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및 배경
박동혁은 1979년 4월 18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신장은 1.85 m이고, 선수 시절 체중은 80 kg이었다.
1.1. 유스 경력
박동혁은 경희고등학교에서 1995년부터 1997년까지 축구 선수로 활동했다. 이후 고려대학교에 진학하여 1998년부터 2001년까지 대학 축구 무대에서 활약하며 실력을 쌓았다. 고려대학교 재학 중이던 1999년에는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2000년에는 시드니 올림픽에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일원으로 출전하며 국제 경험을 쌓았다. 2001년에는 독일 분데스리가 2부 리그 클럽의 훈련에 참여하며 해외 진출을 모색했으나, 계약이 성사되지 못했다.
2. 선수 경력
박동혁은 2002년 K리그의 전북 현대 모터스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울산 현대, 감바 오사카, 가시와 레이솔, 다롄 스더 등에서 활약하며 대한민국, 일본, 중국 리그를 경험했다. 그의 주 포지션은 수비수, 특히 센터백이었다.
2.1. 전북 현대 모터스
2002년 전북 현대 모터스에 입단한 박동혁은 2005년까지 주로 로테이션 멤버로 활약했다. 이 기간 동안 팀의 FA컵 2회 우승(2003년, 2005년)과 슈퍼컵 우승에 기여했다. 또한 2004년 리그컵 3위, 2004년 AFC 챔피언스리그 4강 진출 등의 성과에도 이바지했다. 2004년부터 2005년에는 당시 한국 대표팀 감독이었던 요하네스 본프레레에 의해 라이트백으로 포지션을 변경하여 주전으로 활약하기도 했다.
2.2. 울산 현대 FC (1기)
2006년 김정남 감독이 이끌던 울산 현대로 이적한 박동혁은 2008년까지 울산의 핵심 수비수로 맹활약했다. 그는 2005년 K리그를 끝으로 은퇴한 유상철이 달았던 등번호 6번을 이어받았다. 울산에서의 활약으로 2006년 슈퍼컵 우승, 2006년 AFC 챔피언스리그 4강, A3 챔피언스컵 우승에 기여했다. 특히 A3 챔피언스컵에서는 감바 오사카와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등 일본 팀들을 제치고 우승을 차지하는 데 공헌했다. 또한 2007년 K리그 4위, 리그컵 우승, 2008년 K리그 3위 등의 성과를 달성했으며, 2008년에는 K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2.3. 감바 오사카
2009년 박동혁은 J1리그의 감바 오사카로 완전 이적하며 일본 무대에 진출했다. 그는 2009년부터 새롭게 도입된 아시아 쿼터 선수로 등록되었다. 감바 오사카에서 1년 계약 기간 동안 공식전 15경기에 출전했으나, 점차 출전 기회를 잃었다.
2.4. 가시와 레이솔
감바 오사카에서의 출전 기회 감소로 인해 2009년 7월, 박동혁은 당시 J리그 하위권에 머물던 가시와 레이솔로 임대 이적했다. 가시와에서도 울산 시절처럼 유상철이 달았던 등번호 6번을 배정받았다. 비록 팀의 J2리그 강등을 막지는 못했지만, 그의 수비력이 인정받아 가시와로 완전 이적을 확정 지었다.
이후 2010 시즌 J2리그에서 안정된 수비력을 바탕으로 팀의 우승과 한 시즌 만의 J1리그 승격에 크게 기여했다. 2011 시즌 1부 리그로 복귀한 후에도 가시와 레이솔의 주전 수비수로 활약하며 팀의 리그 우승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011년 12월 4일, 가시와 레이솔은 박동혁과의 계약이 만료되어 다음 시즌 계약을 갱신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2.5. 다롄 스더
가시와 레이솔을 리그 우승팀으로 만든 후, 박동혁은 2012년 중국 슈퍼리그의 다롄 스더로 완전 이적했다. 그러나 팀 내 어수선한 사정으로 인해 한 시즌 만에 다롄 스더를 떠났다.
