 5월 22일 이스탄불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1988년 8월, 새로 건설된 튀르키예 국립묘지의 영구 안장지로 이장되어 앙카라에 안장되었다.
5. 훈장 및 표창
제브데트 수나이에게 수여된 주요 훈장 및 표창은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