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비탈리 블라다소비치 그라초프(Виталий Владасович Грачёв비탈리 블라다소비치 그라초프러시아어)는 예명인 비타스(Витас비타스러시아어)로 더 잘 알려진 러시아의 가수이자 작사가, 작곡가, 배우, 패션 디자이너이다. 그는 특유의 가성과 휘슬 레지스터를 활용한 넓은 음역대(최대 5옥타브 이상)로 유명하며, 오페라 팝, 테크노, 댄스, 클래식, 재즈, 포크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음악적 스타일을 선보인다. 이러한 독특한 음악적 특징 때문에 중국에서는 '돌고래 소리의 왕자'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비타스는 2000년대 초반 러시아와 동유럽 국가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2005년에는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시장에서도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2010년대에는 그의 대표곡인 'Opera #2'와 'The 7th Element', 'Smile!' 등의 뮤직비디오가 유튜브 등 인터넷을 통해 바이럴 성공을 거두면서 러시아와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적인 인지도를 확보했다. 그는 여러 음악 시상식과 음악 축제에 참여했으며, 루치오 달라, 데미스 루소스 등 저명한 예술가들과 협업하기도 했다. 자신의 무대 의상을 직접 디자인하고, 라이브 공연에는 'DIVA'라는 백 밴드와 함께 활동한다.
그러나 비타스는 교통사고, 총기 난사, 폭행 등 여러 공적인 사건에 연루되어 법적 책임을 지기도 했다. 이러한 논란들은 그의 대외적인 이미지와 일부 해외 활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으나, 러시아 내에서의 인기는 크게 흔들리지 않았다.
2. 어린 시절 및 배경
이 섹션에서는 비타스의 출생과 성장 배경, 그리고 어린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낸 음악적 재능에 대해 상세히 다룹니다.
2.1. 출생 및 유년기
비탈리 블라다소비치 그라초프는 1979년 2월 19일 당시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다우가프필스에서 태어났다. 그는 곧 부모님과 함께 우크라이나로 이주하여 오데사에서 성장했다. 2012년 한 인터뷰에서 비타스는 '비타스'가 자신의 출생증명서에 기재된 공식적인 본명이었으며, 16세에 '비탈리'로 이름을 변경했다고 밝혔다.
그는 러시아, 리투아니아, 아슈케나지 유대인의 혈통을 가지고 있다. 그의 어머니 릴리야 미하일로브나 그라체바는 러시아인 의상 디자이너였으며, 아버지 블라다스 아르카데비치 그라체프-마란츠만은 리투아니아 및 아슈케나지 유대인 혈통의 음악가였다. 특히 그의 친할아버지 아르카디 다비도비치 마란츠만은 아슈케나지 유대인 출신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군 합창단에서 노래를 불렀다. 친할머니는 리투아니아계였다.
2.2. 음악적 교육 및 재능 발현
비타스는 어린 시절부터 음악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였다. 5세 때 할아버지로부터 아코디언을 배웠으며, 12세가 될 무렵에는 1,000곡 이상의 노래를 작곡했다고 회상하기도 했다. 7세부터 오데사에 있는 미술 학교에 다니면서 십대 시절에는 다양한 연극 작품에 출연했다. 오데사 미술 학교의 학장은 그를 "하느님의 선물"이라고 칭찬하기도 했다.
그는 십대 시절부터 '비타스'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비탈리 그라체프'라는 이름이 너무 길게 느껴졌기 때문이라고 한다. 어린 시절, 늦은 밤까지 연습하는 습관 때문에 아버지와 자주 갈등을 겪기도 했다. 아버지는 그가 "제대로 행동하지 않는다"며 경찰에 신고하겠다고 위협하기도 했다. 21세가 되던 해, 비타스는 15세였던 미래의 아내 스베틀라나와 함께 가출하여 모스크바로 향했으며, 스베틀라나가 정식 서류 없이 기차로 러시아 국경을 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비타스가 음악으로 대중의 주목을 받기 전까지, 이들은 극심한 가난 속에서 생활해야 했다.
3. 음악 경력
비타스의 음악 경력은 초기 데뷔부터 아시아 시장 진출, 그리고 현재 활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단계를 거쳤으며, 라이브 공연을 위한 백 밴드 구성과 독특한 패션 및 무대 디자인 또한 그의 음악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3.1. 데뷔 및 초기 활동 (1900년대 후반 - 2005년)
오데사의 음악 대학에서 입학을 거부당한 후, 비타스의 가족은 사립 학교에 보낼 만한 경제적 여유가 없었다. 이에 비타스는 예명인 '비타스'를 사용하며 나이트클럽에서 공연을 시작했다. 그는 처음에는 마이클 잭슨의 트리뷰트 아티스트로 활동했지만, 패러디 공연과 자신의 곡도 선보였다. 이 외에도 상점에서 남은 빵을 거리에서 팔거나 사진작가로 일하며 생활비를 벌기도 했다. 나이트클럽에서는 춤, 노래, 코미디, 심지어 숟가락 구부리기 마술 같은 공연도 펼쳤으며, 실험 연극 배우로도 활동했다. 1997년 '체르보나 루타' 축제에 자신의 곡으로 참가하려 했으나, 우크라이나어 곡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거절당했다. 1999년 오데사 지역 방송국 엘란은 오데사에서 그의 곡 'Opera #1'의 뮤직비디오를 촬영했다.
