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과 프로 데뷔
알리시아 몰릭은 1981년1월 27일, 오스트레일리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애들레이드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오른손잡이이며 한 손 백핸드를 사용했다. 1996년에 프로 선수로 전향했으며,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과 퍼스에 거주했다. 키는 1.82 m였으며, 몸무게는 약 72 kg이었다. 어린 시절부터 테니스에 두각을 나타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스포츠 연구소의 장학생이기도 했다.
2. 선수 경력
알리시아 몰릭은 1996년 프로 데뷔 이후 크고 작은 도전과 성과를 거두며 꾸준히 성장했다. 특히 2005년 전정신경염 발병이라는 큰 시련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끈질긴 재활과 노력으로 다시 코트에 복귀하여 두 번째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하는 등 강인한 정신력을 보여주었다.
2.1. 초기 경력 및 주요 성과 (1998-2004)
몰릭은 1998년부터 오스트레일리아 국가 대항전인 페드컵에 참가하며 국제 무대 경험을 쌓기 시작했다. 올림픽에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과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 연이어 출전했다. 2003년 1월, 오스트레일리아 호바트에서 열린 대회에서 에이미 프레이저를 꺾고 생애 첫 WTA 투어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2004년 8월 스웨덴 스톡홀름 대회에서 두 번째 투어 우승을 차지하며 상승세를 탔다.
이어진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그녀는 여자 단식에서 큰 활약을 펼쳤다. 8강전에서 일본의 스기야마 아이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아멜리 모레스모에게 패배했다. 그러나 동메달 결정전에서 당시 세계 랭킹 3위이자 2004년 프랑스 오픈 우승자인 아나스타샤 미스키나를 꺾는 파란을 일으키며 오스트레일리아에 동메달을 안겼다.
같은 해, 몰릭은 2004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와 2004년 US 오픈 혼합 복식에서 선배 선수인 토드 우드브리지와 짝을 이루어 두 대회 연속 준우승을 기록했다. 10월에는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린 티어 I급 대회인 취리히 오픈 결승에서 당시 윔블던 우승자였던 마리아 샤라포바를 꺾고 우승했으며, 이어진 룩셈부르크 대회에서도 디나라 사피나를 물리치고 2주 연속 투어 단식 우승을 차지했다.
2.2. 전성기와 질병 발생 (2005)
2005년은 몰릭에게 선수 경력의 정점과 동시에 큰 시련이 닥친 해였다. 시즌 초 마크 필리포시스와 함께 호프먼 컵에 출전한 그녀는 시드니 국제 대회에서 서맨사 스토서를 꺾고 투어 통산 다섯 번째 단식 우승을 차지하며 순조롭게 시작했다.
2005년 호주 오픈에서 몰릭은 단식에서 10번 시드를 받아 아나벨 메디나 가리게스, 나카무라 아이코, 타티아나 파노바를 연달아 꺾었다. 4라운드에서는 8번 시드의 비너스 윌리엄스를 꺾고 1988년 이후 처음으로 호주 여성 선수로서 호주 오픈 단식 8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8강전에서는 최고 시드의 린제이 대븐포트와 풀세트 접전을 펼쳤으나 아쉽게 패했다. 하지만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와 짝을 이룬 복식에서는 대븐포트와 코리나 모라리우 조를 꺾고 생애 첫 그랜드 슬램 복식 우승을 차지했다. 호주 오픈 이후 몰릭은 단식 세계 랭킹 10위에 진입하며 개인 최고 랭킹인 8위를 달성했고, 이는 웬디 턴불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여자 선수로는 처음으로 세계 랭킹 톱 10에 진입한 기록이었다.

이후 프로시무스 다이아몬드 게임즈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아멜리 모레스모에게 패했고, 카타르 레이디스 오픈 준결승에서 모레스모를 꺾고 결승에 올랐으나 마리아 샤라포바에게 패해 준우승했다. 이 대회 이후 몰릭의 랭킹은 8위까지 상승했다.
