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 및 배경
앨버트 조 수아레즈 수베로는 1989년 10월 8일 베네수엘라 볼리바르주 시우다드과야나에서 태어났다. 그의 남동생인 로베르토 수아레즈 또한 MLB에서 투수로 활동하고 있다.
2. 프로 경력
앨버트 수아레즈는 미국의 마이너 리그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고, 이후 일본 프로 야구와 KBO 리그에서 주요 선수로 활약하며 다양한 리그에서 경험을 쌓았다. 2023년에는 다시 메이저 리그 무대로 복귀하여 2024년 시즌부터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일원으로 뛰고 있다. 또한, 그는 베네수엘라 윈터 리그에서도 꾸준히 활동하며 시즌 간의 경기 감각을 유지했다.
2.1. 마이너 리그 시절
수아레즈는 2006년 7월 2일 탬파베이 레이스 구단과 국제 자유 계약 선수로 계약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2008년 루키 리그 프린스턴 레이스에서 프로 데뷔하여 11경기(9선발)에서 0승 2패 평균자책점 3.92를 기록했다. 2009년에는 로우-A 허드슨 밸리 레니게이즈에서 2경기 선발로 1승 0패 평균자책점 2.79를 기록했으나, 그 해 토미 존 수술을 받았다.
2010년에는 GCL 레이스와 싱글-A 볼링 그린 핫 로즈에서 총 15경기(14선발)에 등판해 2승 5패 평균자책점 3.38을 기록하며 복귀했다. 2010년 11월 19일, 레이스 40인 로스터에 합류했다. 2011년에는 GCL 레이스와 하이-A 샬럿 스톤 크랩스에서 8경기 1승 1패 평균자책점 2.15를 기록했고, 2012년에는 샬럿에서 25경기 선발로 5승 9패 평균자책점 4.08을 기록했다. 2012년 8월 31일, 탬파베이에서 지명 할당되었고, 9월 3일 웨이버를 통과하여 더블-A로 배정되었다. 2013년 더블-A 몽고메리 비스킷츠에서 2경기 선발로 평균자책점 1.42를 기록했다. 2013년 11월 4일 자유 계약을 선택했지만, 11월 12일 탬파베이와 마이너 리그 계약으로 재계약했다. 2014년 샬럿과 몽고메리에서 총 14경기 선발로 4승 6패 평균자책점 3.60을 기록하며 레이스 산하 팀에서 메이저 리그로 승격되지 못한 채 2014 시즌을 마쳤다. 2014년 11월 8일 자유 계약 신분이 되었다.
2014년 12월 8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와 스프링 트레이닝 초청이 포함된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다. 2015년 시즌을 더블-A 아칸소 트래블러스에서 시작하여 27경기 선발로 11승 9패 평균자책점 2.98을 기록했고, 2015년 텍사스 리그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2015년 11월 13일 자유 계약 신분이 되었다.
2015년 11월 26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구단과 메이저 리그 스프링 트레이닝 초청이 포함된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다. 2016년 시즌을 트리플-A 새크라멘토 리버 캣츠에서 시작했다.
2.2. 메이저 리그 데뷔 및 초기 활동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소속으로 2016년 시즌 트리플-A에서 1승 2패 평균자책점 2.88을 기록 중이던 5월 6일, 메이저 리그로 처음 승격되었다. 2016년 5월 8일 콜로라도 로키스와의 경기에서 구원 투수로 등판하여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메이저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5월 11일 토론토 블루제이스와의 경기에서는 13회 무실점 투구로 만루 위기를 벗어나며 첫 메이저 리그 승리를 거뒀다. 2016년 6월 1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의 경기에서 첫 메이저 리그 선발 등판하여 5이닝 3실점을 허용했으나, 이안 크롤을 상대로 내야 안타를 기록하며 첫 메이저 리그 안타와 타점을 올렸다. 그는 루키 시즌을 22경기(12선발)에서 3승 5패 평균자책점 4.29를 기록하며 마쳤다.
2017년에는 자이언츠 소속으로 18경기에 등판하여 0승 3패 1세이브 평균자책점 5.12, 34 탈삼진을 기록했다. 2017년 12월 1일, 자이언츠에서 논텐더 FA가 되었으나, 12월 10일 자이언츠와 마이너 리그 계약으로 재계약했다.

