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수 경력
박태하는 선수 시절 미드필더와 윙어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1.1. 클럽 경력
박태하는 1968년 5월 29일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태어나 경주정보고등학교와 대구대학교를 졸업했다. 1991년 K리그 드래프트에서 포항제철 아톰즈의 1차 지명을 받고 프로에 입문했다.
그는 1993년부터 1995년까지 상무에서 군 복무를 한 기간을 제외하고는 8시즌 동안 포항 스틸러스의 원클럽맨으로 활약했다. 포항 스틸러스 소속으로 총 191경기에 출전하여 32골을 기록했으며, 이 기간 동안 팀의 수많은 우승과 준우승에 기여했다. 주요 성과로는 1992년 K리그 우승, 1995년 K리그 준우승, 1991, 1996, 1998 시즌 K리그1 3위가 있다. 또한 1993년 리그컵 우승, 1996 및 1997 프로스펙스컵 리그컵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 FA컵 우승과 2001년 FA컵 준우승에도 기여했다. 국제 대회에서는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 1996-97 시즌과 1997-98 시즌에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팀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이 외에도 아시안 슈퍼컵 2회 연속 준우승(1997, 1998)과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2회 연속 준우승(1997, 1998)을 기록했다. 2001 시즌을 끝으로 10년간의 현역 생활을 마감했다.
상무 축구단 소속으로는 전국실업축구연맹전에서 1992년 춘계 대회와 1994년 춘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1993년 춘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1.2. 국가대표팀 경력
박태하는 1992년부터 1999년까지 대한민국 A대표팀 소속으로 활약하며 총 11경기에 출전하여 7골을 기록했다. 1994년 2월 16일 루마니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2년 3개월 뒤인 1996년 8월 5일 베트남 호찌민의 통녓 스타디움에서 열린 괌과의 1996년 AFC 아시안컵 예선 1조 1차전에서 A매치 데뷔골을 해트트릭으로 장식하며 팀의 9-0 대승을 이끌었다. 이 경기에서 그는 전반 2분, 전반 13분, 후반 30분에 득점했다. 1996년 8월 8일 중화 타이베이와의 예선 2차전에서는 두 골을 추가하며 팀의 4-0 승리에 기여했고, 8월 11일 개최국 베트남과의 최종전에서도 한 골을 넣어 팀의 4-0 승리를 도왔다. 이처럼 예선 3경기에서만 무려 6골을 폭격하며 팀의 8년 만의 통산 8번째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이끌었다.
번호 | 날짜 | 경기장 | 상대팀 | 득점 | 결과 | 대회 |
---|---|---|---|---|---|---|
1. | 1996년 8월 5일 | 통녓 스타디움, 호찌민, 베트남 | 괌 | 1-0 | 9-0 | 1996년 AFC 아시안컵 예선 |
2. | 2-0 | |||||
3. | 6-0 | |||||
4. | 1996년 8월 8일 | 중화 타이베이 | 3-0 | 4-0 | ||
5. | 4-0 | |||||
6. | 1996년 8월 11일 | 베트남 | 3-0 | 4-0 |
1.3. 선수 시절 수상
박태하는 선수 시절 다음과 같은 개인 및 팀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 클럽 (선수)
- 포항 스틸러스
- K리그1 : 우승 (1992), 준우승 (1995), 3위 (1991, 1996, 1998)
- 리그컵 : 우승 (1993), 준우승 (1996, 1997 프로스펙스컵)
- 코리아컵 : 우승 (1996), 준우승 (2001)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 우승 (1996-97, 1997-98)
-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 준우승 (1997, 1998)
- 아시안 슈퍼컵 : 준우승 (1997, 1998)
- 상무
- 전국실업축구연맹전 : 우승 (1992 춘계, 1994 춘계), 준우승 (1993 춘계)
- 포항 스틸러스
- 개인 수상
- K리그1 베스트 11 : 1992
2. 지도자 경력
박태하는 선수 은퇴 후 다양한 팀에서 지도자로서의 경력을 쌓았으며, 현재 포항 스틸러스의 감독으로 활동 중이다.
2.1. 초기 지도자 경력
선수 은퇴 후 2005년 친정팀인 포항 스틸러스의 스카우트로 본격적인 지도자 커리어를 시작했다. 이후 코치로 전향하여 2년간 포항의 코치로 활약하며 팀의 성공에 기여했다. 이 시기 포항은 2005년 리그컵 3위, 2006년 K리그 3위, 15년 만의 K리그1 우승, 2007년 FA컵 준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포항의 리그 우승을 이끈 직후인 2007년 대한민국 A대표팀의 코치로 부임했으며, 2011년까지 4년간 코치와 수석 코치를 맡았다. 이 기간 동안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 대한민국의 원정 월드컵 사상 첫 16강 진출을 이끌었고, 2011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2회 연속 아시안컵 3위의 성적을 달성했다.
