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경력
알리 알합시는 오만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어린 시절부터 축구에 대한 열정을 키웠다.
1.1. 출생 및 성장 배경
알리 알합시는 1981년 12월 30일 오만의 무스카트에서 태어났다. 그는 고등학교를 마친 후 무스카트의 시브 국제공항에서 소방관으로 근무했다. 알합시는 소방관으로서의 경험이 자신에게 인내심, 근면함, 그리고 애국심을 가르쳐주었다고 언급하며, 만약 프로 축구 선수가 되지 않았다면 계속해서 소방관으로 일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독실한 무슬림이며, 신앙이 자신의 삶에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 밝혔다. 알합시는 결혼하여 세 딸을 두었다.
1.2. 오만에서의 초기 축구 경력
알합시는 17세에 오만에서 축구를 시작하여 1998년 알미다이비 클럽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당시 3부 리그 팀에서 소방관 일을 병행하며 선수로 뛰었다. 2002년에는 자국의 강호 알나스르로 이적하여 활약했다. 이곳에서의 뛰어난 활약으로 오만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고, 유럽 클럽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1.3. 유럽 진출
2003년, 알합시는 노르웨이의 명문 FK 륀으로 이적하며 오만 선수로는 사상 처음으로 유럽 무대에 진출하는 역사를 썼다. 그는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세 시즌 동안 62경기에 출전했다. 특히 2년차부터는 주전 골키퍼 자리를 꿰찼으며, 2004년 시즌 후에는 노르웨이 프리미어리그 최우수 골키퍼로 선정되기도 했다. 당시 24경기에서 32골을 내주었으며, 강호 로센보르그 BK전에서의 실점을 제외하면 경기당 실점률이 0점대를 기록하는 우수한 선방 능력을 보여주었다. FK 륀에서의 마지막 시즌에는 팀을 리그 3위로 이끌며 빅 리그 팀들의 눈도장을 받았다.
2. 클럽 경력
알리 알합시는 유럽 및 중동의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2.1. 볼턴 원더러스
FK 륀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알합시는 2006년 1월 7일 프리미어리그의 볼턴 원더러스로 이적했다. 그의 이적은 2007년 6월에 발표된 스티븐스 조사 보고서에서 에이전트 크레이그 앨러다이스와 그의 아버지이자 당시 볼턴 감독이었던 샘 앨러다이스, 그리고 클럽 간의 이해 상충 문제로 인해 우려를 표명하며 주목받기도 했다.
볼턴 이적 후 첫 해에는 1군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2007년 9월, 풋볼 리그 컵 풀럼과의 경기에서 연장전 2대1로 앞서던 후반 막판 교체 투입되며 마침내 잉글랜드 무대에 데뷔했다. 이후 2007-08 시즌 동안 총 15경기에 출전했으며, 특히 UEFA컵 바이에른 뮌헨과의 경기에서 여러 차례 좋은 선방을 보여주며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그의 첫 프리미어리그 선발 출전은 위건 애슬레틱과의 경기였다.
2008년 12월, 알합시는 2013년까지 계약을 연장하며 구단의 신뢰를 받았다. 그러나 주전 골키퍼 유시 얘스켈래이넨이 부상에서 복귀하면서 다시 주전 자리를 내주게 되었고, 결국 2010년 7월 같은 프리미어리그 소속의 위건 애슬레틱 FC로 임대 이적하게 되었다.
2.2. 위건 애슬레틱
알합시는 2010년 7월 위건 애슬레틱으로 한 시즌 임대 이적했다. 2010년 8월 24일 풋볼 리그 컵 하틀풀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 위건 데뷔전을 치렀고, 나흘 뒤 토트넘 홋스퍼와의 경기에서 리그 데뷔전을 가졌다. 그는 2010-11 시즌 동안 리그 34경기에 출전하며 팀의 프리미어리그 잔류에 크게 기여했고, 시즌 종료 후 위건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2011년 7월 4일, 알합시는 볼턴으로부터 약 400.00 만 GBP의 이적료로 위건에 완전 이적하며 4년 계약을 체결했다. 그는 위건에서 뛰어난 페널티킥 선방 능력을 선보였는데, 위건 이적 후 맞이한 페널티킥의 약 50%를 막아냈다. 로빈 판 페르시, 카를로스 테베스, 하비에르 에르난데스, 미켈 아르테타 등 유명 선수들의 페널티킥을 막아내며 리버풀과 아스널 등 빅 클럽들과의 이적설이 돌기도 했다.
2012-13 시즌 후반기에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서 임대 온 젊은 골키퍼 조엘 로블레스의 등장으로 주전 자리에서 밀려 벤치에 앉는 경우가 많아졌다. 알합시는 FA컵 준결승전 밀월과의 경기에 선발 출전했으나, 결승전에서는 벤치에 머물렀다. 위건은 2013년 FA컵에서 우승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챔피언십으로 강등되었다.
