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야신 부누는 1991년 4월 5일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에서 모로코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나 두 살 때 가족과 함께 모로코 카사블랑카로 이주한 모로코의 프로 축구 선수이다. 흔히 보노(Bono)라는 애칭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의 알힐랄과 모로코 국가대표팀에서 골키퍼로 활약하고 있다. 그는 경력의 대부분을 스페인에서 보냈으며, 라리가에서 150경기 이상,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50경기 이상 출전했다. 세비야 소속으로 UEFA 유로파리그에서 두 차례(2019-2020, 2022-2023 시즌) 우승을 차지했고, 2021-2022 시즌에는 사모라 상을 수상했다. 국가대표팀에서는 2012년 런던 올림픽에 U-23 대표팀으로 참가했으며, 성인 대표팀 소속으로 두 번의 FIFA 월드컵과 네 번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출전하여 모로코 축구의 역사적인 성과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2022년 FIFA 월드컵에서는 모로코를 준결승으로 이끌며 아프리카 국가 최초의 기록을 세웠다.
2. Early Life and Youth Career
야신 부누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모로코인 부모님 사이에서 태어나 모로코 카사블랑카로 이주하여 어린 시절 위다드 AC 유소년 팀에서 축구를 시작하며 골키퍼로서의 기틀을 다졌다.
2.1. Early Life and Background
야신 부누는 1991년 4월 5일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에서 모로코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타우나트 주 보우아나 마을 출신으로, 엔지니어이자 하사니아 공공사업 학교의 전 교수였다. 부누와 그의 부모님은 그가 두 살 때 모로코 카사블랑카로 이주했다.
2.2. Youth Career
그는 어린 시절 거리에서 축구를 시작했으며, 1999년 8세의 나이로 위다드 AC 유소년 팀에 합류했다. 처음에는 발로 플레이하는 것을 즐겼지만, 키가 커지면서 골키퍼가 될 것을 제안받았고 이를 받아들였다. 그의 골키퍼 우상은 에드빈 판 데르 사르와 잔루이지 부폰이었다. 부모님은 처음에는 그가 축구에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에 대해 복잡한 심경을 가졌지만, 그의 재능이 명백해지면서 점차 지지하게 되었다. 17세 때 OGC 니스 스카우트에게 골키퍼로서의 재능을 인정받아 계약했지만, 행정적인 문제로 인해 니스에서 뛰지 못하고 위다드 AC로 돌아왔다. 그는 2010년 1군 팀으로 승격한 후, 2011년에 구단에서 성인 팀 데뷔를 했다.
3. Club Career
부누는 위다드 AC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레알 사라고사, 지로나를 거쳐 세비야에서 UEFA 유로파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현재는 알힐랄에서 뛰고 있다.

3.1. Wydad AC
부누는 2010년 19세의 나이로 위다드 AC 1군 팀에 합류했으며, 나디르 라미야그리의 두 번째 선택지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2011년 CAF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서 Espérance de Tunis에스페랑스 드 튀니스프랑스어를 상대로 80,000명의 관중 앞에서 1군 데뷔전을 치렀다. 2011년 11월 21일에는 디파 엘 자디다를 상대로 첫 보톨라 프로 경기에 출전했다. 그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로 이적하기 전까지 10번의 리그 경기에 참여했다. 위다드 AC 소속으로 2009-2010 시즌 보톨라 우승을 경험했으며, 2011년 CAF 챔피언스리그 준우승을 기록했다.
3.2. Atlético Madrid
2012년 6월 14일, 부누는 라리가 클럽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로 이적했다. 그는 처음에는 세군다 디비시온 B의 리저브 팀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에 배정되었으며, 이곳에서 47경기에 출전했다. 그는 또한 1군 팀의 세 번째 골키퍼로 정기적으로 벤치에 앉았고, 2013년 5월 31일 새로운 4년 계약을 체결했다. 2014년 여름, 티보 쿠르투아와 다니엘 아란수비아의 이탈로 인해 그는 최종적으로 1군 스쿼드에 합류했다. 2014년 7월 24일, CD 누만시아와의 프리시즌 친선 경기에서 1-0 승리를 거두며 1군 데뷔전을 치렀다. 그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소속으로 2013-2014 시즌 라리가 우승 스쿼드에 포함되었으며, 2014년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3.3. Real Zaragoza (loan)
2014년 9월 1일, 부누는 세군다 디비시온의 레알 사라고사로 한 시즌 동안 임대되었다. 그는 시즌 전반기 동안 오스카르 월리에게 밀려 출전 기회를 잡지 못했지만, 이듬해 1월 11일 UD 라스팔마스와의 경기에서 3-5로 패하며 데뷔전을 치렀고, 시즌을 16경기 출전으로 마쳤다.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월리의 부진으로 지로나 FC에게 홈에서 0-3으로 패한 후, 부누가 2차전에 나서 4-1 승리를 이끌며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하지만 사라고사는 결승전에서 UD 라스팔마스에게 같은 규칙으로 패배하며 승격이 좌절되었다. 2015년 7월 23일, 그는 다시 한 시즌 임대 계약을 맺고 사라고사로 복귀하여 총 35경기에 출전했다.