그가 나이트클럽에서 'Opera #2'를 공연하던 중, 한 러시아 프로듀서의 눈에 띄어 모스크바행을 권유받았다. 비타스는 1998년부터 1999년경 모스크바 이주를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었다. 실험 연극 공연 중 프로듀서 세르게이 푸도프킨에게 발탁되었고, 그에게 자신의 곡이 담긴 카세트테이프를 선물했다. 일주일 후, 비타스는 여자친구 스베틀라나와 함께 오데사를 떠났다.
푸도프킨과 함께 비타스는 러시아 대중을 위한 데뷔 준비에 착수했다. 그는 자신과 여자친구의 생계를 위해 청소년 채널 TV-6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Opera #2'의 뮤직비디오를 제작했는데, 이 뮤직비디오에서 비타스는 어항과 함께 욕조에 사는 괴팍하고 외로운 남자가 아코디언을 나체로 연주하는 모습을 연기했다. 이 뮤직비디오는 2000년 12월에 공개되어 대중의 큰 주목을 받았다. 비타스는 이 곡을 공연할 때 인공 아가미를 착용했고, 이는 러시아 언론으로 하여금 그를 소설 '양서류 인간'의 등장인물 이흐티안데르에 비유하게 만들었다.
2001년 2월 27일, 비타스는 모스크바의 "러시아" 콘서트 홀에서 첫 단독 콘서트 쇼 'Opera #...'를 약식으로 선보였다. 이는 'Philosophy of Miracle' 투어의 첫 단계를 위한 티저로 기획되었으며, TV-6에 의해 촬영되어 이후 음악 프로그램의 일부로 방영되었다. 공식 자료에 따르면 투어는 2001년 4월 7일 나로포민스크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다른 자료들은 2001년 3월에 이미 투어가 시작되었음을 확인한다. 이 첫 투어 동안 비타스는 콘서트 홀뿐만 아니라 TV 쇼, 축제, 경기장, 카지노 홀, 나이트클럽 등 다양한 장소에서 공연했다. 2002년 3월, 비타스는 첫 미국 투어를 진행했다.
2002년 3월 29일, 비타스는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열린 콘서트를 통해 'Philosophy of Miracle' 투어의 두 번째 단계를 선보였다. 이 콘서트는 러시아 채널 1에서 촬영되어 이후 DVD로 출시되었다. 비타스는 이 공연으로 크렘린궁에서 단독 콘서트를 개최한 최연소 아티스트라는 기록을 세웠다.
2002년 말, 비타스는 '카루소'의 작곡가인 루치오 달라로부터 초청을 받아 2002년 11월 23일 크렘린궁에서 열린 '산레모 인 모스크바' 콘서트에서 그와 함께 이 곡을 공연했다. 달라 씨는 이후 비타스를 로마로 초청하여 푸치니의 오페라를 현대적으로 각색한 '토스카' 리허설에 참여하도록 제안했다.
2001년에 사망한 어머니를 기리기 위해 비타스는 'Mama'와 'The Songs of My Mother' 두 앨범을 발매했다. 후자는 비타스의 어머니가 가장 좋아했던 고전 소련 시대의 노래들을 포함했다. 앨범 녹음 과정에서 비타스는 소련 및 러시아 작곡가 알렉산드라 파흐무토바와 친분을 쌓았고, 그녀의 곡 '행복의 새' 뮤직비디오에 출연하기도 했다.
2003년 10월 21일, 비타스는 칼리닌그라드에서의 마지막 공연을 끝으로 첫 콘서트 투어 'Philosophy of Miracle'을 마무리했다.
2003년 11월 1일, 비타스는 모스크바의 "러시아" 콘서트 홀에서 두 번째 콘서트 투어인 'The Songs of My Mother' 쇼를 선보였다. 이전의 'Philosophy of Miracle' 투어의 화려함에 비해 'The Songs of My Mother'는 고전 러시아 노래들을 중심으로 하여 더 보수적인 분위기였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비타스의 매니지먼트사인 "푸도프킨" 프로덕션 센터는 러시아, 미국, 독일, 카자흐스탄, 이스라엘 및 발트 3국에서 'The Songs of My Mother' 투어를 이어갔다. 2004년 한 해 동안 비타스는 250회가 넘는 콘서트를 개최했다.
