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베카 그비니아슈빌리(Beka Gviniashvili)는 1995년 10월 26일 조지아에서 태어난 유도 선수이다. 그는 여러 체급을 오가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으며, 특히 주니어 및 23세 이하(U23) 대회에서 다수의 우승을 차지하며 일찍이 국제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시니어 경력으로 전환한 후에도 월드컵, 그랑프리, 월드 마스터스, 그랜드 슬램 등 권위 있는 국제 대회에서 꾸준히 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유도계의 주요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과 여러 세계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며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입증하기도 했다.
2. 어린 시절과 배경
베카 그비니아슈빌리는 1995년 10월 26일 조지아 시다 카르틀리주에서 태어났다. 그의 키는 약 1.8 m이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유도를 시작하여 조지아의 유도 시스템 속에서 성장하며 탁월한 잠재력을 보였다.
3. 주니어 및 유소년 경력
그비니아슈빌리는 유소년 및 주니어 시절부터 국제 대회에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 2009년 세계 카데 선수권 대회 부다페스트에서 남자 81kg급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11년 유럽 카데 선수권 대회 코토네라에서 남자 81kg급 금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유럽 유스 올림픽 페스티벌 트라브존에서 남자 81kg급 금메달을 따냈다. 또한 2011년 세계 카데 선수권 대회 키이우에서 남자 81kg급 금메달을 추가했으며, 2011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케이프타운에서는 남자 81kg급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2년 시니어 대회인 유도 월드컵 트빌리시와 프라하에서 모두 은메달을 획득하며 시니어 무대에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같은 해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포레치에서 남자 81kg급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 2013년 90kg급으로 체급을 올린 후,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사라예보에서 남자 90kg급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2013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류블랴나에서는 개인전에서 모두 한판승을 거두며 금메달을 획득했고, 단체전에서도 조지아팀의 일원으로 금메달을 따내 2관왕에 올랐다.
- 2014년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부쿠레슈티에서 남자 90kg급 금메달을 획득하며 2연패를 달성했다. 그러나 2014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포트로더데일에서는 준결승에서 크리스티안 토트에게 패하여 동메달에 머물렀고, 단체전에서도 결승에서 일본 팀에 패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 2015년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오버바르트에서 남자 90kg급 금메달을 획득하며 3연패를 달성했다. 같은 해 2015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아부다비에서 남자 90kg급 금메달을 획득하며 2년 만에 다시 우승을 차지했고, 단체전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 2016년 유럽 U23 선수권 대회 텔아비브에서 남자 90kg급 금메달을 획득했다.
4. 시니어 경력
베카 그비니아슈빌리는 시니어 무대에서도 꾸준히 활약하며 세계적인 유도 선수로 성장했다.
4.1. 시니어 초기 성공 (2012-2015)
그비니아슈빌리는 2012년부터 시니어 국제 대회에 출전하기 시작하여 빠르게 성과를 냈다.
- 2014년 그랑프리 삼순에서 남자 90kg급 금메달을 획득하며 첫 시니어 그랑프리 우승을 기록했다. 같은 해 그랜드 슬램 바쿠에서 동메달을, 그랑프리 하바나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어서 그랑프리 울란바토르에서 금메달을 따냈다. 세계 단체 선수권 대회에서는 조지아 팀의 일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5년 유럽 오픈 로마에서 동메달을, 그랑프리 뒤셀도르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그랑프리 트빌리시에서는 조지아의 라이벌이자 선배인 바를람 리파르텔리아니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어진 월드 마스터스 라바트에서는 2회전에서 세계 챔피언 이리아스 이리아디스를 꺾고, 결승에서는 일본의 요시다 유야를 대허리로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국제 무대에서 강력한 입지를 다졌다.