3.4. Girona
2016년 7월 12일, 부누는 지로나 FC와 2년 영구 계약을 체결했다. 그는 첫 시즌에 레네 로만과 출전 시간을 나누며 정확히 절반의 경기에 출전했고, 팀은 세군다 디비시온 2위로 승격했다. 2019년 1월, 그는 1부 리그 팀의 주전으로 자리 잡으며 계약을 2021년 6월까지 연장했다. 지로나 소속으로 총 83경기에 출전했다.

3.5. Sevilla
2019년 9월 2일, 지로나 FC의 강등 이후 부누는 1년 임대 계약으로 세비야 FC에 합류했다. 리그에서는 토마시 바츨리크의 백업이었지만, 국내 컵 대회와 UEFA 유로파리그에서 꾸준히 출전 기회를 얻었다. 그는 2019-2020 시즌 유로파리그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8강전에서 울버햄프턴 원더러스 FC의 라울 히메네스의 페널티킥을 막아내 1-0 승리를 이끌었고,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와의 준결승전에서 2-1 승리를 견인했다. 결승전에서는 인테르나치오날레를 상대로 로멜루 루카쿠의 결정적인 1대1 기회를 선방하며 3-2 승리에 쐐기를 박았다.
2020년 9월 4일, 부누는 세비야와 4년 영구 계약을 체결했다. 이듬해 3월 21일, 레알 바야돌리드와의 경기 막판에 프로 데뷔 후 첫 골을 기록하며 1-1 무승부를 만들어냈다. 2021년 한 해 동안 그는 소속팀과 국가대표팀을 통틀어 59경기에서 32번의 클린시트를 기록하며, 유럽 5대 리그 골키퍼 중 가장 많은 클린시트를 달성했다. 2022년 2월 27일 세비야 더비에서 레알 베티스를 상대로 무니르 엘 하다디의 골을 어시스트하며 세비야에서의 네 번째 공격포인트(3도움, 1골)를 기록했다. 2022년 4월에는 2025년까지 계약을 1년 연장했다.
그는 2021-2022 라리가 시즌 사모라 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레알 마드리드 CF, FC 바르셀로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이외의 클럽 소속으로 2006-2007 시즌 헤타페 CF의 로베르토 아본단시에리 이후 처음이었다. 2022년 말에는 더 베스트 FIFA 남자 골키퍼 후보에 올랐고, 최종적으로 2위를 차지했다.
2023년 5월 31일, 부누는 UEFA 유로파리그 2023 결승전에서 AS 로마를 상대로 승부차기에서 두 개의 페널티킥을 선방하며 팀의 4-1 승리와 통산 7번째 유로파리그 우승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고, 이 경기에서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그는 2023년 더 베스트 FIFA 남자 골키퍼 최종 후보 3인 중 한 명으로 다시 이름을 올렸다. 세비야 소속으로 총 142경기에 출전했다.
3.6. Al Hilal
2023년 8월 17일, 부누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 기반을 둔 알힐랄과 3년 계약을 맺고 이적했다. 2023년 그는 발롱도르와 더 베스트 FIFA 풋볼 어워드 2023 후보에 올랐으며, 2023년 발롱도르에서 13위, 2023년 야신 트로피에서 3위를 차지했다. 2023년 11월 1일, 그는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에서 선정하는 2023년 아프리카 올해의 선수와 2023년 아프리카 올해의 골키퍼 후보에 지명되었고, 2023년 12월 11일 아프리카 올해의 골키퍼상을 수상했다. 알힐랄 소속으로 2023-2024 시즌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사우디 국왕컵, 사우디 슈퍼컵 (2023, 2024)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그는 또한 2023-2024 시즌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올해의 골키퍼와 2024년 사우디 슈퍼컵 최우수 골키퍼로 선정되었다. 알힐랄에서 총 73경기에 출전했다.