하지만 아멜리아 아일랜드에서 열린 대회 도중 내이염에 감염되면서 선수 생활에 큰 위기를 맞았다. 이 감염은 전정신경염으로 발전하여 균형, 시야, 에너지 수준에 영향을 미쳐 테니스에 필요한 능력 유지를 어렵게 만들었다. 이 질병으로 인해 그녀는 프랑스 오픈을 포함한 클레이 코트 시즌 전체를 놓쳤으며, 2006년 5월까지 대회에 불참하는 등 장기간의 휴식을 취해야 했다. 그녀는 2005년 시즌을 세계 랭킹 29위로 마감했다.
2.3. 질병 회복 및 두 번째 그랜드 슬램 타이틀 (2006-2007)
몰릭은 2006년 5월 이탈리안 오픈에서 코트에 복귀했으나, 첫 라운드에서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에게 패배하는 등 힘든 시간을 보냈다. 하지만 2006년 프랑스 오픈에서 복귀 후 첫 승리를 거두며 3라운드까지 진출했고, 마리아 샤라포바에게 패했다. 2006년 윔블던에서는 2라운드에서 다시 스레보트니크에게 패했으며, 2006년 US 오픈에서는 17세의 바니아 킹에게 충격적인 1라운드 패배를 당했다. 하지만 광저우 오픈에서 킹에게 설욕하며 8강에 진출했고, 세계 랭킹 200위권으로 다시 진입했다.
2007년에는 호주 오픈 와일드카드 플레이오프에서 우승하며 호주 오픈 본선에 진출했다. 호프먼 컵에서는 세계 6위 나디아 페트로바와 애슐리 하클로드를 꺾는 등 회복세를 보였다. 호바트 국제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하며 선전했다. 호주 오픈에서는 3라운드까지 진출하여 패티 슈니더에게 패했으나, 그녀의 랭킹은 100위권 안으로 다시 들어왔다.
이후 인디언 웰스 오픈 3라운드에 진출하는 등 꾸준히 투어에 참여했으나, 마이애미 오픈, 아멜리아 아일랜드, 패밀리 서클 컵에서는 3회 연속 1라운드에서 패했다. 2007년 프랑스 오픈 단식에서는 1라운드에서 안나 차크베타제에게 패했으나, 마라 산탄젤로와 팀을 이룬 여자 복식에서 우승하며 두 번째 그랜드 슬램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는 2005년 호주 오픈 이후 그녀가 얻은 첫 투어 타이틀이자, 질병에서 회복한 후의 의미 있는 성과였다. 2007년 윔블던 단식에서는 2라운드에서 세레나 윌리엄스에게 패했으며, 요나스 비외르크만과 짝을 이룬 혼합 복식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으나 옐레나 얀코비치와 제이미 머리 조에게 패해 준우승했다. 그녀는 2007년을 세계 랭킹 60위로 마감하며 꾸준한 회복세를 보여주었다.
2.4. 첫 은퇴와 복귀 (2008-2009)
2008년 호프먼 컵에 출전하여 루치에 샤파르조바를 꺾었으나 사니아 미르자와 세레나 윌리엄스에게 패했다. 2008년 호주 오픈에서는 카이아 카네피를 이기고 2라운드에 진출했으나 니콜 바이디쇼바에게 패했다. 이 시기 몰릭은 팔꿈치 부상으로 인해 단식 랭킹이 계속 하락했으며, 2008년 1월 이후로는 메인 드로에서 승리하지 못했다. 그녀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와일드카드로 출전하여 "2004년 이후 최고의 소식"이라고 언급하며 기쁨을 표했으나, 단식 1라운드에서 마리아 호세 마르티네스 산체스에게 패했고, 케이시 델라쿠아와 짝을 이룬 복식에서도 1라운드에서 패했다.
결국 2008년 9월 5일, 몰릭은 지속적인 다리와 팔꿈치 문제로 인해 27세의 나이로 프로 테니스에서 은퇴를 발표했다. 은퇴 후 6개월 동안 해설가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러나 2009년 7월 30일, 몰릭은 부상에서 완전히 회복되었다고 밝히며 투어 테니스 복귀를 선언했다. 그녀의 첫 복귀 대회는 뉴헤이븐에서 열린 복식 대회였다. 이어서 US 오픈 복식에도 참가했으나 1라운드에서 패했다. 2009년 9월, 몰릭은 다윈에서 열린 2.50 만 USD 규모의 ITF 대회에 출전하여 단식과 복식 모두에서 우승하며 성공적인 복귀를 알렸다. 복식에서는 케이시 델라쿠아와 함께 우승했고, 단식 결승에서는 모니카 웨이네르트를 꺾었다. 이후 벤디고와 밀두라에서 열린 ITF 대회에서도 우승하며 좋은 성적을 이어갔다.
