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1.1. 학창 시절 및 아마추어 경력
오주원은 1985년 3월 31일에 태어났으며, 서울 청원초등학교, 청원중학교, 청원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청원고등학교 재학 시절, 그는 최고의 좌완 고교 투수 유망주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2003년에는 대한민국 청소년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5회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대한민국은 결승전에서 중화 타이베이를 꺾고 두 번째 아시아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오주원은 이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 프로 경력
오주원은 현대 유니콘스에 입단하여 프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이후 넥센 히어로즈와 키움 히어로즈에서 활동하며 팀의 핵심 투수로 자리매김했다.
2.1. 현대 유니콘스 시절
오주원은 현대 유니콘스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했으며, 뛰어난 신인 시즌을 보냈으나 이후 부진과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2.1.1. 드래프트 및 신인 시즌
서울 청원고등학교를 졸업한 오주원은 2004년 KBO 드래프트에서 2차 1라운드 전체 12순위로 현대 유니콘스에 지명되어 계약금 1.51 억 KRW와 연봉 2000.00 만 KRW의 조건으로 입단했다. 입단 첫 해인 2004년 KBO 리그 시즌에 그는 곧바로 현대 유니콘스의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하며 신인으로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이 시즌에 10승 9패, 3.99의 평균자책점, 149이닝 동안 113개의 탈삼진을 기록하며 팀의 한국시리즈 진출에 크게 공헌했다.
2.1.2. 신인왕 수상 및 한국시리즈
오주원은 2004년 시즌을 마친 후 삼성 라이온즈의 권오준과의 치열한 경쟁 끝에 신인왕을 수상하며 데뷔 첫 해부터 큰 주목을 받았다. 그는 2004년 한국시리즈 5차전에 선발 등판하여 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5.1이닝 동안 2피안타, 3볼넷, 1실점만을 허용하며 승리 투수가 되었고, 팀이 한국시리즈에서 2승째를 올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우승은 현대 유니콘스의 마지막 한국시리즈 우승이기도 했다.
2.1.3. 부진과 병역 의무
신인 시즌의 성공 이후, 오주원은 2년차 징크스를 겪었다. 다음 해인 2005년에는 부상과 재활로 인해 5월 말이 되어서야 1군에 합류할 수 있었지만, 제구력 불안 등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며 1승 11패, 6.01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는 부진한 시즌을 보냈다. 2006년에도 제구력 불안을 떨쳐내지 못하고 자주 난조를 겪었으며, 4월 28일 LG 트윈스전을 마지막으로 선발진에서 이탈했다. 이 시즌에는 단 4경기에 등판하여 1승 1패, 4.61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2006년 시즌이 끝난 후 11월에 그는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여 2년간의 병역 의무를 수행했다. 상무 야구단에서 그는 2008년 퓨처스 북부 리그에서 11승을 기록하며 다승왕에 오르기도 했다.
2.2. 넥센 히어로즈 & 키움 히어로즈 시절
군 복무를 마친 오주원은 넥센 히어로즈와 키움 히어로즈에서 불펜 투수와 선발 투수를 오가며 다양한 역할을 소화했다.
2.2.1. 군 복무 후 복귀 및 불펜 투수 활동
2008년 군 복무를 마친 오주원은 자신의 전 소속팀인 현대 유니콘스의 선수단을 승계받은 히어로즈에 복귀했다. 복귀 후에는 주로 불펜 투수로 등판하며 좌타자를 상대하는 원포인트 릴리프 역할을 맡았다. 2009년 복귀 시즌에는 1승 2패, 5홀드, 4.08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평범한 성적을 거뒀다. 하지만 2010년에는 팀 내 최다인 69경기에 등판하며 (리그 4위) 히어로즈 불펜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 이 시즌에 그는 평균자책점을 2.38로 낮추고 9홀드를 기록하며 1승 1패의 성적을 거뒀다. 2011년에는 셋업맨으로서 최고의 시즌을 보냈는데, 개인 최고 기록인 20홀드를 달성하며 정우람의 25홀드, 정현욱의 24홀드에 이어 리그 3위에 올랐다. 그는 히어로즈 소속 불펜 투수 중 유일하게 2년 연속 60경기 이상 등판한 선수였다.
2.2.2. 부상, 역할 변화 및 개명
2012년에는 26경기에 등판하여 1승 3패, 4홀드, 1세이브, 5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비교적 부진했고, 8월에 팔꿈치 인대 접합 수술을 받아 시즌을 조기에 마감했다. 재활 후 복귀하자 당시 염경엽 감독은 부진했던 강윤구와 김세현 대신 오주원을 선발 투수로 기용했다. 2013년 8월 22일 NC 다이노스전에 2,672일 만에 선발 등판하여 2006년 4월 18일 두산 베어스전 이후 7년(2683일) 만에 선발 승을 거뒀다. 2014년에도 여러 차례 선발로 등판했으나 좋은 모습을 보이지 못했지만, 포스트시즌에서의 호투로 점차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15년 1월 중순에 고관절 통증이 발생하여 재활에 들어갔고, 시즌 중반에 복귀했지만 9경기에 등판하여 9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는 등 만족스러운 성적을 거두지 못하며 병역 기간을 제외하고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승리 없이 시즌을 마쳤다. 2016년 8월 11일, 2시즌 만에 승리를 기록했고, 이틀 뒤인 8월 13일에 '오재영(吳在英)'에서 '오주원(吳周原)'으로 이름을 개명했다.
