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김세현은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1987년 8월 7일 서울특별시에서 김영민으로 태어났다. 우투우타 투수였으며, KBO 리그의 현대 유니콘스, 우리 히어로즈, 히어로즈, 넥센 히어로즈, KIA 타이거즈, SK 와이번스, SSG 랜더스에서 활동했다. 2015년에 본명인 김영민에서 김세현으로 개명했으며, 같은 해 만성 골수성 백혈병 진단을 받는 등 개인적인 어려움도 겪었다. 2016년에는 마무리 투수로서 36세이브를 기록하며 세이브왕 타이틀을 획득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2021년 현역에서 은퇴했다.
2. Early Life and Amateur Career
김세현은 유년 시절부터 뛰어난 야구 재능을 보이며 아마추어 무대에서 활약했다. 그는 학업과 야구를 병행하며 성장했으며, 특히 고등학교 시절에는 팀을 전국 대회 우승으로 이끌며 주목받았다.
2.1. Childhood and Education
김세현은 1987년 8월 7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서울도신초등학교, 우신중학교를 거쳐 덕수고등학교 (구 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를 졸업했다. 학창 시절부터 야구 선수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2.2. Amateur Baseball Career
김세현은 덕수고등학교 재학 시절인 2004년에 팀을 전국고교야구대회 우승으로 이끌며 56회 화랑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최우수 투수로 선정되었다. 이듬해인 2005년에도 57회 화랑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팀의 2년 연속 우승에 기여하며 고교 야구의 강자로 이름을 알렸다.
3. Professional Career
김세현은 KBO 드래프트를 통해 프로 무대에 데뷔한 후 여러 팀을 거치며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넥센 히어로즈 시절에는 팀의 핵심 투수로 성장하며 개인 타이틀을 획득하기도 했다.
3.1. Hyundai Unicorns
김세현은 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06년 KBO 드래프트에서 2차 2라운드 17순위로 현대 유니콘스에 지명되어 계약금 1.00 억 KRW를 받고 입단했다. 2007년부터 1군에 합류하며 첫 시즌에 3.48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해 가능성을 보였다. 당시 150km/h 중반의 빠른 직구가 강점으로 꼽혔으나, 불안정한 제구력이 단점으로 지적받기도 했다.
3.2. Nexen Heroes and its Predecessor Teams
2007년 시즌을 끝으로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된 후, 김세현은 선수단을 승계한 우리 히어로즈 (이후 히어로즈, 넥센 히어로즈로 변경) 소속이 되었다. 그는 혹독한 2년차 시즌을 보냈고, 2008년과 2009년에는 뚜렷한 활약이 없었다. 2009년에는 18경기에 등판하여 1승 3패, 5.94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당시 김시진 감독과 정민태 투수 코치는 그를 강윤구와 함께 선발진에 진입할 만한 잠재력 있는 선수로 평가하며 큰 기대를 걸었다.
3.2.1. Name Change and Illness
김세현은 2010년 1월 4일 개인 훈련 중 무릎 십자 인대가 파열되는 큰 부상을 입어 2010년 시즌에는 1군에 등판하지 못하고 재활에 매진했다. 이 부상으로 인해 그는 병역이 면제되었다. 재활 후 2011년에 복귀하여 그해 6월 16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데뷔 첫 선발승을 기록했다. 하지만 무릎 부상이 다시 재발하여 8경기 출장에 그친 채 다시 엔트리에서 제외되었다. 2015년 9월 5일,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9이닝 5피안타, 3탈삼진, 2사사구,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데뷔 첫 완봉승을 기록했다. 그러나 시즌 도중 갑작스럽게 만성 골수성 백혈병 진단을 받아 시즌을 조기에 마감하게 되었다. 2015년 시즌이 끝난 후인 12월 8일, 그는 본명인 김영민에서 김세현으로 개명했다. 이는 투병 후 더욱 단단해지겠다는 마음가짐을 담아 '권세 세(勢)'와 '옥돌 현(玹)'을 사용한 이름이었다.
3.2.2. Saves King Award
2016년 시즌을 앞두고 팀의 주전 마무리 투수였던 손승락이 롯데 자이언츠로 이적하면서, 김세현은 넥센 히어로즈의 새로운 마무리 투수 자리를 맡게 되었다. 그는 2016년 4월 6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통산 첫 세이브를 기록하며 마무리 투수로서의 성공적인 전환을 알렸다. 그는 첫 마무리 투수 시즌에 36세이브를 달성하며 KBO 리그 세이브왕 타이틀을 획득했고, 시즌 종료 후 KBO 시상식에서 세이브상을 수상하며 최고의 마무리 투수로 인정받았다.