4. International Career
야신 부누는 모로코 청소년 및 올림픽 대표팀을 거쳐 성인 국가대표팀에 합류했으며, 특히 2022년 FIFA 월드컵에서 모로코의 역사적인 준결승 진출에 크게 기여했다.

4.1. Youth and Olympic Teams
부누는 캐나다와 모로코를 모두 대표할 자격이 있었지만, 모로코에서 성장했고 모로코 국가대표팀에서 뛰는 것을 꿈꿨기 때문에 후자를 선택했다. 그는 2012년 툴롱 토너먼트에서 모로코 U-20 대표팀으로 한 경기에 출전했다. 또한 2012년 런던 올림픽에 모로코 U-23 대표팀의 18인 스쿼드에 선발되었지만, 모하메드 암시프의 백업 역할을 수행했으며, 모로코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4.2. Senior National Team
2013년 8월 14일, 부누는 부르키나파소와의 친선 경기를 위해 성인 국가대표팀에 소집되었다. 그는 이튿날 탕헤르에서 열린 1-2 패배 경기에서 후반전 전체를 뛰며 국가대표 데뷔전을 치렀다.
2018년 5월, 부누는 2018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할 모로코의 23인 스쿼드에 이름을 올렸으나, 주로 무니르 모하메디의 백업 골키퍼로 활약했으며 팀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19년 이집트에서 열린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에르베 르나르 감독의 팀에서 주전으로 활약하며 나미비아와 코트디부아르를 상대로 1-0 무실점 승리를 거두며 16강 진출에 기여했다. 그는 또한 카메룬에서 열린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과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도 소집되었다.
4.2.1. FIFA World Cup 2022 Performance
2022년 11월 10일, 부누는 카타르에서 열린 2022년 FIFA 월드컵의 모로코 26인 스쿼드에 이름을 올렸다. 그는 11월 27일 벨기에와의 조별 리그 2차전에서 경기 시작 전 국가 제창 중 몸 상태가 좋지 않아 갑작스럽게 결장했으며, 크로아티아와의 1차전에서 부상을 입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16강전에서 스페인을 상대로 승부차기에서 두 개의 페널티킥을 막아내며 모로코의 사상 첫 FIFA 월드컵 8강 진출을 이끌었다. 이는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상대 선수에게 단 한 골도 허용하지 않은 2006년 FIFA 월드컵 당시 우크라이나의 올렉산드르 쇼우콥스키 이후 두 번째 기록이었다. 그는 포르투갈과의 8강전에서도 무실점 승리에 기여하며, 모로코를 아프리카 국가 최초로 월드컵 준결승에 진출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부누는 이 대회에서 4번의 클린시트를 기록하며 토너먼트에서 가장 많은 클린시트를 기록한 골키퍼가 되었고, 월드컵에서 3번의 클린시트를 달성한 최초의 아프리카 선수로 기록되었다.
4.2.2. Stance on Language
부누는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대회에서 기자회견 중 아랍어 사용을 옹호하고 프랑스어나 영어로 언론에 응대하기를 거부하여 화제가 되었다. 이는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이 아랍어 통역사를 고용하지 않은 것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5. Personal Life
부누는 캐나다에서 카사블랑카 출신의 모로코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2023년 마라케시-사피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이들을 위해 국가대표팀 동료들과 함께 헌혈에 참여했다.