가수 경력 외에도 비타스는 'Сволочь ненаглядная소중한 악당러시아어' (Beloved Scoundrel)이라는 미스터리 텔레비전 드라마에 출연하여 특이하게 높은 목소리를 가진 팝 가수를 연기했다. 또한 'Crazy Day'라는 코미디 영화에도 출연했다.
3.2. 아시아 진출 및 국제적 성공 (2006년 - 2014년)
2006년 6월, 비타스는 CCTV의 초청을 받아 베이징에서 열린 대규모 행사 '중국 내 러시아의 해'에 참여했다. 이 행사에서 비타스는 'The Star'와 'Opera #2' 두 곡을 공연하며 중국에서의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이후 그는 중국에서 광범위한 투어를 진행했다.
2006년에 시작된 비타스의 'Return Home' 투어는 'The Songs of My Mother' 투어와 유사하게 보수적인 분위기를 띠었다. 2007년 3월 4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콘서트는 이후 비타스의 웹사이트에 DVD로 출시되었고, 일부 국가에서도 공식적으로 발매되었으나, 많은 곡이 삭제되었다. 모스크바에서의 전체 콘서트 역시 이후 DVD로 출시되었다.
2007년 10월, 비타스는 현재는 없어진 미국 음반사 제미니 선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다. 제미니 선은 8개의 뮤직비디오와 해당 곡들이 오디오 CD에 수록된 'Audio Visual Connect Series Vitas' 컴필레이션 CD+DVD 세트를 발매했으며, 보너스 오디오 트랙도 포함했다. 2008년, 비타스는 40분 길이의 무가사 보컬 및 연주곡인 'Light of A New Day'를 발매했으며, 이 곡은 그의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2008년 7월, 비타스는 베이징 올림픽 개막 콘서트에서 노래를 부른 유일한 외국인 아티스트였다.
'Sleepless Night' 투어는 중국에서의 콘서트를 포함했으며, 이전의 'Return Home' 프로그램보다 더 정교한 무대 연출을 선보였다. 2009년 2월 25일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에서 열린 비타스의 'Return Home' 콘서트는 루마니아 TVR2와 TVRi 방송국에서 방영되어 12개월 만에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다. 2009년 5월 12일에는 전년도 쓰촨성 대지진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쓰촨성에서 자선 콘서트를 열어 'The Star'를 공연했다. 2009년 10월 말에는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의미로 'Mommy and Son'이라는 곡이 발표되었다. 이 곡은 2011년 9월 1일 발매된 동명의 앨범 'Mommy and Son'의 첫 타이틀곡으로, 'C'est La Vie' (프랑스어로 '인생은 그런 거야'), 'Once More', 'Let the Father Teach!', 'Young Rook' 등 새로운 곡들을 포함했다.
2009년 11월 16일 베이징에서 초연된 중국 영화 '뮬란'에서 비타스는 구더 역을 맡았고, 영화의 사운드트랙 녹음에도 참여했다. 2011년 초, 비타스는 뉴욕, 토론토, 시카고, 마이애미, 밴쿠버,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에서 'Sleepless Night' 콘서트 시리즈를 개최했다. 같은 해, 그는 중국 선전 영화 '건당위업'에서 그리골리 보이틴스키 역을 연기했으며, 황성의와 함께 뮤지컬 'A Night to Be a Star'에도 출연했다. 2011년 3월, 비타스의 콘서트 투어 'Mommy and Son'이 러시아 여러 도시에서 시작되었다. 2012년 3월 키이우의 우크라이나 예술 궁전에서 열린 대규모 콘서트는 우크라이나 주요 TV 채널에서 방영되었고, 이후 DVD로 출시되었다. 2013년에는 이 투어를 독일 여러 도시에서 이어갔다.
2012년, 비타스는 러시아 토크쇼 '렛 뎀 토크'를 포함한 여러 러시아 토크쇼에 게스트로 출연하여 약 10년 만에 처음으로 러시아 텔레비전에서 심층 인터뷰를 가졌으며, 아내와 딸을 대중에게 공개하기도 했다.
3.3. 현재 활동 (2015년 - 현재)

2019년, 비타스는 15번째 앨범 'Bit Bombit'을 발매했다. 그는 2019년 4월 모스크바에서 새로운 콘서트 투어를 시작하며 데뷔 20주년을 기념했으며, 40번째 생일에는 '이브닝 우르간트' 쇼에 출연했다. 그는 호주 음악가이자 DJ인 티미 트럼펫과 'The King'이라는 곡에서 협업했으며, 투모로우랜드 페스티벌에서 함께 공연하기도 했다. 2020년 8월, 비타스의 데뷔 20주년 기념 EP 'OPERA20'가 중국에서 발매되었다. 이 앨범에는 영어, 러시아어, 중국어 곡들이 수록되었으며, 중국 가수 엘비스 왕과의 협업 곡도 포함되었다. 1,000장의 한정판 바이닐(LP)도 발행되었다.