2.5. 선수 생활 말년과 최종 은퇴 (2010-2011)
2009년 ITF 대회에서 성공을 거둔 몰릭은 2010년 시즌을 세계 랭킹 200위권 안에서 시작했다. 브리즈번 국제 대회에서는 1라운드에서 예카테리나 마카로바를 꺾었으나, 2라운드에서 결국 우승을 차지한 킴 클레이스터스에게 패했다. 이어서 호바트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전 복식 파트너인 사니아 미르자를 꺾었으나, 2라운드에서 카를라 수아레스 나바로에게 아쉽게 패했다.
2010년 호주 오픈에 단식과 복식 모두 참가했으나, 단식 1라운드에서 줄리 코인에게 아쉽게 역전패했고, 복식에서도 1라운드에서 패했다. 페드컵 월드 그룹 II 경기에서 스페인을 상대로 카를라 수아레스 나바로에게 대패했다.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에서는 호주 오픈 4강 진출자이자 16번 시드인 정제를 1라운드에서 꺾는 이변을 연출했으나, 다음 라운드에서 안나-레나 그뢰네펠트에게 패했다. 말레이시아 오픈에서는 1라운드에서 알리사 클레이바노바에게 패했다.
인디언 웰스 오픈에서는 와일드카드를 받아 4라운드까지 진출하며 선전했다. 타티아나 말렉, 29번 시드의 아나벨 메디나 가리게스, 엘레나 발타차를 꺾었으나, 4라운드에서 다시 정제에게 패했다. 마이애미 오픈에서는 복귀전을 치르는 애슐리 하클로드를 1라운드에서 꺾었다. 2010년 프랑스 오픈 단식에서는 1라운드에서 옐레나 얀코비치에게 패했다.
그녀의 마지막 공식 경기는 2011년 호주 오픈이었다. 그녀는 2라운드에서 나디아 페트로바에게 패하며 2011년 시즌을 끝으로 프로 선수 생활을 완전히 마감했다.
3. 개인 생활
알리시아 몰릭은 2011년 2월 팀 설리번과 결혼했다. 이듬해인 2012년에는 첫 아이인 아들을 출산했다.
4. 은퇴 후 경력
프로 테니스 선수 은퇴 후, 알리시아 몰릭은 테니스계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지도자로서의 역량을 보여주었다. 특히 2013년부터 오스트레일리아 페드컵 대표팀의 감독을 맡아 후배 선수들을 지도하고 팀을 이끌고 있다. 이는 그녀가 선수 시절 겪었던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오스트레일리아 테니스의 발전에 기여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5. 주요 성과 및 기록
알리시아 몰릭은 프로 경력 동안 단식에서 5개, 복식에서 7개의 WTA 투어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녀의 총 상금은 319.00 만 USD에 달하며, 단식 통산 346승 248패, 복식 통산 214승 174패를 기록했다.
5.1. 그랜드 슬램 결승 기록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 알리시아 몰릭이 거둔 복식 및 혼합 복식 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5.1.1. 복식: 2회 (2승)
결과 | 연도 | 대회 | 서피스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
우승 | 2005 | 호주 오픈 | 하드 | Svetlana Kuznetsova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러시아어 | 린제이 대븐포트 코리나 모라리우 | 6-3, 6-4 |
우승 | 2007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Mara Santangelo마라 산탄젤로이탈리아어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스기야마 아이 | 7-6(7-5), 6-4 |
5.1.2. 혼합 복식: 3회 (3회 준우승)
결과 | 연도 | 대회 | 서피스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
준우승 | 2004 | 윔블던 | 잔디 | 토드 우드브리지 | 카라 블랙 웨인 블랙 | 6-3, 6-7(8-10), 4-6 |
준우승 | 2004 | US 오픈 | 하드 | 토드 우드브리지 | 베라 즈보나레바 밥 브라이언 | 3-6, 4-6 |
준우승 | 2007 | 윔블던 | 잔디 | Jonas Björkman요나스 비외르크만스웨덴어 | 옐레나 얀코비치 제이미 머리 | 4-6, 6-3, 1-6 |
5.2. WTA 투어 결승 기록
알리시아 몰릭의 WTA 투어 대회 단식 및 복식 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5.2.1. 단식: 9회 (5승 4패)
다음은 알리시아 몰릭의 단식 투어 결승 기록이다.