2017년 12월 14일, 룰 5 드래프트를 통해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에 지명되어 이적했다. 그러나 2018년 3월 24일 애리조나에서 지명 할당되었고, 3월 27일 트리플-A 리노 에이시스로 방출되었다. 그는 리노에서 1년 동안 63.1이닝 동안 평균자책점 4.97, 51탈삼진을 기록했다. 2018년 10월 11일 자유 계약을 선택했다.
2.3. 일본 프로 야구 (NPB) 시절

2018년 12월 25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와 계약하며 일본 프로 야구에 진출했다. 등번호는 70번이었다.
2019년 4월 25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선발 등판하여 6이닝 동안 94구를 던져 3피안타 무실점 호투로 NPB 첫 승리를 거뒀다. 5월 15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경기에서 상반신 컨디션 난조를 호소하며 1이닝만에 강판되었다. 2군 복귀는 8월, 1군 복귀는 9월로 늦어져 시즌 총 4경기 등판에 그쳤다. 시즌 종료 후 다음 해 재계약이 발표되었고, 등번호는 43번으로 변경되었다.
2020년에는 12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4승 4패 평균자책점 2.67을 기록했다. 또한 10월 19일 한신 타이거스와의 경기(한신 고시엔 구장)에 그의 남동생인 로베르토 수아레즈가 등판하여, 프로 야구 역사상 최초로 '외국인 형제 투수가 동일 경기에 등판'하는 기록을 세웠다. 두 형제 모두 호투하며 경기는 무승부로 끝났다. 11월 16일, 추정 연봉 5200.00 만 JPY와 성과급 조건으로 재계약하며 잔류가 발표되었다.
2021년에는 시즌 도중 불펜으로 보직을 변경했다. 10월 3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경기에서 NPB 첫 세이브를 기록했는데, 같은 날 한신의 마무리 투수인 그의 남동생 로베르토도 세이브를 기록하여 형제가 같은 날 세이브를 기록하는 진기록을 남겼다. 야쿠르트는 2021년 일본 시리즈에 진출했고, 수아레즈도 2경기 2와 2/3이닝 무실점으로 활약했다. 야쿠르트가 4승 2패로 20년 만에 6번째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하며 수아레즈는 개인적으로 첫 일본 시리즈 우승을 경험했다. 12월 2일, 야쿠르트의 보류 선수 명단에서 제외되어 퇴단이 결정되었다.
2.4. KBO 리그 시절
2021년 12월 7일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와 2022년 시즌 선수 계약을 발표하며 마이크 몽고메리를 대체할 투수로 영입되었다.
2022년 시즌 삼성 소속으로 30경기(29선발)에 등판하여 6승 8패 평균자책점 2.49를 기록했다. 173과 2/3 이닝을 소화하며 팀의 최다 이닝을 기록했고, 159개의 탈삼진을 잡았다. 평균자책점은 리그 4위(2.49), 투구 이닝은 리그 8위(173과 2/3이닝), 탈삼진은 리그 6위(159개), WHIP는 리그 9위(1.16), 퀄리티 스타트는 리그 7위(19회)를 기록하며 선발 투수로서 충분한 역할을 수행했다. 팀의 득점 지원 부족과 불펜 투수들의 역전 허용 등 불운이 겹쳐 승수는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삼성은 그의 투구 내용을 높이 평가하여 2023년에도 재계약을 결정했다.
2023년 시즌에는 1년 130.00 만 USD에 재계약했다. 19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4승을 기록했으나, 8월 6일 LG 트윈스와의 경기 도중 왼쪽 종아리 근육 손상 부상을 입어 도중에 강판되었다. 회복까지 약 1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자, 삼성은 새로운 외국인 투수를 물색하기로 결정했고, 8월 10일 웨이버 공시되어 팀에서 방출되었다. 그의 대체 용병으로는 이전 NC 다이노스에서 뛰었던 테일러 와이드너가 영입되었다. 삼성 라이온즈 시절, NPB에서 함께 활동했던 데이비드 뷰캐넌과 재회했으며, 호세 피렐라와는 친구 사이였다.