2.2.3. 말년 경력 및 FA
개명 후 2016년 시즌에는 55경기에 등판하여 3승 2패, 2세이브, 7홀드, 4.41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으며, 9월 4일 한화 이글스전에서 개인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2017년 시즌에는 57경기에 등판하여 2승 7패, 1세이브, 18홀드,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고, 2018년 시즌에는 61경기에 등판하여 3승 6패, 1세이브, 15홀드, 6점대 평균자책점으로 2년 연속 부진을 겪었다. 2019년 시즌 초반에는 필승조로 활약하다가 마무리 투수였던 조상우가 부상으로 이탈하자 마무리 투수 역할을 맡았다. 그의 성적이 좋아 조상우가 복귀한 후에도 마무리 투수 자리를 지켰으며, 개인 최다인 18세이브와 2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는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2019년 시즌 후 FA 자격을 얻었고, 2년 총액 7.00 억 KRW에 키움 히어로즈와 재계약하며 팀에 잔류했다.
2.3. 은퇴
오주원은 2021년 시즌을 마친 후인 10월 26일,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이후 10월 28일 키움 히어로즈로부터 웨이버 공시되었고, 11월 4일 최종적으로 자유계약선수가 되었다.
3. 은퇴 후 활동
오주원은 선수 은퇴 후에도 야구계에 남아 활동하고 있다. 2022년부터 고양 히어로즈의 전력분석원으로 활동했다. 2024년부터는 키움 히어로즈의 잔류군(3군에 해당) 투수코치로 보직을 변경하여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4. 기록
4.1. 연도별 투수 성적
연도 | 팀명 |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2004 | 현대 | 3.99 | 30 | 1 | 0 | 10 | 9 | 0 | 0 | 0.526 | 625 | 149 | 135 | 16 | 53 | 5 | 113 | 71 | 66 |
2005 | 6.01 | 22 | 0 | 0 | 1 | 11 | 0 | 0 | 0.083 | 327 | 70.1 | 79 | 5 | 44 | 2 | 37 | 57 | 47 | |
2006 | 4.61 | 4 | 0 | 0 | 1 | 1 | 0 | 0 | 0.500 | 58 | 13.2 | 9 | 0 | 10 | 1 | 5 | 7 | 7 | |
2009 | 히어로즈 /넥센 | 4.08 | 52 | 0 | 0 | 1 | 2 | 0 | 5 | 0.333 | 167 | 39.2 | 39 | 3 | 17 | 1 | 25 | 18 | 18 |
2010 | 2.38 | 69 | 0 | 0 | 1 | 1 | 0 | 9 | 0.500 | 187 | 45.1 | 39 | 4 | 15 | 2 | 28 | 15 | 12 | |
2011 | 3.53 | 64 | 0 | 0 | 2 | 2 | 1 | 20 | 0.500 | 178 | 43.1 | 38 | 4 | 18 | 1 | 29 | 19 | 17 | |
2012 | 5.19 | 26 | 0 | 0 | 1 | 3 | 1 | 4 | 0.250 | 113 | 26 | 26 | 6 | 13 | 1 | 18 | 15 | 15 | |
2013 | 2.40 | 10 | 0 | 0 | 4 | 0 | 0 | 1 | 1.000 | 169 | 41.1 | 28 | 1 | 18 | 1 | 31 | 13 | 11 | |
2014 | 6.45 | 21 | 0 | 0 | 5 | 6 | 0 | 0 | 0.455 | 341 | 74 | 99 | 14 | 33 | 3 | 31 | 59 | 53 | |
2015 | 9.33 | 9 | 0 | 0 | 0 | 2 | 0 | 0 | 0.000 | 96 | 18.1 | 31 | 4 | 12 | 1 | 11 | 19 | 19 | |
2016 | 4.41 | 55 | 0 | 0 | 3 | 2 | 2 | 7 | 0.600 | 220 | 51 | 50 | 3 | 17 | 4 | 40 | 25 | 25 | |
2017 | 4.76 | 57 | 0 | 0 | 2 | 7 | 1 | 18 | 0.222 | 329 | 73.2 | 96 | 10 | 15 | 2 | 56 | 44 | 39 | |
2018 | 키움 | 6.19 | 61 | 0 | 0 | 3 | 6 | 1 | 15 | 0.333 | 226 | 52.1 | 61 | 8 | 13 | 1 | 36 | 37 | 36 |
2019 | 2.32 | 57 | 0 | 0 | 3 | 3 | 18 | 3 | 0.500 | 223 | 54.1 | 54 | 1 | 7 | 3 | 41 | 17 | 14 | |
2020 | 5.40 | 25 | 0 | 0 | 3 | 1 | 0 | 2 | 0.750 | 78 | 18.1 | 22 | 6 | 0 | 0 | 13 | 12 | 11 | |
2021 | 9.31 | 22 | 0 | 0 | 1 | 1 | 1 | 0 | 0.500 | 94 | 19.1 | 35 | 3 | 4 | 0 | 11 | 20 | 20 | |
통산 | 16시즌 | 4.67 | 584 | 1 | 0 | 41 | 57 | 25 | 84 | 0.418 | 3431 | 790 | 841 | 88 | 289 | 28 | 525 | 448 | 410 |
4.2. 등번호
- 59 (2004년 ~ 2006년)
- 15 (2009년 ~ 2021년)
- 86 (2024년)
- 185 (2025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