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장언화({{lang|zh|s=张恩华|t=張恩華|p=Zhāng Ēnhuá}}, 1973년 4월 28일 ~ 2021년 4월 29일)는 중국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축구 감독이었다. 선수 시절 수비수로 활약했으며, 1994년부터 2006년까지 다롄 완다, 그림즈비 타운, 톈진 터다, 사우스 차이나 등 여러 클럽에서 뛰었다. 특히 다롄 완다에서는 중국 리그 7회 우승을 포함한 수많은 트로피를 들어 올리며 클럽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1995년부터 2002년까지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활약하며 60경기 이상 출전했고,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에도 참가했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의 길을 걸었으며, 2021년 4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출생
장언화는 1973년 4월 28일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에서 태어났다.
3. 선수 경력
장언화는 1994년부터 2006년까지 프로 축구 선수로 활동하며 여러 클럽에서 뛰어난 수비력을 선보였고, 국가대표팀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3.1. 클럽 경력
장언화는 선수 생활 동안 주로 중국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잠시 잉글랜드 리그를 경험하기도 했다.
3.1.1. 다롄 완다 FC
장언화는 1994년 시즌 초반 고향팀인 다롄 완다 FC에 입단하며 프로 축구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점차 팀의 수비 핵심으로 자리 잡았고, 팀이 리그 우승을 차지하는 데 기여했다. 1995년 시즌에는 리그 3위를 기록했지만, 이후 3시즌 연속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다롄 완다의 리그 지배력을 확립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다롄 완다는 이후 다롄 스더로 이름을 변경했으며, 장언화는 이 팀에서 1994년, 1996년, 1997년, 1998년, 2000년, 2001년, 2002년 등 총 7차례의 중국 갑급 A리그 우승을 경험했다. 또한 2001년 중국 FA컵과 1997년, 2003년 중국 슈퍼컵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며 다롄의 황금기를 함께했다. 그는 2003년까지 다롄에서 뛰었다.
3.1.2. 그림즈비 타운 FC
2000년, 장언화는 잉글랜드 2부 리그 소속의 그림즈비 타운 FC의 영입 대상이 되었고, 3개월 단기 임대 계약으로 풋볼 리그 챔피언십에 합류했다. 그는 당시 신임 감독이었던 레니 로렌스가 영입한 데이비드 닐센, 크누트 안데르스 포스테르볼드, 멘노 빌렘스 등 새로운 외국인 선수들과 함께 팀에 합류했다. 장언화는 부상당한 피터 핸디사이드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영입되었으며, 첫 경기에서는 다소 긴장한 모습을 보였으나 이내 팀에 적응하여 3골을 기록하기도 했다. 로렌스 감독은 그의 완전 이적을 논의했지만, 장언화의 높은 주급으로 인해 계약은 성사되지 못했고, 그는 임대 기간이 끝난 후 팀을 떠났다. 하지만 그는 잉글랜드에서 뛰는 동안 팬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겼고, 그림즈비 서포터들 사이에서는 '컬트 영웅'으로 여전히 기억되고 있다. 특히 번리와의 경기에서 1-0 승리를 확정 짓는 그의 골 세리머니는 ITV 요크셔 텔레비전의 'Goals on Sunday' 프로그램 오프닝 크레딧에 2001-02 시즌 내내 사용되었다.
3.1.3. 톈진 터다
2003년 다롄을 떠난 후, 장언화는 톈진 터다에 입단하여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여러 시즌 동안 활약했다.
3.1.4. 사우스 차이나 AA
2005년, 장언화는 선수 경력을 이어가기 위해 홍콩의 축구팀 사우스 차이나 AA에 합류하여 2006년까지 뛰었다.