코로나19 범유행 이후, 비타스의 해외 투어는 중단되었고 한동안 러시아 내에서만 공연했다. 2022년 3월부터는 공개적인 공연 활동을 중단하고 가족에게 더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6년에는 'Made in China' 앨범을 발매하기도 했다.
3.4. 백 밴드 구성
비타스는 라이브 공연 시 'DIVA'라는 이름의 백 밴드와 함께 활동한다.
이름 | 역할 | 활동 기간 |
---|---|---|
알렉산드르 그루즈데프 | 기타, 색소폰, 백 보컬 | 2001년 - 현재 |
막심 무사토프 | 키보드, 백 보컬 | 2019년 - 현재 |
알렉산드르 일린 | 베이스 기타, 백 보컬 | 2016년 - 현재 |
야로슬라프 안드레예프 | 드럼 | 2012년 - 현재 |
이름 | 역할 | 활동 기간 |
---|---|---|
[알 수 없음] | 기타, 백 보컬 | 2014년 - 2015년 |
바실리 무사토프 | 키보드 | 2004년 - 2019년 |
일리야 "G.IL.V" 그레베뉴크 | 키보드 | 2001년 - 2003년 |
알렉세이 로스토프 | 키보드 | 2003년 |
안드레이 아르테모프 | 베이스 기타, 백 보컬 | 2007년 - 2015년 |
라시트 캬모프 | 베이스 기타, 백 보컬 | 2001년 - 2007년, 2015년 - 2016년 |
루샨 해리아소프 | 드럼 | 2001년 - 2012년 |
3.5. 패션 및 무대 디자인
비타스는 자신의 무대 의상을 직접 디자인하며, 이러한 의상들은 그의 독특한 공연 연출의 중요한 부분이다.
4. 개인 생활
비타스의 개인 생활은 그의 가족 관계와 사생활, 그리고 언론 노출 및 이로 인한 논란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4.1. 가족 관계 및 사생활
비타스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이중 국적을 가지고 있으며, 두 개의 여권을 소지하고 있다. 그는 오랜 기간 교제한 여자친구 스베틀라나 그란코프스카와 2006년 오데사에서 가족들만 참석한 비공개 결혼식을 올렸다. 2008년 첫째 딸 알라가 태어났고, 2015년에는 아들 막심이, 2021년에는 셋째 딸 알리사가 태어났다.
2000년대 초반, 비타스는 언론과의 소통에 매우 신중했으며 인터뷰를 거의 하지 않았다. 그의 프로듀서 세르게이 푸도프킨은 비타스가 언론인들과 인터뷰할 기회를 적극적으로 차단하려 노력했다. 2003년, 러시아 채널 1의 프로그램 '굿모닝'에서 비타스의 경력에 대한 드문 인터뷰가 진행되기도 했다. 2010년대 초반에 들어서 비타스는 언론에 대해 더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2012년 1월 러시아 토크쇼 '렛 뎀 토크'에서 첫 심층 인터뷰를 가졌고, 이때 처음으로 아내와 딸을 대중에게 공개했다.
4.2. 언론 노출 및 가족 관련 논란
비타스는 이후 러시아 채널 1의 '모두가 집에 있다'는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자신이 비타스의 생부라고 주장하는 남성의 주장에 대해 해명했다. 가족과 친구들의 거센 반발, 그리고 해당 남성이 거짓말을 인정하면서, DNA 검사 결과 그 남성이 비타스의 친부가 아님이 밝혀졌다. 비타스는 해당 남성에게 악감정이 없음을 보여주기 위해 프로그램에서 그 남성의 어머니와 함께 노래하고 춤을 추기도 했다.
2013년 7월 29일, 비탈리의 친할아버지 아르카디 다비도비치가 90세의 나이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비타스는 할아버지와 가깝게 지냈으며, 자신의 교통사고가 할아버지의 죽음에 영향을 미 미쳤다고 생각하기도 했다. 5월에는 비타스의 팬 페이지를 통해 팬들의 지지에 대한 감사와 사고 피해자에 대한 사과문이 게시되었으며, 8월에는 비타스가 팬들의 지지에 감사하고 모든 사람에게 사과하는 영상이 개인 페이지에 게시되었다.