2.3. 브라이턴 & 호브 앨비언 (임대)
2014년 10월 31일, 알합시는 같은 챔피언십 소속의 브라이턴 & 호브 앨비언으로 한 달 단기 임대 이적했다. 그는 브라이턴에서 단 한 경기에 출전한 후 원 소속팀 위건으로 복귀했다.
2.4. 레딩
위건 애슬레틱에서 방출된 후, 알합시는 2015년 7월 레딩에서 입단 테스트를 받았고, 2015년 7월 14일 레딩과 2년 계약을 체결했다. 2017년 1월 5일에는 레딩과의 계약을 2018-19 시즌 말까지 연장했다.
2017년 3월 17일, 알합시는 플레이오프 경쟁팀인 셰필드 웬즈데이와의 경기에서 2대0 승리를 이끄는 여러 차례의 결정적인 선방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활약으로 알합시는 EFL 챔피언십 시즌 베스트 팀에 선정되었고, 2015-16 시즌과 2016-17 시즌 연속으로 레딩 FC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다.

2.5. 알힐랄
2017년 7월 17일, 알합시는 사우디아라비아 클럽 알힐랄로 이적하며 3년 계약을 맺었다. 그는 알힐랄에서 2017-18 시즌 사우디 프로리그 우승과 2018년 사우디 슈퍼컵 우승에 기여했다.
2.6. 웨스트 브로미치 앨비언
2019년 8월 29일, 알합시는 EFL 챔피언십 소속 웨스트 브로미치 앨비언으로 자유 이적하며 시즌 말까지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그는 웨스트 브로미치에서 단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고, 2020년 6월 클럽에서 방출되었다. 당시 감독이었던 슬라벤 빌리치는 알합시의 계약을 연장하고 싶어 했으나, 알합시가 본국 오만으로 돌아가 2주간의 자가 격리 기간을 거쳐야 했기 때문에 계약 연장이 불발되었다.
2.7. 은퇴
2020년 8월 21일, 알리 알합시는 공식적으로 선수 생활 은퇴를 발표했다.
3. 국가대표 경력
알합시는 17세에 오만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으며, 오만 U-19 대표팀에도 이름을 올렸다. 2001년 존 버리지에게 발굴되었으나, 당시 취업 허가 문제로 인해 유럽으로의 이적이 어려웠다.
그는 2003년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을 통해 성인 국가대표팀에 데뷔했다. 2004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서는 조별 리그 3경기에 모두 출전하여 3실점만을 기록하며 좋은 선방을 보여주었다. 또한 2006년 FIFA 월드컵 2차 예선에서 4경기에 출전하여 일본, 인도, 싱가포르를 상대로 눈부신 선방을 펼쳤다. 특히 일본과의 원정 경기에서는 나카무라 슌스케의 페널티킥을 막아내며 일본 대표팀을 곤경에 빠뜨리기도 했다.
알합시는 2007년 AFC 아시안컵에서도 오만의 주전 골키퍼로 조별 리그 3경기에 모두 출전했다. 그는 4회 연속 아라비안 걸프컵에 출전했으며, 각 대회에서 최우수 골키퍼상을 수상했다. 특히 오만이 우승한 2009년 걸프컵에서는 무실점을 기록하며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 그는 2015년 AFC 아시안컵 호주와의 경기에서 0대4로 패했지만, 이 경기를 통해 오만 대표팀에서 100번째 A매치 출전을 기록했다. 알합시는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공격수 이마드 알호스니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선수 중 한 명으로 손꼽혔다.
2020년 1월 5일, 알합시는 국가대표팀 은퇴를 발표했다.
4. 개인사
알리 알합시는 독실한 무슬림이며, 신앙이 그의 삶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그는 결혼하여 세 딸을 두었다.
선수 생활 이전에는 무스카트의 시브 국제공항에서 소방관으로 일했다. 알합시는 이 경험이 자신에게 인내심, 근면함, 그리고 애국심을 가르쳐주었다고 말했다. 그는 만약 프로 축구 선수가 되지 않았다면 계속해서 소방관으로 일했을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알합시는 오만에서 자동차 사고 사망률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비영리 도로 안전 단체인 '세이프티 퍼스트(Safety First)'의 공동 설립자이다.
5. 수상 경력
알리 알합시의 주요 수상 경력은 다음과 같다.
클럽
- 노르웨이 컵 준우승: 2004 (린 오슬로)
- FA컵: 2012-13 (위건 애슬레틱)
- 사우디 프로리그: 2017-18 (알힐랄)
- 사우디 슈퍼컵: 2018 (알힐랄)
국가대표팀
- 아라비안 걸프컵 우승: 2009 (오만)
- 아라비안 걸프컵 준우승: 2004, 2007 (오만)
개인
- 걸프컵 최우수 골키퍼: 2003, 2004, 2007, 2009, 2011
- 아랍 올해의 골키퍼: 2004
- 노르웨이 올해의 골키퍼: 2004
- 위건 애슬레틱 올해의 선수: 2010-11
- 브리티시 무슬림 어워즈 스포츠 부문 후보: 2015
- 레딩 FC 올해의 선수: 2015-16, 2016-17
6. 통계
알리 알합시의 클럽 및 국가대표팀 통계는 다음과 같다.
