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알렌 레리 핸슨 미셸(Alen Rery Hanson Michel, Alen Rery Hanson Michel알렌 레리 핸슨 미셸영어)은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프로 야구 선수로, 현재 멕시칸 리그의 케레타로 콘스피라도레스 소속 내야수 및 외야수이다. 1992년 10월 22일에 태어났으며, 주로 2루수와 외야수로 활약했다. 그는 2016년 5월 17일 피츠버그 파이리츠 소속으로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으며, 이후 시카고 화이트삭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토론토 블루제이스를 거쳤다. 또한 일본 독립 리그의 이바라키 아스트로 플래닛츠와 일본 프로 야구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서도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 프로 경력
알렌 핸슨은 2009년 피츠버그 파이리츠와 계약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고, 마이너 리그에서 유망주로 성장한 뒤 2016년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이후 여러 메이저 리그 팀을 거쳐 일본 독립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 그리고 멕시칸 리그까지 다양한 무대에서 활약하며 유틸리티 플레이어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2.1. 피츠버그 파이리츠
알렌 핸슨은 2009년 피츠버그 파이리츠와 계약하며 프로 생활을 시작했으며, 마이너 리그 시스템을 거쳐 2016년 마침내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2.1.1. 마이너 리그 시절
알렌 핸슨은 2009년 7월 14일 피츠버그 파이리츠와 9.00 만 USD의 계약금에 국제 자유계약으로 입단하며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2010년에는 루키 레벨의 마이너 리그 팀인 걸프 코스트 리그 파이리츠 소속으로 첫 시즌을 보냈다. 그는 68경기에서 타율 .324, 28 타점, 7 3루타, 20 도루를 기록했다. 2011년에도 걸프 코스트 리그 파이리츠에서 52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63, 35 타점, 7 3루타, 24 도루를 기록하며 팀 내에서 3루타 부문 1위를 차지했다.
2012년 7월, 핸슨은 베이스볼 아메리카가 선정한 '시즌 중반 50대 유망주' 명단에서 전체 40위에 오르며 주목을 받았다. 그는 같은 해 파이리츠의 싱글 A 계열 팀인 사우스 애틀랜틱 리그의 웨스트 버지니아 파워에서 124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309, 16 홈런, 62 타점, 13 3루타, 39 도루, 55 볼넷, 99 득점을 기록하는 강한 인상을 남겼고, 올스타에 선정되기도 했다.
2013년 시즌을 앞두고는 MLB닷컴에서 선정한 야구 유망주 중 54위에, 베이스볼 아메리카에서는 61위에 이름을 올렸다. 그는 2013년을 하이 싱글 A 팀인 브레이든턴 마로더스에서 시작하여 92경기에서 타율 .281, 7 홈런, 48 타점, 24 도루를 기록했다. 7월 28일에는 더블 A 팀인 알투나 커브로 승격되었으며, 35경기에서 타율 .255, 10 타점, 6 도루를 기록했다. 2013년 11월 20일에는 룰 5 드래프트를 통해 다른 팀으로 이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파이리츠의 40인 로스터에 추가되었다.
2014년 시즌 전체를 알투나 커브에서 보낸 핸슨은 118경기에서 타율 .280, 11 홈런, 64 타점, 12 3루타, 25 도루를 기록했다. 2014년 8월, 파이리츠는 주로 유격수로 활약하던 핸슨을 2루수로 포지션 변경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당시 핸슨은 2013년과 2014년 227경기에서 61개의 실책을 기록한 상태였다. 파이리츠의 마이너 리그 운영 이사인 래리 브로드웨이는 이러한 포지션 변경이 핸슨의 다재다능함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유격수로도 활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2015년 시즌에는 파이리츠의 트리플 A 계열 팀인 인디애나폴리스 인디언스에서 보냈다. 그는 117경기에서 타율 .263, 6 홈런, 43 타점, 12 3루타를 기록했으며, 2012년 개인 최고 기록과 타이인 35개의 도루를 성공시켰다. 2016년 시즌 시작 전 MLB닷컴은 핸슨을 파이리츠 구단 내 10위 유망주이자 2루수 유망주 중 6위로 평가했다. 그는 2016년 시즌을 인디애나폴리스 인디언스에서 시작했다.
2.1.2. 메이저 리그 시절
2016년 5월 16일, 스타얼링 마르테의 출산 휴가로 인해 알렌 핸슨은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메이저 리그 팀으로 승격되었다. 피츠버그 감독 클린트 허들은 마르테가 복귀하면 핸슨이 마이너 리그로 돌아갈 것이며, 시즌 후반에 다시 콜업될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트리플 A에서 자신을 증명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핸슨은 어머니에게 메이저 리그 승격 소식을 전했을 때, 어머니가 기뻐서 실수로 전화를 끊고 약 10분 동안 조용히 축하하는 바람에 그가 조용히 기다려야 했던 일화를 이야기하기도 했다.