5. 논란 및 사건
비타스는 교통사고, 총기 난사, 폭행, 립싱크 의혹 등 여러 공적인 논란과 사건에 연루되어 법적 및 사회적 책임을 지기도 했습니다.
5.1. 교통사고 및 공무집행방해 (2013년)
2013년 5월 10일, 모스크바에서 비타스는 전러시아 박람회장 근처에서 자신의 차량으로 자전거를 타고 가던 올가 홀로도바를 들이받았다. 경찰서로 연행된 후, 그는 경찰관들에게 마카로프 권총 모형을 건넸다. 공개된 영상에는 비타스가 경찰관 중 한 명을 발로 차고 경찰에게 욕설을 하는 모습이 담겨 충격을 주었다. 조사 과정에서 비타스는 2007년에 음주운전으로 러시아 법원에서 23개월 동안 운전면허를 취소당했던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2008년 우크라이나 시민으로서 새로운 운전면허를 취득했음에도 불구하고 역주행하는 등 교통 규칙을 위반했던 이력이 드러났다.
5월 27일, 모스크바 오스탄스키 지역의 판사는 러시아 연방 행정법 제12조 26항 1부에 따라 의료 검사를 거부한 그라체프의 운전면허를 1년 6개월 동안 취소했다. 7월 18일, 그라체프는 공무원에 대한 폭력 행사 혐의로 공식 기소되었다. 조사 과정에서 그라체프는 자신의 죄를 완전히 인정하고 수사에 협조했다. 2013년 8월 26일, 모스크바 오스탄스키 법원은 비타스에게 러시아 형법 제318조 위반 혐의로 유죄를 선고하고 경찰관 폭행 사건에 대해 10.00 만 RUB의 벌금을 부과했다.
이 사건은 러시아 내에서 큰 파장을 일으켰음에도 불구하고 비타스의 러시아 내 인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후 그의 콘서트들은 매진되었다. 그러나 중국 충칭에서 예정되었던 콘서트는 티켓 판매 부진으로 취소되는 등 해외 활동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5.2. 총기 난사 사건 (2018년)
2018년 3월 21일, 비타스는 루블료프카 지역 바르비하 마을에 있는 자신의 집 마당에서 신호탄 권총을 발사했다. 이 총격은 5시간 동안 계속되어 이웃들의 우려를 샀다. 경찰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 비타스는 문을 열어주기를 거부하며 계속해서 총격을 가했다. 결국 경찰은 문을 부수고 비타스를 경찰서로 연행했으며, 그곳에서 행정 조서가 작성되었다. 비타스는 음주측정을 거부했다. 그의 재산을 수색하는 과정에서 탄피 45개, 탄약 4개, 그리고 신호탄 권총이 발견되었다. 비타스의 이웃들은 그가 마당에서 이와 같은 총격 사건을 벌인 것이 처음이 아니라고 진술했다.
2018년 3월 27일, 오딘초보 지방 법원은 그라체프에게 러시아 행정법 제20조 1항(경미한 무질서 행위)에 따라 7일간의 구류를 선고했으며, 그는 이스트린스키 특별 수용 센터에서 형기를 복역했다. 그는 이전에 500 RUB의 벌금을 부과받기도 했다.
5.3. 노래방 시비 사건 (2022년)
2022년 10월 23일, 모스크바 사도바야-쿠드린스카야 거리에 있는 노래방에서 비타스는 한 연방 부처 고위 공무원과 시비가 붙었다. 그는 공무원에게 욕설을 퍼붓고 최루 스프레이를 뿌려 공무원의 눈에 상해를 입혔다. 이 갈등은 보안 요원들에 의해 중단되었다. 비타스는 재빨리 현장을 떠났고, 공무원은 병원으로 가서 화학적 안구 화상 진단을 받았다. 피해를 입은 공무원은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했고, 비타스는 경미한 상해를 입힌 혐의로 형사 사건에 연루되었다. 그러나 조사 과정에서 양측의 합의로 사건은 종결되었다.
5.4. 립싱크 논란
비타스의 비정상적으로 높은 음성은 그의 라이브 공연에서 립싱크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한때 이러한 추측이 러시아 언론을 뜨겁게 달구었으나, 비타스 본인과 프로듀서는 이러한 소문을 부인했다. 그는 공연 중 마이크를 입에서 떼었다 붙였다 하는 등의 동작을 통해 자신이 립싱크를 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비타스가 출연한 미스터리 연속 드라마에서 그가 연기한 비정상적으로 높은 음정을 내는 팝 가수의 목소리는 최종회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추가 녹음한 것임이 밝혀져 논란에 다시 불을 지피기도 했다.