2011년까지 대한민국 A대표팀의 수석 코치로 활동하다가 당시 대표팀 감독이던 조광래가 경질된 후 잠시 휴식기를 가졌다. 2012 시즌을 앞두고 최용수 감독이 이끌던 FC 서울의 수석 코치를 맡아 서울의 통산 5번째 K리그1 우승을 만들어냈다.
2.2. 해외 지도자 경력
2015 시즌을 앞두고 당시 중국 갑급리그 소속의 옌볜 장바이산의 사령탑으로 부임하며 지도자 데뷔 10년 만에 처음으로 프로팀 감독직을 맡았다. 옌볜 푸더는 전년도인 2014 시즌에서 최하위에 그쳐 을급리그 강등 위기에 몰렸으나, 다른 팀의 임금 체불 문제로 인한 출전 자격 박탈로 간신히 잔류하게 된 팀이었다. 박태하 감독은 부임 1년 만에 옌볜 푸더를 갑급리그 우승과 함께 차기 시즌 슈퍼리그 승격으로 이끌었으며, 같은 해 중국 갑급리그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다.
중국 슈퍼리그 승격 이후 첫 시즌인 2016 시즌에서는 16팀 중 9위라는 나쁘지 않은 성적으로 리그 잔류를 이끌었으나, 2017 시즌에서는 15위에 그치며 2시즌 만에 갑급리그로 재강등되는 수모를 겪었다. 2018 시즌에서도 10위라는 저조한 성적에 그치며 2018 시즌을 끝으로 옌볜 푸더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옌볜 푸더를 떠난 후에는 중국 여자 B팀의 사령탑을 맡았다. 2019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에 출전하여 자신의 조국인 대한민국을 비롯해 일본, 미얀마와 함께 B조에 편성되었다. 대한민국과의 1차전에서는 1-2로 패했고, 미얀마와의 2차전에서는 5-1 대승을 이끌었지만, 일본과의 최종전에서 1-2로 패하며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이로 인해 2022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3. 현 소속팀 감독
2023년 12월 15일, FC 서울의 감독으로 취임한 김기동 감독의 후임으로 포항 스틸러스의 사령탑으로 선임되며 16년 만에 친정팀으로 복귀했다. 복귀 후 2024년 K리그1에서는 3시즌 연속 파이널 A 그룹 진출을 이끌었으며, 2024년 코리아컵에서는 동해안 더비 라이벌팀인 울산 HD를 꺾고 2회 연속이자 통산 6번째 코리아컵 우승을 차지했다. 이 우승으로 포항 스틸러스는 차기 시즌 AFC 챔피언스리그 투 진출 및 3회 연속 아시아 클럽 대항전 진출권을 확보했다.
팀 | 국가 | 시작일 | 종료일 | 기록 | ||||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
옌볜 장바이산 | Yanbian Changbaishan옌볜 장바이산중국어 | 2014년 12월 5일 | 2018년 10월 26일 | 43|29|51|34.96% | ||||
포항 스틸러스 | Pohang Steelers포항 스틸러스한국어 | 2023년 12월 15일 | 현재 | 21|14|21|37.50% | ||||
총합 | 64|43|72|35.75% |
2.4. 지도자 경력 수상
박태하는 지도자로서 다음과 같은 개인 및 팀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 클럽 (지도자)
- 포항 스틸러스 (수석 코치)
- K리그1 : 우승 (2007), 3위 (2006)
- 리그컵 : 3위 (2005)
- 코리아컵 : 준우승 (2007)
- FC 서울 (수석 코치)
- K리그1 : 우승 (2012)
- 옌볜 장바이산
- 중국 갑급리그 : 우승 (2015)
- 포항 스틸러스 (감독)
- 코리아컵 : 우승 (2024)
- 포항 스틸러스 (수석 코치)
- 국가대표팀 (지도자)
- 대한민국 (수석 코치)
- AFC 아시안컵 : 3위 (2011)
- 대한민국 (수석 코치)
- 개인 수상
- 중국 갑급리그 최우수 감독상 : 2015
3. 행정가 경력
박태하는 축구 행정가로서도 활동하며 한국 축구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2021년 2월 한국프로축구연맹 기술위원장에 선임되었으며, 2023년 1월 20일에는 최윤겸 충북 청주 FC 감독, 조성환 인천 유나이티드 감독, 정재권 한양대학교 감독, 곽효범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과 교수, 이정효 광주 FC 감독 등과 함께 대한축구협회 전력강화위원에 전격 선임되었다.
4. 개인사
박태하는 1968년 5월 29일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태어났다. 그의 키는 177 c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