결과 | No. | 날짜 | 대회 | 서피스 | 상대 | 스코어 |
---|---|---|---|---|---|---|
우승 | 1. | 2003년 1월 12일 | 호바트 국제, 오스트레일리아 | 하드 | 에이미 프레이저 | 6-2, 4-6, 6-4 |
준우승 | 1. | 2003년 4월 6일 | 사라소타 클레이 코트 클래식, 미국 | 클레이 | 아나스타샤 미스키나 | 4-6, 1-6 |
준우승 | 2. | 2003년 4월 20일 | 부다페스트 그랑프리, 헝가리 | 클레이 | 마기 세르나 | 6-3, 5-7, 4-6 |
준우승 | 3. | 2004년 3월 22일 | WTA 오스트리아 오픈, 오스트리아 | 클레이 | 안나 스마슈노바 | 2-6, 6-3, 2-6 |
우승 | 2. | 2004년 8월 8일 | 노르딕 라이트 오픈, 스웨덴 | 하드 | 타티아나 페레비니스 | 6-1, 6-1 |
우승 | 3. | 2004년 10월 24일 | 취리히 오픈, 스위스 | 하드 (실내) | 마리아 샤라포바 | 4-6, 6-2, 6-3 |
우승 | 4. | 2004년 10월 31일 | BGL 룩셈부르크 오픈, 룩셈부르크 | 하드 (실내) | 디나라 사피나 | 6-3, 6-4 |
우승 | 5. | 2005년 1월 15일 | 시드니 국제, 오스트레일리아 | 하드 | 서맨사 스토서 | 6-7(5-7), 6-4, 7-5 |
준우승 | 4. | 2005년 2월 21일 | 카타르 토탈 오픈, 카타르 | 하드 | 마리아 샤라포바 | 6-4, 1-6, 4-6 |
5.2.2. 복식: 16회 (7승 9패)
다음은 알리시아 몰릭의 복식 투어 결승 기록이다.
결과 | No. | 날짜 | 대회 | 서피스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
준우승 | 1. | 2000년 1월 16일 | 호바트 국제, 오스트레일리아 | 하드 | 킴 클레이스터스 | 리타 그란데 | 2-6, 6-2, 6-3 |
준우승 | 2. | 2003년 6월 15일 | 버밍엄 클래식, 영국 | 잔디 |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 엘스 칼렌스 | 5-7, 4-6 |
준우승 | 3. | 2003년 8월 23일 | 파일럿 펜 테니스, 미국 | 하드 | 마기 세르나 | 비르히니아 루아노 파스쿠알 | 6-7, 3-6 |
준우승 | 4. | 2004년 4월 5일 | 보슈롬 선수권, 미국 | 클레이 | 미리암 카사노바 | 나디아 페트로바 | 6-3, 2-6, 5-7 |
우승 | 1. | 2004년 6월 19일 | 이스트본 국제, 영국 | 잔디 | 마기 세르나 |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 6-4, 6-4 |
우승 | 2. | 2004년 8월 8일 | 노르딕 라이트 오픈, 스웨덴 | 하드 | 바르바라 셰트 | 에마뉘엘레 가그리아르디 | 6-3, 6-3 |
우승 | 3. | 2004년 11월 7일 | 어드밴타 챔피언십스 필라델피아, 미국 | 하드 (실내) | 리사 레이먼드 | 리젤 후버 | 7-5, 6-4 |
우승 | 4. | 2005년 1월 29일 | 호주 오픈 | 하드 |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 린제이 대븐포트 | 6-3, 6-4 |
우승 | 5. | 2005년 2월 21일 | 카타르 토탈 오픈, 카타르 | 하드 | 프란체스카 스키아보네 | 카라 블랙 | 6-3, 6-4 |
준우승 | 5. | 2005년 3월 5일 |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 아랍에미리트 | 하드 |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 비르히니아 루아노 파스쿠알 | 7-6, 2-6, 1-6 |
우승 | 6. | 2005년 3월 21일 | 마이애미 오픈, 미국 | 하드 |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 리사 레이먼드 | 7-5, 6-7(5-7), 6-2 |
준우승 | 6. | 2006년 5월 27일 | 이스탄불 컵, 튀르키예 | 클레이 | 사니아 미르자 | 아나스타시아 야키모바 | 2-6, 4-6 |