6. 수상 및 업적
연도 | 부문 | 수상작/주요 기록 |
---|---|---|
2001, 2002, 2003 | 러시아 싱글 베스트셀러 음반상 | 'Opera #2' |
2001 | 콤소몰스카야 프라우다 및 인터넷 설문조사 "포럼 2001" 올해의 음악적 발견 | - |
2000, 2001, 2002 | "올해의 노래" 페스티벌 3회 연속 수상 | - |
2001, 2002 | "골든 그라모폰" 대중상 2회 연속 수상 | 'Opera #2', 'Smile!' |
2001, 2002, 2003 | 팝 음악에서 가장 스타일리시한 성과를 위한 "포디움" 음악상 3회 연속 수상 | - |
2001, 2002, 2003 | 러시아 "피플스 히트" 상 | 'Opera #2', 'Smile!', 'The Star' |
2001, 2003 | 라디오 방송국 "HIT FM" "100% 히트" 상 | - |
2002 | 국립 음악상 "오베이션" 올해의 솔로이스트 | - |
2004 | 러시아 인터넷 포털 AFISHA.COM | - |
2007 | 예술 공로 훈장 | - |
2007 | 뉴스뮤직 폴(NewsMusic Poll) 올해의 베스트 앨범 | 'Crane's Crying' |
2011 | 국제 작곡가 콘테스트 뮤직비디오 부문 3위 및 대중 인기 투표 2위 | 'Opera #2' |
7. 음반 목록
7.1. 정규 앨범
러시아어 제목 | 영어 제목 | 한국어 제목 | 발매 연도 |
---|---|---|---|
Философия чуда기적의 철학러시아어 | Philosophy of Miracle | 기적의 철학 | 2001 |
Улыбнись미소러시아어 | Smile! | 미소 | 2002 |
Мама마마러시아어 | Mama | 마마 | 2003 |
Песни моей мамы나의 어머니의 노래러시아어 | The Songs of My Mother | 나의 어머니의 노래 | 2003 |
Поцелуй длиною в вечность영원만큼 긴 키스러시아어 | A Kiss as Long as Eternity | 영원만큼 긴 키스 | 2004 |
Возвращение домой고향으로의 귀환러시아어 | Return Home | 고향으로의 귀환 | 2006 |
Криком журавлиным. Возвращение домой, Часть 2두루미의 울음소리: 고향으로의 귀환, 파트 2러시아어 | Crane's Crying: Return Home, Part 2 | 두루미의 울음소리: 고향으로의 귀환, 파트 2 | 2007 |
Vitas - Myth of the Shaking Soul Voice비타스 - 신화적인 떨리는 영혼의 목소리러시아어 | The China release with the best of Vitas | 베스트 앨범 (중국판) | 2007 |
Vitas - The Best비타스 - 베스트러시아어 | The Taiwan release with the best of Vitas | 베스트 앨범 (대만판) | 2007 |
Return Home I Universal고향으로의 귀환 I 유니버설러시아어 | Return Home I Universal Music Taiwan release | 고향으로의 귀환 (대만판) | 2007 |
Vitas - The Best I비타스 - 베스트 I러시아어 | Incomparable perfect, A gift comes from the heaven | 베스트 앨범 II (중국판) | 2007 |
Shanghai Return Home상하이 고향으로의 귀환러시아어 | Shanghai Return Home | 상하이 고향으로의 귀환 (중국판) | 2008 |
Vitas - Gemini Sun Records비타스 - 제미니 선 레코드러시아어 | Gemini Sun Records | 비타스 (미국판) | 2008 |
Хиты ХХ века20세기 히트곡러시아어 | 20th Century Hits | 20세기 히트곡 | 2008 |
Скажи, что ты любишь사랑한다고 말해줘러시아어 | Say You Love | 사랑한다고 말해줘 | 2009 |
Шедевры трех веков3세기의 명작러시아어 | Masterpieces of Three Centuries | 3세기의 명작 | 2010 |
Романсы로맨스러시아어 | Romances | 로맨스 | 2011 |
Мама и Сын엄마와 아들러시아어 | Mommy and Son | 엄마와 아들 | 2011 |
Только ты. История моей любви, Часть 1오직 너. 내 사랑 이야기, 파트 1러시아어 | Only You: My Love Story, Part 1 | 오직 너. 내 사랑 이야기, 파트 1 | 2013 |
Я подарю тебе весь мир. История моей любви, Часть 2내가 너에게 세상 전체를 줄게. 내 사랑 이야기, 파트 2러시아어 | I'll Give You the World: My Love Story, Part 2 | 내가 너에게 세상 전체를 줄게. 내 사랑 이야기, 파트 2 | 2014 |
Made in China | Made in China | 메이드 인 차이나 | 2016 |
Бит бомбит빗 봄빗러시아어 | Bit Bombit | 빗 봄빗 | 2019 |
7.2. 싱글 및 EP
러시아어 제목 | 영어 제목 | 발매 연도 |
---|---|---|
Опера #2오페라 #2러시아어 | Opera #2 | 2001 |
Good Bye굿바이러시아어 | Good-bye | 2001 |
Свет Нового Дня새로운 날의 빛러시아어 | Light of a New Day | 2008 |
真童话진동화중국어 | Fairy Tale | 2010 |
Эта песня이 노래러시아어 | That Song (Remix of The 7th Element by Drangabeats) | 2015 |
Делю любовь на доли사랑을 나눈다러시아어 | I Divide Love Into Shares | 2015 |