3.2. 국가대표 경력
장언화는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핵심 수비수로 활약하며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3.2.1. 국제 경기 데뷔 및 주요 대회 참가
장언화는 1995년 2월 19일 다이너스티컵에서 대한민국을 상대로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국제 경기에 데뷔했다. 이후 여러 차례 친선 경기를 통해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고, 1996년 AFC 아시안컵 최종 명단에 포함되었다. 이 대회 8강전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상대로 국가대표 데뷔골을 기록했지만, 팀은 아쉽게 3-4로 패하며 탈락했다. 그는 국가대표팀의 확고한 일원으로 자리매김하며 199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큰 역할을 했으나, 중국은 아쉽게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하지만 그는 2000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에 기여했고, 대회 초반에는 주전으로 출전했으나 토너먼트 단계에서는 결장했다. 이후 3, 4위전에서 다시 출전했지만, 중국은 0-1로 패했다.
3.2.2. 2002년 FIFA 월드컵
2002년 5월 19일, 장언화는 200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할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23인 최종 명단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그는 대회 본선에서 단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으며, 중국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4. 지도자 경력
장언화는 2006년 선수 생활을 은퇴한 후 홍콩에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2011년 3월 2일, 그는 잉글랜드 축구 협회에서 코칭 라이선스를 취득하기 위해 잉글랜드로 돌아올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이후 3월 5일에는 그의 옛 클럽인 그림즈비 타운 FC의 홈 경기(상대: AFC 윔블던)에 특별 게스트로 참석했다. 그림즈비 방문 당시 그는 클럽에 '오랜 여정이 될지라도, 당신들은 해낼 수 있고 결국 성공을 이룰 것이다'라는 의미의 중국어 문구가 새겨진 선물을 전달했다. 그는 또한 그림즈비 방문을 '고향으로 돌아온 것 같다'고 표현하며 팀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5. 통계
장언화의 선수 경력 동안의 클럽 및 국가대표팀 출전 및 득점 기록은 다음과 같다.
| 클럽 | 기간 | 출전 | 득점 |
|---|---|---|---|
| 다롄 완다 FC | 1994-2003 | 178 | 16 |
| → 그림즈비 타운 FC (임대) | 2000-2001 | 17 | 3 |
| 톈진 터다 | 2004-2005 | 11 | 1 |
| 사우스 차이나 AA | 2005-2006 | 7 | 0 |
| 총계 | 213 | 20 | |
|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전 | 득점 |
|---|---|---|---|
| 중국 | 1995 | 3 | 0 |
| 1996 | 5 | 2 | |
| 1997 | 21 | 2 | |
| 1998 | 13 | 1 | |
| 1999 | 0 | 0 | |
| 2000 | 13 | 1 | |
| 2001 | 4 | 1 | |
| 2002 | 3 | 0 | |
| 총계 | 62 | 7 | |
| No. | 날짜 | 경기장 | 상대팀 | 득점 | 결과 | 대회 |
|---|---|---|---|---|---|---|
| 1. | 1996년 12월 16일 |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 사우디아라비아 | 1-0 | 3-4 | 1996년 AFC 아시안컵 |
| 2. | 3-4 | |||||
| 3. | 1997년 10월 3일 | 진저우 스타디움, 다롄, 중국 | 사우디아라비아 | 1-0 | 1-0 | 199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 4. | 1998년 3월 1일 |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요코하마, 일본 | 홍콩 | 1-0 | 1-0 | 1998년 다이너스티컵 |
| 5. | 2000년 1월 29일 | 통녓 스타디움, 호찌민 시, 베트남 | 베트남 | 2-0 | 2-0 |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
| 6. | 2001년 8월 3일 | 상하이 스타디움, 상하이, 중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1 | 2-2 (승부차기 2-4) | 2001년 포 네이션스 토너먼트 |
6. 수상 경력
장언화는 선수 시절 다음과 같은 주요 우승 타이틀을 획득했다.
다롄 완다 FC / 다롄 스더
- 중국 갑급 A리그: 1994, 1996, 1997, 1998, 2000, 2001, 2002
- 중국 FA컵: 2001
- 중국 슈퍼컵: 1997, 2003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 아시안 게임: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 동메달
7. 사망
장언화는 2021년 4월 29일, 48번째 생일을 맞은 지 하루 만에 사망했다. 그의 사망 원인은 생일 파티에서 과도한 음주로 인한 심장마비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