2.5. 메이저 리그 복귀
2023년 9월 15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으며 메이저 리그 복귀를 추진했다. 2024년 시즌은 트리플-A 노퍽 타이즈에서 시작했다. 2024년 4월 17일, 오리올스 로스터에 합류하며 메이저 리그로 복귀했다. 그는 그날 선발 등판했고, 2017년 9월 26일 이후 첫 타자를 삼진으로 잡는 데 성공하며 5와 2/3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4월 22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다시 5와 2/3이닝 무실점을 던지며 4대2 승리를 이끌었고, 2016년 6월 23일 이후 첫 메이저 리그 승리를 거뒀다. 이 두 승리 사이의 2,860일 간격은 1950년대 이후 트래비스 블랙리의 2,906일(2004년~2012년)에 이어 두 번째로 긴 기록이다. 수아레즈는 세 번의 연속 무실점 선발 등판을 이어갔으나, 8월 24일 휴스턴 애스트로스와의 홈 경기에서 호세 알투베에게 1회 선두타자 홈런을 허용하며 무실점 행진이 중단되었다. 그는 2024년 정규 시즌 동안 개인 통산 최다인 133과 2/3이닝을 던지며 9승 7패 평균자책점 3.70을 기록했다.
2.6. 베네수엘라 윈터 리그 시절
수아레즈는 베네수엘라 프로 야구 리그(LVBP)에서 2011년에 나베간테스 델 마가야네스에 입단하여 뛰었고, 2017년과 2023년에는 레오네스 델 카라카스 소속으로 활동했다.
3. 선수로서의 특징
앨버트 수아레즈는 최고 구속이 160 km/h에 달하는 빠른 공을 주 무기로 하며, 투심 패스트볼, 슬라이더, 커브, 체인지업 등 다양한 구종을 구사한다.
4. 개인 생활
앨버트 수아레즈의 남동생인 로베르토 수아레즈 또한 메이저 리그에서 투수로 활약하고 있다.
5. 기록 및 업적
앨버트 수아레즈는 메이저 리그, 일본 프로 야구, KBO 리그 등 다양한 프로 리그에서 인상적인 기록과 업적을 달성했다. 그의 경력 통계는 꾸준한 선발 능력과 높은 탈삼진 능력을 보여주며, 각 리그에서 세운 독특한 기록들은 그의 다재다능함을 입증한다.
5.1. 경력 통계
연도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사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 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
2016 | SF | 22 | 12 | 0 | 0 | 0 | 3 | 5 | 0 | 1 | .375 | 355 | 84.0 | 84 | 11 | 26 | 5 | 4 | 54 | 1 | 0 | 42 | 40 | 4.29 | 1.31 |
2017 | 18 | 0 | 0 | 0 | 0 | 0 | 3 | 1 | 0 | .000 | 135 | 31.2 | 28 | 4 | 11 | 2 | 1 | 34 | 1 | 0 | 18 | 18 | 5.12 | 1.23 | |
2019 | 야쿠르트 | 4 | 4 | 0 | 0 | 0 | 1 | 1 | 0 | 0 | .500 | 68 | 17.2 | 11 | 1 | 5 | 0 | 1 | 12 | 0 | 0 | 3 | 3 | 1.53 | 0.91 |
2020 | 12 | 12 | 0 | 0 | 0 | 4 | 4 | 0 | 0 | .500 | 285 | 67.1 | 56 | 4 | 27 | 1 | 6 | 52 | 2 | 0 | 25 | 20 | 2.67 | 1.23 | |
2021 | 24 | 13 | 0 | 0 | 0 | 5 | 3 | 1 | 3 | .625 | 339 | 77.0 | 82 | 9 | 32 | 0 | 5 | 70 | 1 | 0 | 32 | 31 | 3.62 | 1.48 | |
2022 | 삼성 | 30 | 29 | 0 | 0 | 0 | 6 | 8 | 0 | 0 | .429 | 714 | 173.2 | 151 | 7 | 50 | 0 | 4 | 159 | 6 | 0 | 61 | 48 | 2.49 | 1.16 |
2023 | 19 | 19 | 0 | 0 | 0 | 4 | 7 | 0 | 0 | .364 | 479 | 108.0 | 129 | 3 | 32 | 0 | 2 | 88 | 6 | 0 | 54 | 47 | 3.92 | 1.49 | |
2024 | BAL | 32 | 24 | 0 | 0 | 0 | 9 | 7 | 0 | 1 | .563 | 565 | 133.2 | 130 | 17 | 43 | 1 | 3 | 108 | 2 | 1 | 56 | 55 | 3.70 | 1.29 |
MLB:3년 | 72 | 36 | 0 | 0 | 0 | 12 | 15 | 1 | 2 | .444 | 1055 | 249.1 | 242 | 32 | 80 | 8 | 8 | 196 | 4 | 1 | 116 | 113 | 4.08 | 1.29 | |