Roll With The Beat | Roll With The Beat | 2018 |
Opera #2 (HD) | Opera #2 (HD) | 2018 |
Back to the Stars | Back to the Stars | 2020 |
За ней그녀를 뒤쫓아러시아어 | After Her | 2020 |
无词歌무사가중국어 | Song Without Words | 2020 |
向着太阳태양을 향해중국어 | Towards the Sun | 2020 |
"The King" | "The King" | 2020 |
OPERA20 | OPERA20 | 2020 |
7.3. 뮤직 비디오
러시아어 제목 | 영어 제목 | 발매 연도 |
---|---|---|
Опера No.2오페라 #2러시아어 | Opera #2 | 2000 |
Опера No.1오페라 #1러시아어 | Opera #1 | 2001 |
Дождь в Тбилиси트빌리시의 비러시아어 | Rain in Tbilisi | 2001 |
Блаженный Гуру축복받은 구루러시아어 | Blessed Guru | 2001 |
7 элемент더 7th 엘리먼트러시아어 | The 7th Element | 2001 |
Улыбнись미소러시아어 | Smile | 2002 |
Звезда별러시아어 | Star | 2003 |
Мама마마러시아어 | Mama | 2003 |
Птица счастья행복의 새러시아어 | The Bird of Happiness | 2004 |
Поцелуй длиною в вечность영원만큼 긴 키스러시아어 | Kiss As Long As Eternity | 2004 |
Берега России러시아의 해안러시아어 | Shores of Russia | 2005 |
Lucia Di Lammermoor | Lucia Di Lammermoor | 2006 |
Криком журавлиным두루미의 울음소리러시아어 | Crane's Crying | 2006 |
Ямайка자메이카러시아어 | Jamaica | 2007 |
青藏高原칭짱고원중국어 | Tibetan Plateau | 2008 |
여자의 마음 | The woman is fickle | 2009 |
Люби меня나를 사랑해 줘러시아어 | Love Me | 2009 |
Раз, два, три하나, 둘, 셋러시아어 | One, Two, Three | 2011 |
Фронтовики전선 용사러시아어 | War Veterans | 2012 |
Мне бы в небо (Дуэт с Ксеноной)하늘로 가고 싶어 (크세노나와의 듀엣)러시아어 | I'd Like To Go Up To Sky (feat. Ksenona Ksenia) | 2012 |
Я подарю тебе мир내가 너에게 세상을 줄게러시아어 | I'll Give You The World | 2013 |
Делю любовь на доли사랑을 나눈다러시아어 | I Divide Love Into Shares | 2015 |
Made in China (feat. Sergey Pudovkin) | Made in China (feat. Sergey Pudovkin) | 2016 |
ПОДАРИ사랑을 줘러시아어 | Give Me Love | 2017 |
Roll With The Beat (feat. Nappy Roots) | Roll With The Beat (feat. Nappy Roots) | 2018 |
Симфоническая심포닉러시아어 | Symphonic | 2018 |
Делала그녀는 했다러시아어 | Did | 2019 |
Back to the Stars | Back to the Stars | 2020 |
8. 출연 작품
연도 | 제목 | 역할 |
---|---|---|
2002 | Сволочь ненаглядная소중한 악당러시아어 | |
2005 | Сумасшедший день미친 날러시아어 | |
2009 | 뮬란 | 구더 |
2011 | 건당위업 | 그리골리 보이틴스키 |
2012 | A Night to Be a Star | 본인 |
9. 콘서트 프로그램
러시아어 프로그램명 | 영어 프로그램명 | 기간 |
---|---|---|
Опера No....오페라 No....러시아어 | Opera #... | 2001 |
Философия чуда или Улыбнись기적의 철학 또는 미소러시아어 | Philosophy of Miracle or Smile | 2002년 - 2003년 |
Песни моей мамы나의 어머니의 노래러시아어 | The Songs of My Mother | 2003년 - 2006년 |
Возвращение домой고향으로의 귀환러시아어 | Return Home | 2006년 - 2009년 |
Бессонная ночь잠 못 이루는 밤러시아어 | Sleepless Night | 2009년 - 2012년 |
Мама и сын엄마와 아들러시아어 | Mommy and Son | 2011년 - 2013년 |
Скажи, что ты любишь사랑한다고 말해줘러시아어 | Say You Love | 2011년 |
15 лет с вами. История моей любви당신과 함께한 15년. 나의 사랑 이야기러시아어 | 15 Years With You. My Love Story | 2014년 - 2017년 |
Come Just For You! | Come Just For You! | 2016년 |
Подари мне любовь사랑을 줘러시아어 | Give Me Love | 2018년 - 현재 |
20 Years | 20 Years | 2019년 |
OPERA20 | OPERA20 | 미정 |
10. 평가 및 영향
비타스의 음악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그의 공적인 행동으로 인한 비판적 시각 또한 존재하며, 전 세계적인 대중적 반응을 이끌어냈습니다.