준우승 | 7. | 2007년 2월 24일 |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 아랍에미리트 | 하드 |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 카라 블랙 | 6-7, 4-6 |
준우승 | 8. | 2007년 5월 26일 | 스트라스부르 국제, 프랑스 | 클레이 | 쑨톈톈 | 정제 | 3-6, 4-6 |
우승 | 7. | 2007년 6월 12일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마라 산탄젤로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 7-6(7-5), 6-4 |
준우승 | 9. | 2007년 8월 12일 | LA 여자 테니스 선수권, 미국 | 하드 | 마라 산탄젤로 | 크베타 페슈케 | 0-6, 1-6 |
5.3. 올림픽 대회 성적
결과 | 연도 | 장소 | 서피스 | 상대 | 스코어 |
---|---|---|---|---|---|
동메달 | 2004 | 아테네 올림픽 | 하드 | 아나스타샤 미스키나 | 6-3, 6-4 |
6. 경력 통계
6.1. 단식 성적 연대표
대회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통산 승패 |
---|---|---|---|---|---|---|---|---|---|---|---|---|---|---|---|
그랜드 슬램 대회 | |||||||||||||||
호주 오픈 | Q2 | 1R | 3R | 1R | 1R | 1R | 4R | QF | A | 3R | 2R | A | 1R | 2R | 13-11 |
프랑스 오픈 | A | 3R | 1R | 1R | 1R | 1R | 1R | A | 3R | 1R | Q1 | A | 1R | A | 4-9 |
윔블던 | A | 1R | 2R | 2R | 1R | 3R | 3R | A | 2R | 2R | Q1 | A | 2R | A | 9-9 |
US 오픈 | A | 1R | 2R | 3R | 2R | 3R | 2R | 1R | 1R | 1R | A | A | 1R | A | 7-10 |
그랜드 슬램 승패 | 0-0 | 2-4 | 4-4 | 3-4 | 1-4 | 4-4 | 6-4 | 4-2 | 3-3 | 3-4 | 1-1 | 0-0 | 1-4 | 1-1 | 33-39 |
올림픽 | |||||||||||||||
하계 올림픽 테니스 | 개최되지 않음 | 1R | 개최되지 않음 | SF-B | 개최되지 않음 | 1R | 개최되지 않음 | 5-3 | |||||||
시즌 종료 랭킹 | |||||||||||||||
연말 랭킹 | 172 | 94 | 115 | 47 | 100 | 35 | 13 | 29 | 163 | 58 | 311 | 309 | 110 | 317 |
6.2. 복식 성적 연대표
대회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통산 승패 |
---|---|---|---|---|---|---|---|---|---|---|---|---|---|---|---|
그랜드 슬램 대회 | |||||||||||||||
호주 오픈 | 1R | 1R | 2R | 2R | 3R | A | A | W | A | 1R | 3R | A | 1R | 2R | 13-9 |
프랑스 오픈 | A | 2R | 1R | 1R | 3R | QF | 1R | A | 1R | W | 1R | A | 1R | A | 12-9 |
윔블던 | A | 3R | 3R | 1R | 1R | 2R | 2R | 1R | A | SF | 1R | A | 1R | A | 10-10 |
US 오픈 | A | 2R | 1R | 3R | 1R | 1R | 1R | QF | A | 3R | A | 1R | 1R | A | 8-10 |
그랜드 슬램 승패 | 0-1 | 4-4 | 3-4 | 3-4 | 4-4 | 4-3 | 1-3 | 9-2 | 0-1 | 13-3 | 2-2 | 0-1 | 0-4 | 1-1 | 43-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