2016년 5월 17일, 핸슨은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여 대타로 출전했으나 삼진을 당했다. 다음 날인 5월 18일, 그는 메이저 리그 첫 안타를 기록했다. 5회에 대타로 출전하여 내야 안타로 출루했으며, 경기 후 이 공을 도미니카 공화국에 있는 어머니께 선물로 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7년 시즌 개막 시점에 핸슨은 마이너 리그 옵션이 소진되어 파이리츠의 메이저 리그 로스터에 합류했다. 그러나 6월 2일 양도 지명되었다.
2.2. 시카고 화이트삭스

2017년 6월 9일, 시카고 화이트삭스는 웨이버 공시를 통해 알렌 핸슨을 영입했다. 그는 다음 날 팀의 25인 로스터에 추가되었다. 2017년 12월 1일, 핸슨은 논텐더로 풀려나 자유 계약 신분이 되었다.
2.3.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17년 12월 22일, 알렌 핸슨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고 스프링 트레이닝에 초청 선수로 참가했다. 그는 2018년 시즌을 트리플 A 팀인 새크라멘토 리버 캐츠에서 시작했다. 주전 2루수 조 패닉이 손 부상을 당하자, 핸슨은 리버 캐츠에서 62타수 타율 .403, 5 2루타, 3 홈런을 기록한 뒤 4월 28일 자이언츠로 승격되었다.

2019년 3월 28일, 핸슨은 개막전 로스터에 들지 못하고 양도 지명되었다.
2.4. 토론토 블루제이스
2019년 4월 2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는 알렌 핸슨, 데렉 로, 후안 데 파울라를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케빈 필라와 트레이드했다. 핸슨은 4월 4일 블루제이스로 콜업되었다. 그러나 5월 3일 다시 양도 지명되었고, 5월 7일에는 트리플 A 팀인 버팔로 바이슨스로 완전 이적되었다. 블루제이스는 2019년 8월 3일 핸슨을 방출했다. 그는 토론토 소속으로 18경기에서 타율 .163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2.5. 시애틀 매리너스
2020년 1월 23일, 알렌 핸슨은 시애틀 매리너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고 스프링 트레이닝에 초청 선수로 참가하기로 합의했다. 그는 2020년 6월 25일 매리너스 구단으로부터 방출되었다. 2021년 6월 17일, 핸슨은 매리너스와 새로운 마이너 리그 계약을 다시 체결하고 트리플 A 팀인 타코마 레이니어스에서 뛰었다. 그러나 메이저 리그로 승격될 기회는 없었으며, 그해 11월 7일 자유 계약 신분이 되었다.
2.6. 일본 독립 리그 (이바라키 아스트로 플래닛츠)
2023년 3월, 알렌 핸슨은 일본의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소속 이바라키 아스트로 플래닛츠와 계약하며 일본 독립 리그에 진출했다. 이바라키에서의 등록명은 '핸슨'이었다. 그는 NPB 구단에 자신을 어필할 기회를 얻기 위해 이바라키에 입단했으며, 구단 단장은 유틸리티 플레이어로서 MLB 경험이 있는 핸슨이 NPB 구단에 용병 선수로 필요한지를 시험하기 위해 2개월에 걸친 협상 끝에 개막 직전 계약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5월 6일까지 그는 3번 타자 겸 유격수로 8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33, 1 홈런, 6 타점, 4 도루를 기록했다.
2.7. 일본 프로 야구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2023년 5월 8일, 알렌 핸슨은 일본 프로 야구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 입단한다고 발표되었다. 등번호는 94번을 배정받았다. 닛폰햄은 당시 기요미야 고타로, 이시이 가즈나리, 가토 고스케, 이소가미 료타 등 여러 주전 야수들이 전력에서 이탈한 상황이었기에, 핸슨과 같은 유틸리티 플레이어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었다.
5월 10일, 핸슨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와의 이스턴 리그 경기에서 6번 타자 겸 유격수로 선발 출전하여 3번째 타석에서 첫 안타를 기록했다. 이후 5월 13일에 1군으로 승격되었고, 같은 날 지바 롯데 마린즈와의 경기(에스콘 필드 홋카이도)에서 6회말 아리스멘디 알칸타라의 대타로 출전하여 히로하타 아츠야에게 삼진을 당하며 일본 프로 야구 데뷔 타석을 마쳤다. 이 경기는 특별 유니폼을 착용하는 경기였기에, 그는 존 간트의 유니폼을 빌려 입고 뛰었다.