10.1. 긍정적 평가
비타스는 독특한 보컬과 음악적 혁신으로 팝 음악계에 큰 족적을 남겼다. 그의 넓은 음역대와 가성을 활용한 고음은 그의 음악적 특징 중 가장 두드러지는 부분으로, '돌고래 소리의 왕자'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독창성을 인정받았다. 그는 오페라 팝, 테크노, 댄스, 클래식, 재즈, 포크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예측 불가능하면서도 실험적인 음악 스타일을 선보여 '미래 음악'의 선구자로 평가되기도 했다.
또한 비타스는 2002년 3월 29일 크렘린궁에서 단독 콘서트를 개최한 최연소 아티스트로 기록되며 러시아 음악계에 신선한 충격을 안겼다. 그의 성공적인 국제 투어는 러시아 밖에서도 그를 유명하게 만들었고, 특히 'Light of A New Day'와 같이 가사가 없는 보컬 작품들은 일부 팬들에게 '음악 치료'의 용도로 활용될 정도로 독특한 영향을 미 미쳤다.
10.2. 비판적 시각 및 기타 논란
비타스는 그의 공적인 행동과 관련하여 여러 차례 논란의 중심에 섰다. 2013년 발생한 교통사고는 그가 음주운전 의혹과 더불어 경찰관을 폭행하고 욕설을 퍼붓는 영상이 공개되면서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이 사건으로 인해 그는 운전면허가 취소되고 벌금을 부과받는 등 법적 처벌을 받았다. 또한, 2018년에는 자택 마당에서 총기 난사 사건을 벌여 체포되었고, 2022년에는 노래방에서 고위 공무원과의 시비 끝에 최루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형사 고발당하는 등 지속적으로 법적 문제에 연루되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그의 대외적인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 미쳤으며, 특히 2013년 교통사고 이후 중국 콘서트가 취소되는 등 해외 활동에 차질을 빚기도 했다.
그의 독특한 고음 창법과 관련하여서는 라이브 공연에서의 립싱크 의혹이 끊이지 않았다. 비록 본인과 프로듀서가 이를 강력히 부인하고 무대에서 마이크를 멀리 떨어뜨리는 등 립싱크가 아님을 보여주려는 노력을 했으나, 한 드라마에서 그가 연기한 캐릭터의 고음 목소리가 실제로는 여성 보컬의 오버더빙이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아이러니하게도 논란을 더욱 부추기기도 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그의 예술적 재능과는 별개로 개인적인 행동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10.3. 대중적 반응 및 영향
비타스는 러시아와 동유럽에서 일찍이 큰 인기를 얻었으나, 2005년 CCTV 행사에 참여하며 아시아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 이후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2010년대에 유튜브 등을 통해 'Opera #2', 'The 7th Element', 'Smile!' 등의 뮤직비디오가 전 세계적으로 바이럴되면서 러시아와 아시아를 넘어선 광범위한 대중적 인지도를 확보했다.
중국에서는 베이징 올림픽 개막 콘서트에 외국인 아티스트로는 유일하게 참여하는 등 높은 위상을 보여주었으며, 광범위한 투어를 통해 큰 인기를 누렸다. 일본에서는 2006년경부터 동영상 사이트를 통해 'Dedication' 등의 영상이 초고음 가수로 화제가 되기 시작했으며, 2008년과 2009년에는 일본 TV 프로그램에 소개되면서 인지도를 높였다. 특히 2009 NHK컵 피겨 스케이팅 페어 부문 우승팀의 갈라쇼에 그의 곡 'Crane's Crying'이 사용되고, NHK 라디오에서 그의 곡이 방영되는 등 문화적인 영향을 미쳤다. 대한민국에서도 '아쟁총각'이라는 별칭으로 알려지는 등 인터넷 문화 현상으로 주목받기도 했다. 이러한 대중적 반응은 그의 독특한 음악과 퍼포먼스가 언어와 문화적 장벽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파급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11. 같이 보기
- 러시아 팝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