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Amateur Career
안치홍 선수는 어린 시절부터 구지초등학교와 대치중학교, 서울고등학교를 거치며 야구 선수로서의 기량을 다졌고, 특히 고교 시절에는 뛰어난 활약으로 주목받았다.
1.1. Early Life and Education
안치홍은 1990년 7월 2일 경기도구리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구지초등학교와 대치중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아버지의 모교이기도 한 서울고등학교에 입학하여 학창 시절 내내 야구 선수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1.2. Amateur Baseball Activities
서울고등학교 재학 시절, 안치홍은 고교 야구 리그에서 최고의 유격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2학년이던 2007년 4월에 열린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 대회에서 그의 팀은 준우승을 차지했고, 안치홍은 광주제일고등학교의 당시 에이스였던 정찬헌을 상대로 연타석 홈런을 기록하는 등 타격 3관왕(타율, 홈런, 타점)을 달성하며 프로 스카우트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3학년 때는 팀의 주장으로 활약했지만, 팀은 우승을 차지하지 못했다.
안치홍은 2007년 8월 대만타이중에서 열린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에 대한민국 청소년 야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했다. 이 대회에서 그는 타율 .111 (9타수 1안타)를 기록하며 팀의 은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2008년에는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에 다시 국가대표로 선발되었고, 한국은 이 대회에서 다섯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에서 그는 8경기 모두 2루수와 3루수로 출전하여 타율 .333 (30타수 10안타), 8타점, 8득점, 5볼넷을 기록했으며, 최우수 수비수(Best Defensive Player)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2. Professional Career
안치홍 선수는 2009년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고, 경찰 야구단에서 군 복무를 마친 후 KIA로 복귀했으며, 이후 롯데 자이언츠와 한화 이글스로 이적하며 다양한 팀에서 활약했다.
2.1. Kia Tigers Era
KIA 타이거즈는 2009년 KBO 신인 드래프트 2차 1라운드(전체 9순위)에서 안치홍을 지명하여 입단시켰다. 2009년 4월 4일 프로에 데뷔한 그는 7월 2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시즌 9호, 10호 홈런을 연달아 터뜨리며 역대 4번째 고졸 신인 두 자릿수 홈런 기록을 달성했다. 이러한 활약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 해 세이브왕을 차지한 이용찬에게 밀려 신인왕 수상에는 실패했다.
안치홍은 2009년 올스타전에서 '베스트 10'에 선정되며 고졸 신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올스타 베스트 10에 이름을 올리는 기염을 토했다. 그가 득표한 693,565표는 당시 올스타 팬 투표 최다 득표자였던 김현수에 이은 두 번째로 높은 득표수였다. 신인이 올스타 베스트 10에 선정된 것은 12년 만이었으며, 고졸 신인으로는 역대 최연소(19세 23일) 올스타전 출전 기록을 세웠다. 7월 25일 광주무등야구장에서 열린 올스타전에서 그는 고효준을 상대로 홈런을 쳐내며 역대 최연소(19세 23일) 올스타전 홈런 기록을 세웠고, 웨스턴 리그의 완승에 기여했다. 기자단 투표 67표 중 36표를 얻어 고졸 신인 최초이자 역대 최연소(19세 23일) 올스타전 MVP로 선정되었다.
10월 24일 2009년 한국시리즈 7차전에서 그는 한국시리즈 최연소 홈런을 기록하며 팀의 추격 발판을 마련했다. 이 홈런은 나지완이 채병용을 상대로 끝내기 홈런을 쳐내며 KIA 타이거즈가 12년 만에 우승을 차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의 뛰어난 활약에 힘입어 연봉이 200% 상승하며 팀 내 타자 최고 연봉 인상률을 경신했다.
2010년에는 프로 2년차임에도 불구하고 본인 첫 공식 경기 전 133경기에 출전하며 한국 야구계의 젊은 내야수로서 꾸준한 성장을 보여주었다. 2011년에는 전년보다 경기 출전 수는 줄었지만, 2년 연속 규정 타석을 채우고 타율 3할 이상을 기록했으며, 개인 첫 골든글러브 2루수 부문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2012년에는 132경기에 출전하여 2할대 타율, 3홈런, 64타점을 기록했다. 2013년에는 118경기에 출전하여 2할대 타율, 3홈런, 39타점을 기록했다. 2014년에는 126경기에 출전해 타율 3할대, 147안타, 18홈런으로 커리어 하이를 기록하며 2루수 중 서건창 다음으로 좋은 성적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인천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팀에 승선하지 못했다. 이후 그는 경찰 야구단에 입대했다. 입대 후 그의 등번호 8번은 당시 김기태 감독에 의해 임시 결번으로 지정되었다.
2.2. Military Service (Police Baseball Team)
안치홍은 2014 시즌 종료 후 군 복무를 위해 경찰 야구단에 입단했다. 그는 롯데 자이언츠 소속이었던 전준우와 함께 입단했으며, 경찰 야구단에서 등번호 13번을 달았다. 이는 전준우에게 등번호 8번을 양보했기 때문이다.
2.3. Return to Kia Tigers
2016년 9월 3일 전역한 안치홍은 다음 날인 9월 4일 KIA 타이거즈의 1군 엔트리에 등록되며 팀에 복귀했다. 복귀 후 곧바로 주전으로 활약했으며, 전역 후 첫 풀 타임 시즌이었던 2017년에는 김선빈과 함께 키스톤 콤비를 이루어 맹활약하며 팀의 통합 우승을 이끌었다. 2018년에는 타율 3할대, 23홈런을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이어갔고, 2019년 시즌에는 팀의 주장을 맡아 리더십을 발휘했다.