2.6. 울산 현대 FC (2기)
2013년 박동혁은 친정팀인 울산 현대로 복귀했다. 복귀 후 2013년 K리그1에서 팀의 준우승에 공헌했다. 2014년 10월 26일 탄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성남 FC와의 2014년 K리그1 33라운드 경기에서는 팀이 3-3으로 팽팽히 맞선 상황에서 극적인 결승골을 터뜨려 팀의 4-3 역전승과 상위 스플릿 진출에 기여했다. 2014 시즌을 마친 뒤 현역 은퇴를 선언했으며, 2015년 3월 21일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열린 전남 드래곤즈와의 2015년 K리그1 3라운드 홈 경기에서 은퇴식을 치렀다.
2.7. 통산 기록
박동혁은 프로 선수 경력 동안 총 281경기에 출전하여 22골을 기록했다. 다음은 그의 클럽별 통산 기록이다.
클럽 기록 | 리그 | FA컵 | 리그컵 | 대륙 대회 | 총계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대한민국 | 리그 | FA컵 | 리그컵 | 아시아 | 총계 | ||||||||
2002 | 전북 현대 모터스 | K리그 | 21 | 2 | ? | ? | 8 | 0 | ? | ? | 29 | 2 | |
2003 | 31 | 1 | 3 | 0 | - | - | - | - | 34 | 1 | |||
2004 | 22 | 4 | 1 | 0 | 9 | 4 | ? | 1 | 32 | 5 | |||
2005 | 27 | 5 | 4 | 0 | 10 | 3 | - | - | 41 | 8 | |||
2006 | 울산 현대 | 34 | 4 | 1 | 0 | 13 | 0 | ? | ? | 48 | 4 | ||
2007 | 32 | 4 | 3 | 0 | 8 | 2 | - | - | 43 | 6 | |||
2008 | 25 | 1 | 2 | 1 | 9 | 0 | - | - | 36 | 2 | |||
일본 | 리그 | 천황배 | 리그컵 | 아시아 | 총계 | ||||||||
2009 | 감바 오사카 | J1리그 | 9 | 1 | - | - | - | - | 3 | 0 | 12 | 1 | |
가시와 레이솔 | 14 | 0 | 1 | 0 | 1 | 0 | - | - | 16 | 0 | |||
2010 | J2리그 | 34 | 4 | - | - | 3 | 0 | - | - | 37 | 4 | ||
2011 | J1리그 | 17 | 2 | 1 | 0 | 0 | 0 | - | - | 18 | 2 | ||
중국 | 리그 | FA컵 | 슈퍼컵 | 아시아 | 총계 | ||||||||
2012 | 다롄 스더 | 중국 슈퍼리그 | 25 | 3 | ? | ? | - | - | - | - | 25 | 3 | |
2013 | 울산 현대 | K리그1 | 22 | 0 | ? | ? | - | - | - | - | 22 | 0 | |
2014 | 18 | 1 | ? | ? | - | - | - | - | 18 | 1 | |||
총 통산 | 281 | 22 |
3. 국가대표팀 경력
3.1. 연령별 대표팀
박동혁은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1998년 AFC U-20 아시안컵에 출전하여 팀의 우승과 함께 1999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에 기여했다. 이후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200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당시 팀은 조별리그에서 2승 1패의 좋은 성과를 거두었으나, 첫 경기에서 스페인에 0-3으로 완패한 여파를 극복하지 못하고 8강 진출에는 실패했다. 2002년 자국에서 열린 2002년 아시안 게임에도 U-23 대표팀으로 참가하여 팀의 동메달 획득에 일조했다.
3.2. 성인 대표팀
박동혁은 1998년 12월 11일 쿠웨이트와의 1998년 아시안 게임 16강 B조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대한민국 A대표팀 소속으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이후 2005년 6월 3일 우즈베키스탄과의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A조 4차전을 끝으로 A매치 통산 18경기 출장 기록을 남기고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반납했다.
4. 지도자 경력
선수 은퇴 후 박동혁은 독일에서 지도자 연수를 거쳐 본격적인 지도자 커리어를 시작했다.
4.1. 울산 현대 (코치)
2015년 울산 현대의 유소년 스카우트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한 박동혁은 이듬해인 2016년 울산 현대의 코치로 부임했다. 그는 윤정환 감독을 보좌하며 2016년 K리그1 4위, 2016년 FA컵 4강 진출 등에 기여했다.