6.1. 클럽
|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기타 | 합계 | |||||||
|---|---|---|---|---|---|---|---|---|---|---|---|---|---|---|
| 디비전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 린 | 2003 | 엘리테세리엔 | 13 | 0 | 3 | 0 | - | 2 | 0 | - | 18 | 0 | ||
| 2004 | 24 | 0 | 4 | 0 | - | - | - | 28 | 0 | |||||
| 2005 | 25 | 0 | 2 | 0 | - | - | - | 27 | 0 | |||||
| 합계 | 62 | 0 | 9 | 0 | - | 2 | 0 | - | 73 | 0 | ||||
| 볼턴 원더러스 | 2005-06 | 프리미어리그 | 0 | 0 | 0 | 0 | 0 | 0 | 0 | 0 | - | 0 | 0 | |
| 2006-07 | 0 | 0 | 0 | 0 | 0 | 0 | - | - | 0 | 0 | ||||
| 2007-08 | 10 | 0 | 1 | 0 | 1 | 0 | 4 | 0 | - | 16 | 0 | |||
| 2008-09 | 0 | 0 | 0 | 0 | 0 | 0 | - | - | 0 | 0 | ||||
| 2009-10 | 0 | 0 | 1 | 0 | 1 | 0 | - | - | 2 | 0 | ||||
| 2010-11 | 0 | 0 | 0 | 0 | 0 | 0 | - | - | 0 | 0 | ||||
| 합계 | 10 | 0 | 2 | 0 | 2 | 0 | 4 | 0 | - | 18 | 0 | |||
| 위건 애슬레틱 (임대) | 2010-11 | 프리미어리그 | 34 | 0 | 2 | 0 | 4 | 0 | - | - | 40 | 0 | ||
| 위건 애슬레틱 | 2011-12 | 프리미어리그 | 38 | 0 | 1 | 0 | 1 | 0 | - | - | 40 | 0 | ||
| 2012-13 | 29 | 0 | 2 | 0 | 3 | 0 | - | - | 34 | 0 | ||||
| 2013-14 | 챔피언십 | 24 | 0 | 4 | 0 | 0 | 0 | - | 0 | 0 | 28 | 0 | ||
| 2014-15 | 11 | 0 | 1 | 0 | 1 | 0 | - | - | 13 | 0 | ||||
| 합계 | 136 | 0 | 10 | 0 | 9 | 0 | - | 0 | 0 | 155 | 0 | |||
| 브라이턴 & 호브 앨비언 (임대) | 2014-15 | 챔피언십 | 1 | 0 | 0 | 0 | 0 | 0 | - | - | 1 | 0 | ||
| 레딩 | 2015-16 | 챔피언십 | 32 | 0 | 5 | 0 | 3 | 0 | - | - | 40 | 0 | ||
| 2016-17 | 46 | 0 | 1 | 0 | 1 | 0 | - | 3 | 0 | 51 | 0 | |||
| 합계 | 78 | 0 | 6 | 0 | 4 | 0 | - | 3 | 0 | 91 | 0 | |||
| 알힐랄 | 2017-18 | 사우디 프로리그 | 13 | 0 | 1 | 0 | - | 4 | 0 | 0 | 0 | 18 | 0 | |
| 2018-19 | 21 | 0 | 2 | 0 | - | - | 1 | 0 | 24 | 0 | ||||
| 합계 | 34 | 0 | 3 | 0 | - | 4 | 0 | 1 | 0 | 42 | 0 | |||
| 웨스트 브로미치 앨비언 | 2019-20 | 프리미어리그 | 0 | 0 | 0 | 0 | 0 | 0 | - | - | 0 | 0 | ||
| 커리어 합계 | 321 | 0 | 30 | 0 | 15 | 0 | 10 | 0 | 4 | 0 | 380 | 0 | ||
6.2. 국가대표팀
|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전 | 득점 |
|---|---|---|---|
| 오만 | 2001 | 2 | 0 |
| 2002 | 1 | 0 | |
| 2003 | 11 | 0 | |
| 2004 | 19 | 0 | |
| 2005 | 0 | 0 | |
| 2006 | 5 | 0 | |
| 2007 | 14 | 0 | |
| 2008 | 11 | 0 | |
| 2009 | 13 | 0 | |
| 2010 | 6 | 0 | |
| 2011 | 8 | 0 | |
| 2012 | 9 | 0 | |
| 2013 | 3 | 0 | |
| 2014 | 10 | 0 | |
| 2015 | 13 | 0 | |
| 2016 | 2 | 0 | |
| 2017 | 4 | 0 | |
| 2018 | 3 | 0 | |
| 2019 | 2 | 0 | |
| 합계 | 136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