6. Honors and Awards
야신 부누는 소속 클럽인 위다드 AC,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세비야, 알힐랄에서 다수의 우승컵을 들어 올렸으며, 개인적으로도 사모라 상과 아프리카 올해의 골키퍼 등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6.1. Club Honors
- 위다드 AC
- 보톨라: 2009-2010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라리가: 2013-2014
-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2014
- 세비야
- UEFA 유로파리그: 2019-2020, 2022-2023
- UEFA 슈퍼컵 준우승: 2020, 2023
- 알힐랄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2023-2024
- 사우디 국왕컵: 2023-2024
- 사우디 슈퍼컵: 2023, 2024
6.2. Individual Awards
- 사모라 상: 2021-2022
- 라리가 올해의 아프리카 선수: 2021-2022
- 라리가 시즌의 팀: 2021-2022
- UEFA 유로파리그 시즌의 팀: 2019-2020, 2022-2023
- "Lion d'Or" 아프리카 올해의 선수: 2023
- "Africa d'Or" 아프리카 올해의 선수: 2023
- 아프리카 올해의 골키퍼: 2023
- IFFHS 아프리카 올해의 팀: 2022, 2023
- 사우디 슈퍼컵 최우수 골키퍼: 2024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시즌의 골키퍼: 2023-2024
- UMFP 해외 베스트 모로코 골키퍼: 2020-2021, 2021-2022, 2022-2023, 2023-2024
- UEFA 유로파리그 결승전 최우수 선수: 2023
6.3. Orders and Decorations
- 왕좌의 훈장: 2022
7. Career Statistics
7.1. Club Statistics
구단 | 시즌 | 리그 | 국내컵 | 대륙대회 | 기타 | 합계 | ||||||
---|---|---|---|---|---|---|---|---|---|---|---|---|
디비전 | 경기 | 골 | 경기 | 골 | 경기 | 골 | 경기 | 골 | 경기 | 골 | ||
위다드 AC | 2010-2011 | 보톨라 | 0 | 0 | 0 | 0 | 1 | 0 | - | 1 | 0 | |
2011-2012 | 보톨라 | 10 | 0 | 0 | 0 | 0 | 0 | - | 10 | 0 | ||
합계 | 10 | 0 | 0 | 0 | 1 | 0 | - | 11 | 0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 | 2012-2013 | 세군다 디비시온 B | 24 | 0 | - | - | - | 24 | 0 | |||
2013-2014 | 세군다 디비시온 B | 23 | 0 | - | - | - | 23 | 0 | ||||
합계 | 47 | 0 | - | - | - | 47 | 0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2013-2014 | 라리가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사라고사 (임대) | 2014-2015 | 세군다 디비시온 | 16 | 0 | 0 | 0 | - | 3 | 0 | 19 | 0 | |
2015-2016 | 세군다 디비시온 | 19 | 0 | 0 | 0 | - | - | 19 | 0 | |||
합계 | 35 | 0 | 0 | 0 | - | 3 | 0 | 38 | 0 | |||
지로나 | 2016-2017 | 세군다 디비시온 | 21 | 0 | 0 | 0 | - | - | 21 | 0 | ||
2017-2018 | 라리가 | 30 | 0 | 1 | 0 | - | - | 31 | 0 | |||
2018-2019 | 라리가 | 32 | 0 | 0 | 0 | - | - | 32 | 0 | |||
합계 | 83 | 0 | 1 | 0 | - | - | 84 | 0 | ||||
세비야 (임대) | 2019-2020 | 라리가 | 6 | 0 | 2 | 0 | 10 | 0 | - | 18 | 0 | |
세비야 | 2020-2021 | 라리가 | 33 | 1 | 6 | 0 | 5 | 0 | 1 | 0 | 45 | 1 |
2021-2022 | 라리가 | 31 | 0 | 0 | 0 | 10 | 0 | - | 41 | 0 | ||
2022-2023 | 라리가 | 25 | 0 | 1 | 0 | 10 | 0 | - | 36 | 0 | ||
2023-2024 | 라리가 | 1 | 0 | - | - | 1 | 0 | 2 | 0 | |||
합계 | 96 | 1 | 9 | 0 | 35 | 0 | 2 | 0 | 142 | 1 | ||
알힐랄 | 2023-2024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31 | 0 | 5 | 0 | 5 | 0 | 2 | 0 | 43 | 0 |
2024-2025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21 | 0 | 1 | 0 | 6 | 0 | 2 | 0 | 30 | 0 | |
합계 | 52 | 0 | 6 | 0 | 11 | 0 | 4 | 0 | 73 | 0 | ||
경력 합계 | 323 | 1 | 16 | 0 | 47 | 0 | 9 | 0 | 395 | 1 |
7.2. International Statistics
국가대표팀 | 연도 | 경기 | 골 |
---|---|---|---|
모로코 | 2013 | 1 | 0 |
2014 | 3 | 0 | |
2015 | 1 | 0 | |
2016 | 2 | 0 | |
2017 | 2 | 0 | |
2018 | 4 | 0 | |
2019 | 10 | 0 | |
2020 | 3 | 0 | |
2021 | 8 | 0 | |
2022 | 18 | 0 | |
2023 | 6 | 0 | |
2024 | 13 | 0 | |
합계 | 7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