- 2015년 세계선수권 대회에서는 남자 90kg급 8강전에서 일본의 베이커 마슈를 유효로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러시아의 키릴 데니소프에게 굳히기로 패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다시 한번 리파르텔리아니에게 밭다리걸기로 패하여 5위에 머물렀다. 이 대회 단체전에서는 조지아 팀의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4.2. 올림픽 및 세계선수권 대회 참가
그비니아슈빌리는 올림픽과 세계선수권 대회와 같은 최고 권위의 대회에도 꾸준히 참가하며 실력을 증명했다.
- 2015년 세계선수권 대회 남자 90kg급에서 5위를 기록했다.
-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는 남자 100kg급으로 출전했다. 8강전에서 프랑스의 시릴 마레에게 유효를 내주며 패배했고, 패자부활전에서도 일본의 하가 류노스케에게 지도패로 패배하여 7위에 머물렀다.
4.3. 체급 변동
그비니아슈빌리는 선수 생활 동안 여러 체급을 오가며 활동했다.
- 주니어 및 카데트 시절에는 주로 남자 81kg급에서 뛰며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
- 2013년부터 90kg급으로 체급을 올렸고, 시니어 초기 성공의 대부분을 이 체급에서 이뤄냈다.
- 2016년 리우 올림픽을 앞두고 조지아 내에 90kg급에 바를람 리파르텔리아니라는 강력한 경쟁자가 있었기 때문에, 올림픽 출전을 위해 남자 100kg급으로 일시적으로 체급을 상향 조정했다. 이 체급에서 2016년 그랑프리 삼순 금메달과 2016년 그랜드 슬램 바쿠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좋은 성과를 냈다.
- 리우 올림픽 이후 2017년부터 다시 주 체급인 남자 90kg급으로 복귀하여 현재까지 활약하고 있다.
4.4. 지속적인 성공과 주요 순간 (2017-현재)
2017년 이후 그비니아슈빌리는 꾸준히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추가하며 세계 랭킹 상위권을 유지했다.
- 2017년 그랑프리 뒤셀도르프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 유럽 선수권 대회 남자 90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단체전에서는 조지아 팀의 금메달에 기여했다. 그랜드 슬램 아부다비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월드 마스터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는 결승에서 한국의 곽동한을 꺾고 우승하며 2년 만에 다시 월드 마스터스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 2018년 그랜드 슬램 파리에서는 결승에서 일본의 무카이 쇼이치로에게 패해 은메달에 머물렀다. 당시 무카이 선수는 그비니아슈빌리의 왼쪽 무릎 부상으로 퇴장을 돕기 위해 어깨를 빌려주는 스포츠맨십을 보여 관중으로부터 기립박수를 받았다.
- 2019년 그랜드 슬램 예카테린부르크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랑프리 트빌리시와 부다페스트에서는 동메달을, 그랑프리 자그레브에서는 금메달을 따냈다. 그랜드 슬램 오사카에서는 3회전에서 올림픽 챔피언 베이커 마슈를 발목받치기로 꺾고, 준결승에서 나가사와 겐타를 굳히기로 꺾는 등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우승을 차지했다.
- 2020년 그랜드 슬램 뒤셀도르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유럽 선수권 대회 프라하에서 남자 90kg급 동메달을 추가했다.
- 2021년 월드 마스터스 도하에서는 결승에서 네덜란드의 노엘 반 트 엔트에게 패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랜드 슬램 텔아비브에서 동메달을, 유럽 선수권 대회 리스본에서는 결승에서 동료인 라샤 베카우리에게 패해 은메달에 머물렀다. 그랜드 슬램 바쿠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하며 꾸준함을 보였다.
- 2022년 그랜드 슬램 트빌리시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그랜드 슬램 부다페스트에서 동메달을 따냈다. 그랑프리 자그레브와 그랜드 슬램 아부다비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하며 건재함을 과시했다.
- 2023년 그랜드 슬램 텔아비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23년 유러피언 게임 크라쿠프에서 혼성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5. 주요 성과 및 메달
베카 그비니아슈빌리의 주요 국제 대회 성과 및 메달 기록은 다음과 같다.