3.3. KIA Tigers
2017년 7월 31일, 김세현은 당시 넥센 히어로즈 소속이었던 유재신과 함께 KIA 타이거즈의 이승호와 손동욱을 상대로 하는 2대 2 트레이드를 통해 KIA 타이거즈로 이적했다. KIA 이적 후 그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특히 2019년에는 단 10경기에만 등판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3.4. SK Wyverns and SSG Landers
김세현은 2019년 11월 20일, 2020년 KBO 리그 2차 드래프트를 통해 SK 와이번스로 이적했다. 2021년에는 SK 와이번스가 SSG 랜더스로 구단이 매각되면서 SSG 랜더스 소속 선수가 되었다. 하지만 2021년 5월 11일 웨이버 공시되었고, 5월 18일 자유계약선수로 방출되며 현역에서 은퇴했다. 당시 구단은 그의 구위와 제구력이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4. Playstyle and Characteristics
김세현은 150km/h에 육박하는 빠른 직구가 주무기였다. 그의 투구 스타일은 강력한 구위를 바탕으로 타자를 압도하는 것이었으나, 종종 불안정한 제구력이 단점으로 지적되기도 했다. 또한, 그는 왼손잡이지만 공은 오른손으로 던지는 특이한 케이스였다.
5. Retirement
김세현은 2021년 5월 11일 SSG 랜더스에서 웨이버 공시된 후, 5월 18일 자유계약선수로 풀리며 현역 프로 야구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그의 은퇴는 백혈병 투병과 부상 등 여러 어려움을 이겨내고 세이브왕 타이틀까지 차지했던 그의 선수 경력에 마침표를 찍는 순간이었다. 은퇴 후의 구체적인 근황이나 계획은 알려져 있지 않다.
6. Career Statistics
김세현은 프로 선수 경력 동안 다음과 같은 통산 기록을 남겼다.
연도 | 팀명 |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2007 | 현대 | 3.48 | 20 | 0 | 0 | 1 | 0 | 0 | 0 | 1.000 | 143 | 33.2 | 30 | 3 | 15 | 1 | 18 | 13 | 13 |
2008 | 우리 | 7.04 | 11 | 0 | 0 | 1 | 2 | 0 | 0 | 0.333 | 117 | 23 | 39 | 1 | 11 | 1 | 12 | 22 | 178 |
2009 | 히어로즈 | 5.94 | 18 | 0 | 0 | 1 | 3 | 0 | 0 | 0.250 | 220 | 47 | 54 | 4 | 28 | 3 | 37 | 36 | 31 |
2011 | 넥센 | 5.96 | 8 | 0 | 0 | 2 | 2 | 0 | 0 | 0.500 | 111 | 22.2 | 27 | 1 | 15 | 5 | 10 | 17 | 15 |
2012 | 넥센 | 4.69 | 30 | 0 | 0 | 5 | 9 | 0 | 0 | 0.357 | 554 | 121 | 143 | 9 | 70 | 3 | 90 | 68 | 63 |
2013 | 넥센 | 5.15 | 29 | 0 | 0 | 5 | 5 | 0 | 0 | 0.500 | 455 | 101.1 | 119 | 7 | 48 | 3 | 55 | 62 | 58 |
2014 | 넥센 | 8.00 | 34 | 0 | 0 | 5 | 2 | 0 | 2 | 0.714 | 220 | 45 | 62 | 3 | 29 | 5 | 33 | 43 | 40 |
2015 | 넥센 | 4.38 | 57 | 1 | 1 | 4 | 5 | 0 | 6 | 0.444 | 389 | 90.1 | 90 | 14 | 28 | 7 | 85 | 47 | 44 |
2016 | 넥센 | 2.60 | 62 | 0 | 0 | 2 | 0 | 36 | 0 | 1.000 | 254 | 62.1 | 66 | 2 | 7 | 0 | 50 | 19 | 18 |
2017 | KIA | 5.40 | 48 | 0 | 0 | 1 | 5 | 18 | 7 | 0.167 | 230 | 50 | 65 | 4 | 15 | 2 | 47 | 31 | 30 |
2018 | KIA | 6.75 | 40 | 0 | 0 | 1 | 6 | 4 | 0 | 0.143 | 191 | 40 | 56 | 4 | 17 | 2 | 32 | 32 | 30 |
2019 | KIA | 6.23 | 10 | 0 | 0 | 0 | 2 | 0 | 0 | 0.000 | 48 | 8.2 | 11 | 0 | 9 | 2 | 5 | 8 | 6 |
2020 | SK | 5.79 | 42 | 0 | 0 | 2 | 0 | 1 | 7 | 1.000 | 187 | 42 | 44 | 7 | 22 | 1 | 35 | 28 | 27 |
2021 | SSG | 10.38 | 5 | 0 | 0 | 0 | 0 | 0 | 0 | - | 28 | 4.1 | 9 | 0 | 7 | 0 | 5 | 5 | 5 |
통산 | 14시즌 | 5.18 | 414 | 1 | 1 | 30 | 41 | 59 | 22 | 0.423 | 3147 | 691.1 | 815 | 59 | 321 | 35 | 514 | 431 | 398 |
7. Jersey Numbers
김세현은 프로 경력 동안 여러 팀에서 다양한 등번호를 사용했다.
- 50 (2006년 ~ 2012년, 2015년 ~ 2017년 시즌 중, 2019년)
- 38 (2013년 ~ 2014년)
- 49 (2017년 시즌 중 ~ 2018년)
- 10 (2020년)
- 33 (2021년 ~ 2021년 시즌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