5월 19일 오릭스 버펄로스와의 경기(교세라 돔 오사카)에서는 8회초 미즈노 탓스케의 대타로 출전하여 아베 쇼타로부터 우전 적시타를 때려내며 일본 프로 야구 첫 안타와 첫 타점을 기록했다. 5월 24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의 경기(에스콘 필드 홋카이도)에서는 2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하여 와다 쓰요시로부터 일본 프로 야구 첫 홈런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후 20타석 연속 무안타를 기록하는 등 부진하며 결국 타율 .144, 4 홈런, 9 타점의 성적으로 39경기를 마쳤다. 2023년 10월 30일, 닛폰햄은 핸슨과의 계약 해지를 발표했다.
2.8. 멕시칸 리그 (케레타로 콘스피라도레스)
2024년 2월 22일, 알렌 핸슨은 멕시칸 리그의 케레타로 콘스피라도레스와 계약했다고 발표되었다. 그는 케레타로 소속으로 80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335, 출루율 .375, 장타율 .552, 16 홈런, 49 타점, 8 도루를 기록하며 활약하고 있다.
3. 국제 경력
알렌 핸슨은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이지만, 그의 어머니가 프랑스 국적을 가지고 있어 WBC에서 프랑스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출전할 자격을 갖는다. 2020년에는 2021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예선에 프랑스 대표팀 선수로 선정되었지만,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대회가 취소되거나 연기되어 실제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했다.
그는 2020-2021 시즌과 2021-2022 시즌에 도미니카 프로 야구 리그의 토로스 델 에스테 소속으로 윈터 리그에서 활약했다. 2022년에는 복부 건강 문제로 잠시 활동을 중단했으나 여름에 회복하여 다시 윈터 리그에 참가했다. 2024년에는 WBSC 프리미어12에서 도미니카 공화국 국가대표로 출전하기도 했다.
4. 상세 정보
알렌 핸슨의 프로 경력 동안 기록한 주요 타격 및 수비 통계는 다음과 같다.
4.1. 연도별 타격 성적
연도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자 | 희생타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
2016 | PIT | 27 | 33 | 31 | 5 | 7 | 1 | 0 | 0 | 8 | 1 | 2 | 1 | 0 | 0 | 2 | 1 | 0 | 5 | 0 | .226 | .273 | .258 | .531 |
2017 | 37 | 59 | 57 | 8 | 11 | 0 | 2 | 0 | 15 | 1 | 2 | 1 | 0 | 0 | 2 | 0 | 0 | 9 | 0 | .193 | .220 | .263 | .483 | |
CWS | 69 | 175 | 160 | 28 | 37 | 9 | 1 | 4 | 60 | 10 | 9 | 2 | 1 | 3 | 10 | 0 | 1 | 43 | 5 | .231 | .276 | .375 | .651 | |
'17 총계 | 106 | 234 | 217 | 36 | 48 | 9 | 3 | 4 | 75 | 11 | 11 | 3 | 1 | 3 | 12 | 0 | 1 | 52 | 5 | .221 | .262 | .346 | .607 | |
2018 | SF | 110 | 310 | 294 | 36 | 74 | 17 | 5 | 8 | 125 | 39 | 7 | 3 | 3 | 3 | 9 | 0 | 1 | 71 | 4 | .252 | .274 | .425 | .699 |
2019 | TOR | 18 | 48 | 43 | 5 | 7 | 0 | 0 | 0 | 7 | 4 | 1 | 0 | 0 | 1 | 3 | 1 | 1 | 17 | 0 | .163 | .229 | .163 | .392 |
2023 | 닛폰햄 | 39 | 96 | 90 | 9 | 13 | 3 | 0 | 4 | 28 | 9 | 2 | 1 | 0 | 1 | 5 | 0 | 0 | 12 | 3 | .144 | .188 | .311 | .499 |
MLB 4년 통산 | 261 | 625 | 585 | 82 | 136 | 27 | 8 | 12 | 215 | 55 | 21 | 7 | 4 | 7 | 26 | 2 | 3 | 145 | 9 | .232 | .266 | .368 | .633 | |
NPB 1년 통산 | 39 | 96 | 90 | 9 | 13 | 3 | 0 | 4 | 28 | 9 | 2 | 1 | 0 | 1 | 5 | 0 | 0 | 12 | 3 | .144 | .188 | .311 | .499 |
-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4.2. 연도별 수비 성적
알렌 핸슨의 연도별 내야 및 외야 수비 성적은 다음과 같다.