81kg급
- 2009년 세계 카데 선수권 대회 부다페스트 - 금메달
- 2011년 유럽 카데 선수권 대회 코토네라 - 금메달
- 2011년 유럽 유스 올림픽 페스티벌 트라브존 - 금메달
- 2011년 세계 카데 선수권 대회 키이우 - 금메달
- 2011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케이프타운 - 동메달
- 2012년 유도 월드컵 트빌리시 - 은메달
- 2012년 유도 월드컵 프라하 - 은메달
- 2012년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포레치 - 은메달
90kg급
- 2013년 유럽 오픈 트빌리시 - 5위
- 2013년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사라예보 - 금메달
- 2013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류블랴나 - 개인전 금메달, 단체전 금메달
- 2014년 그랑프리 삼순 - 금메달
- 2014년 그랜드 슬램 바쿠 - 동메달
- 2014년 그랑프리 하바나 - 동메달
- 2014년 그랑프리 울란바토르 - 금메달
- 2014년 세계 단체 선수권 대회 - 동메달
- 2014년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부쿠레슈티 - 개인전 금메달, 단체전 금메달
- 2014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포트로더데일 - 개인전 동메달, 단체전 은메달
- 2015년 유럽 오픈 로마 - 동메달
- 2015년 그랑프리 뒤셀도르프 - 동메달
- 2015년 그랑프리 트빌리시 - 금메달
- 2015년 월드 마스터스 라바트 - 금메달
- 2015년 세계선수권 대회 아스타나 - 5위
- 2015년 세계 단체 선수권 대회 - 동메달
- 2015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아부다비 - 개인전 금메달, 단체전 은메달
- 2016년 유럽 U23 선수권 대회 텔아비브 - 금메달
- 2017년 그랑프리 뒤셀도르프 - 금메달
- 2017년 유럽 선수권 대회 바르샤바 - 개인전 동메달, 단체전 금메달
- 2017년 그랜드 슬램 아부다비 - 은메달
- 2017년 월드 마스터스 상트페테르부르크 - 금메달
- 2018년 그랜드 슬램 파리 - 은메달
- 2019년 그랜드 슬램 예카테린부르크 - 은메달
- 2019년 그랑프리 트빌리시 - 동메달
- 2019년 그랑프리 부다페스트 - 동메달
- 2019년 그랑프리 자그레브 - 금메달
- 2019년 그랜드 슬램 오사카 - 금메달
- 2020년 그랜드 슬램 뒤셀도르프 - 동메달
- 2020년 유럽 선수권 대회 프라하 - 동메달
- 2021년 월드 마스터스 도하 - 은메달
- 2021년 그랜드 슬램 텔아비브 - 동메달
- 2021년 유럽 선수권 대회 리스본 - 은메달
- 2021년 그랜드 슬램 바쿠 - 동메달
- 2022년 그랜드 슬램 트빌리시 - 금메달
- 2022년 그랜드 슬램 부다페스트 - 동메달
- 2022년 그랑프리 자그레브 - 금메달
- 2022년 그랜드 슬램 아부다비 - 금메달
- 2023년 그랜드 슬램 텔아비브 - 금메달
- 2023년 유러피언 게임 크라쿠프 - 혼성 단체전 금메달
100kg급
- 2016년 팬암 오픈 리마 - 금메달
- 2016년 팬암 오픈 부에노스아이레스 - 금메달
- 2016년 그랑프리 삼순 - 금메달
- 2016년 그랜드 슬램 바쿠 - 금메달
-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 7위
6. 세계 랭킹
국제 유도 연맹(IJF) 세계 랭킹에서 베카 그비니아슈빌리는 2023년 2월 20일 기준으로 4670포인트를 획득하여 12위에 랭크되었다. 그는 90kg급에서 꾸준히 상위권 랭킹을 유지하며 국제 무대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