NPB:3년 | 40 | 29 | 0 | 0 | 0 | 10 | 8 | 1 | 3 | .556 | 692 | 162.0 | 149 | 14 | 64 | 1 | 12 | 134 | 3 | 0 | 60 | 54 | 3.00 | 1.32 | |
KBO:2년 | 49 | 48 | 0 | 0 | 0 | 10 | 15 | 0 | 0 | .400 | 1193 | 281.2 | 280 | 10 | 82 | 0 | 9 | 247 | 12 | 0 | 115 | 95 | 3.04 | 1.29 |
- 2024년도 시즌 종료 기준
연도 | 구단 | 투수 | |||||
---|---|---|---|---|---|---|---|
시합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2016 | SF | 22 | 8 | 15 | 1 | 3 | .958 |
2017 | 18 | 5 | 3 | 0 | 0 | 1.000 | |
2019 | 야쿠르트 | 4 | 0 | 2 | 0 | 1 | 1.000 |
2020 | 12 | 7 | 10 | 0 | 0 | 1.000 | |
2021 | 24 | 5 | 16 | 0 | 3 | 1.000 | |
2022 | 삼성 | 30 | 15 | 27 | 2 | 4 | .955 |
2023 | 19 | 6 | 18 | 0 | 2 | 1.000 | |
2024 | BAL | 32 | 9 | 15 | 1 | 2 | .960 |
MLB | 72 | 22 | 33 | 2 | 5 | .965 | |
NPB | 40 | 12 | 28 | 0 | 4 | 1.000 | |
KBO | 49 | 21 | 45 | 2 | 6 | .971 |
- 2024년도 시즌 종료 기준
5.2. 기타 기록
- NPB 첫 기록 (투수)**
- 첫 등판, 첫 선발 등판, 첫 승리, 첫 선발 승리: 2019년 4월 25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6회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6이닝 무실점
- 첫 탈삼진: 상동, 3회 초 사카모토 하야토를 상대로 헛스윙 삼진
- 첫 세이브: 2021년 10월 3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2회전(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9회말 5번째 구원 등판·경기 완료, 1이닝 무실점
- NPB 첫 기록 (타자)**
- 첫 타석: 2019년 4월 25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6회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2회말 스가노 도모유키를 상대로 헛스윙 삼진
- 첫 안타: 2019년 5월 2일,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6회전(요코하마 스타디움), 3회초 이마나가 쇼타를 상대로 우전 안타
- 외국인 형제 투수 동일 경기 등판 (NPB)**
- 2020년 10월 19일, 한신 타이거스전(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동생 로베르토 수아레즈와 함께 프로 야구 역사상 최초로 동일 경기에 등판.
- 형제 동시 세이브 기록 (NPB)**
- 2021년 10월 3일, 본인과 동생 로베르토가 동시에 각자 팀에서 세이브를 기록.
- MLB 승리 간격**
- 2016년 6월 23일 이후 2024년 4월 22일 첫 승리까지 2,860일이 소요되었는데, 이는 1950년대 이후 트래비스 블랙리의 2,906일 다음으로 두 번째로 긴 MLB 승리 간격 기록이다.
- KBO 불운의 아이콘**
- 2022년 시즌 삼성 소속으로 6승에 그쳤으나, 팀의 득점 지원 부족과 불펜 역전패 등이 겹쳐 실제 투구 내용에 비해 승수가 적었다.
6. 등번호
앨버트 수아레즈는 프로 경력 동안 여러 팀에서 다양한 등번호를 사용했다.
- 56번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16년 ~ 2017년)
- 70번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019년)
- 43번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020년 ~ 2021년)
- 57번 (삼성 라이온즈: 2022년 ~ 2023년)
- 49번 (볼티모어 오리올스: 2024년 ~ 현재)
7. 등장곡
앨버트 수아레즈는 일본 프로 야구 시절 주로 다음과 같은 등장곡을 사용했다.
- 「La Cadera스페인어」- La Melodia Perfecta, 샤를렌 & 모차르트 라 파라 (2019년 ~ 2021년)
- 「Sapés comme jamais프랑스어 (feat. Niska) - Pilule bleue」- GIMS (2021년)
- 「Acordeão포르투갈어」- 티에스토, MOSKA (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