; 내야 수비
연도 | 구단 | 1루 (1B) | 2루 (2B) | 3루 (3B) | 유격 (SS) | ||||||||||||||||||||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2016 | PIT | - | 8 | 13 | 11 | 2 | 6 | .923 | - | - | |||||||||||||||
2017 | - | 15 | 20 | 30 | 1 | 7 | .980 | 1 | 0 | 0 | 0 | 0 | ---- | 2 | 3 | 2 | 0 | 2 | 1.000 | ||||||
CWS | - | 13 | 13 | 37 | 0 | 7 | 1.000 | 1 | 0 | 2 | 0 | 0 | 1.000 | - | |||||||||||
'17 총계 | - | 28 | 33 | 67 | 1 | 14 | .990 | 2 | 0 | 2 | 0 | 0 | 1.000 | 2 | 3 | 2 | 0 | 2 | 1.000 | ||||||
2018 | SF | - | 45 | 70 | 88 | 4 | 24 | .975 | 10 | 5 | 13 | 1 | 1 | .947 | 16 | 16 | 33 | 0 | 6 | 1.000 | |||||
2019 | TOR | 2 | 9 | 2 | 0 | 1 | 1.000 | 8 | 11 | 13 | 0 | 5 | 1.000 | - | - | ||||||||||
2023 | 닛폰햄 | - | 8 | 9 | 17 | 0 | 1 | 1.000 | - | 9 | 14 | 12 | 2 | 3 | .929 | ||||||||||
MLB | 2 | 9 | 2 | 0 | 1 | 1.000 | 89 | 127 | 179 | 7 | 49 | .978 | 12 | 5 | 15 | 1 | 1 | .952 | 18 | 19 | 35 | 0 | 8 | 1.000 | |
NPB | - | 8 | 9 | 17 | 0 | 1 | 1.000 | - | 9 | 14 | 12 | 2 | 3 | .929 |
; 외야 수비
연도 | 구단 | 중견 (CF) | 좌익 (LF) | 우익 (RF) | |||||||||||||||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2017 | PIT | - | - | 2 | 0 | 0 | 0 | 0 | ---- | ||||||||||
CWS | 11 | 18 | 2 | 2 | 1 | .909 | 8 | 7 | 0 | 2 | 0 | .778 | 18 | 24 | 0 | 1 | 0 | .960 | |
'17 총계 | 11 | 18 | 2 | 2 | 1 | .909 | 8 | 7 | 0 | 2 | 0 | .778 | 20 | 24 | 0 | 1 | 0 | .960 | |
2018 | SF | - | 18 | 21 | 1 | 0 | 0 | 1.000 | 2 | 3 | 0 | 0 | 0 | 1.000 | |||||
2019 | TOR | - | 1 | 0 | 0 | 0 | 0 | ---- | 5 | 10 | 0 | 1 | 0 | .909 | |||||
MLB | 11 | 18 | 2 | 2 | 1 | .909 | 27 | 28 | 1 | 2 | 0 | .935 | 27 | 37 | 0 | 2 | 0 | .949 |
-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4.3. 주요 기록
알렌 핸슨이 프로 경력 중 달성한 주목할 만한 개인 기록들은 다음과 같다.
4.3.1. NPB 첫 기록
- 첫 출장·첫 타석**: 2023년 5월 13일, 대 지바 롯데 마린즈 7차전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 6회말 아리스멘디 알칸타라의 대타로 출장, 히로하타 아츠야에게 삼진. 이 경기는 특별 유니폼을 착용하는 경기였기에, 그는 존 간트의 유니폼을 빌려 입고 뛰었다.
- 첫 선발 출장**: 2023년 5월 16일, 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7차전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 7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
- 첫 안타·첫 타점**: 2023년 5월 19일, 대 오릭스 버펄로스 6차전 (교세라 돔 오사카), 8회초 아베 쇼타로부터 우전 적시타.
- 첫 홈런**: 2023년 5월 24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0차전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 1회말 와다 쓰요시로부터 좌월 솔로 홈런.
- 첫 도루**: 2023년 6월 19일,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3차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2회초 2루 도루 (투수: 가미차야 다이키, 포수: 야마모토 유다이).
4.4. 등번호
알렌 핸슨이 프로 경력 동안 소속 팀에서 사용했던 등번호 이력은 다음과 같다.
- 59 (2016년) - 피츠버그 파이리츠
- 37 (2017년 ~ 2017년 도중) - 피츠버그 파이리츠
- 39 (2017년 도중 ~ 2017년 시즌 종료) - 시카고 화이트삭스
- 19 (2018년 ~ 2019년 도중)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1 (2019년 도중 ~ 2019년 시즌 종료) - 토론토 블루제이스
- 26 (2023년 ~ 2023년 5월 8일) - 이바라키 아스트로 플래닛츠
- 94 (2023년 5월 8일 ~ 2023년 시즌 종료)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