2.4. Lotte Giants Era
2019년 시즌을 마친 후 안치홍은 FA 자격을 얻어, 2020년 1월 6일 롯데 자이언츠와 2+2년 총액 최대 56.00 억 KRW에 계약을 맺고 이적했다. 이 계약은 2021년 시즌 종료 후 자동으로 2023년까지 연장되었다.
2.5. Hanwha Eagles Era
2023년 시즌을 마친 후 안치홍은 두 번째 FA 자격을 얻었으며, 2023년 11월 20일 한화 이글스와 4+2년 총액 72.00 억 KRW에 계약을 맺고 이적했다. 그는 현재 한화 이글스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
3. International Career
안치홍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서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대한민국의 국위를 선양하는 데 기여했다.
4. Awards and Honors
안치홍은 아마추어 및 프로 경력을 통틀어 다음과 같은 주요 개인상과 명예를 수상했다.
- KBO 올스타전 MVP: 1회 (2009년)
- 골든글러브 (2루수 부문): 3회 (2011년, 2017년, 2018년)
5. Major Records
안치홍 선수는 아마추어 시절부터 프로 경력에 걸쳐 여러 주목할 만한 기록들을 세웠다.
5.1. 아마추어 시절
- 제41회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타격 3관왕 (타율, 홈런, 타점)
5.2. 프로 시절
- 역대 최연소 KBO 올스타전 MVP (19세 23일)
- 역대 최연소 한국시리즈 홈런 기록
6. Personal Information
안치홍 선수의 출신 학교, 별명, 사용한 등번호 등 주요 개인 정보는 다음과 같다.
6.1. Alma Mater
- 구지초등학교 (구리리틀)
- 대치중학교
- 서울고등학교
6.2. Nickname
안치홍은 타격 부진 시 팬들 사이에서 '안쳐용'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는 그의 이름 '안치홍'과 '안 친다(못 친다)'는 의미가 결합된 표현이다.
6.3. Jersey Numbers
안치홍은 프로 경력 동안 다음과 같은 등번호를 사용했다.
- 8 (2009년 ~ 2014년, 2016년 ~ 2019년) - KIA 타이거즈
- 13 (2020년 ~ 2023년) - 롯데 자이언츠
- 3 (2024년 ~ 현재) - 한화 이글스
7. Career Statistics
안치홍 선수의 프로 야구 경력에 대한 종합적인 통계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09 | KIA | 0.235 | 123 | 371 | 53 | 87 | 13 | 4 | 14 | 150 | 38 | 8 | 5 | 32 | 2 | 103 | 10 | 11 |
2010 | 0.291 | 133 | 461 | 79 | 134 | 21 | 3 | 8 | 185 | 50 | 18 | 5 | 49 | 7 | 96 | 12 | 9 | |
2011 | 0.315 | 115 | 378 | 54 | 119 | 21 | 4 | 5 | 163 | 46 | 9 | 4 | 33 | 3 | 55 | 13 | 9 | |
2012 | 0.288 | 132 | 489 | 60 | 141 | 31 | 2 | 3 | 185 | 64 | 20 | 3 | 42 | 6 | 74 | 12 | 11 | |
2013 | 0.249 | 118 | 414 | 56 | 103 | 15 | 0 | 3 | 127 | 39 | 16 | 1 | 52 | 6 | 74 | 13 | 8 | |
2014 | 0.339 | 126 | 434 | 65 | 147 | 31 | 2 | 18 | 236 | 88 | 19 | 6 | 33 | 6 | 65 | 11 | 9 | |
2016 | 0.222 | 10 | 36 | 3 | 8 | 2 | 0 | 0 | 10 | 1 | 0 | 0 | 5 | 0 | 8 | 2 | 0 | |
2017 | 0.316 | 132 | 487 | 95 | 154 | 29 | 2 | 21 | 250 | 93 | 7 | 0 | 43 | 4 | 70 | 19 | 13 | |
2018 | 0.342 | 130 | 494 | 88 | 169 | 38 | 1 | 23 | 278 | 118 | 5 | 1 | 36 | 10 | 57 | 13 | 8 | |
2019 | 0.315 | 105 | 362 | 45 | 114 | 18 | 1 | 5 | 149 | 49 | 4 | 2 | 40 | 1 | 37 | 9 | 11 | |
2020 | 롯데 | 0.286 | 124 | 412 | 49 | 118 | 28 | 0 | 8 | 170 | 54 | 14 | 3 | 35 | 7 | 47 | 11 | 14 |
2021 | 0.306 | 119 | 421 | 58 | 129 | 30 | 2 | 10 | 193 | 82 | 3 | 6 | 52 | 3 | 58 | 10 | 10 | |
2022 | 0.284 | 132 | 493 | 71 | 140 | 27 | 3 | 14 | 215 | 58 | 7 | 2 | 51 | 5 | 52 | 13 | 12 | |
2023 | 0.292 | 121 | 425 | 57 | 124 | 20 | 1 | 8 | 170 | 63 | 3 | 3 | 49 | 10 | 53 | 14 | 4 | |
통산 | 14시즌 | 0.297 | 1620 | 5677 | 833 | 1687 | 324 | 25 | 140 | 2481 | 843 | 133 | 41 | 552 | 70 | 849 | 162 | 129 |
-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