4.2. 아산 무궁화 FC
2017 시즌을 앞두고 K리그2의 아산 무궁화의 수석 코치로 송선호 감독을 보좌하며 리그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끌었으나, 플레이오프에서 부산 아이파크에 0-3으로 완패하며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8 시즌을 앞두고 송선호 감독이 승격 실패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 뒤, 박동혁은 아산 무궁화의 감독으로 부임하며 2018 시즌 K리그 최연소 감독이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2018년 아시안 게임 이후 경찰청 측에서 선수 수급을 중단하면서 사실상 해체 수순을 밟던 악조건 속에서도, 그는 팀을 이끌어 2018 시즌 리그 우승이라는 놀라운 성과를 만들어냈다. 비록 우승을 이끌었음에도 불구하고 2019년 K리그1 승격권은 준우승팀인 성남 FC에 넘겨주었지만, 2018 시즌 K리그 감독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2019 시즌에는 전 시즌과는 달리 부진을 거듭했다. 그러나 경찰 선수들이 전역한 8월 12일 이전까지 23경기 11승 4무 8패의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두며 리그 7위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2019 시즌을 끝으로 아산 무궁화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4.3. 충남 아산 FC
아산 무궁화 해체 이후 2020 시즌을 앞두고 신생팀인 충남 아산 FC의 초대 사령탑으로 선임되었다. 2020 시즌에는 리그 10팀 중 최하위, 2020년 FA컵 3라운드 탈락이라는 초라한 성적을 거두며 K리그2의 높은 벽을 실감해야 했다.
2021 시즌에는 데이트 폭력 전과가 있는 미치부치 료헤이와 음주운전 전과가 있는 이상민 등을 영입했다는 이유로 여러 여론으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그 36경기 11승 8무 17패로 전 시즌보다 2계단 상승한 8위를 기록했으며, 2021년 FA컵에서는 구단 역사상 첫 FA컵 16강 진출을 이끌었다. 2021 시즌 K리그 감독상 후보에도 이름을 올렸다.
이듬해인 2022 시즌에는 탄탄한 수비 조직력을 바탕으로 한때 6월 중순경 준플레이오프 진출 가시권에 접어들기도 했다. 비록 시즌 막판 집중력이 떨어지면서 다시 한번 준플레이오프 진출 문턱에서 좌절을 맛보았지만, 리그 6위라는 충남 아산 구단 역사상 K리그2 최고 성적을 이끌며 시즌을 마감했다.
그러나 2023 시즌에는 전 시즌 K리그2 득점왕이었던 유강현의 공백을 메우지 못하며 3년 만에 K리그2 10위라는 부진한 성적에 머물러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2023 시즌 이후 충남 아산 감독직에서 스스로 물러났다.
4.4. 경남 FC
2023년 12월 5일, 박동혁은 경남 FC의 새로운 감독으로 선임되어 2024 시즌부터 2025 시즌까지 동행하기로 했다고 경남 구단이 발표했다. 그러나 2024 시즌 도중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감독직에서 물러났으며, 권우경 수석 코치가 감독 대행으로 2024 시즌 잔여 경기를 이끌게 되었다.
4.5. 네팔 축구 국가대표팀
2025년부터 박동혁은 네팔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할 예정이다.
5. 대회 성적
5.1. 클럽 (선수)
- 전북 현대 모터스
- FA컵 : 우승 (2003, 2005)
- 슈퍼컵 : 우승 (2004)
- 리그컵 : 3위 (2004)
- AFC 챔피언스리그 : 4강 (2004)
- 울산 현대
- 슈퍼컵 : 우승 (2006)
- A3 챔피언스컵 : 우승 (2006)
- 리그컵 : 우승 (2007)
- K리그1 : 준우승 (2013), 3위 (2008), 4위 (2007)
- FA컵 : 4강 (2006)
- AFC 챔피언스리그 : 4강 (2006)
- 가시와 레이솔
- J1리그 : 우승 (2011)
- J2리그 : 우승 (2010)
5.2. 국가대표팀 (선수)
- 대한민국 U-20
- AFC U-20 아시안컵 : 우승 (1998)
- 대한민국 U-23
- 아시안 게임 : 동메달 (2002)
5.3. 클럽 (지도자)
- 울산 현대 (코치)
- K리그1 : 4위 (2016)
- FA컵 : 4강 (2016)
- 아산 무궁화 (감독·수석 코치)
- K리그2 : 우승 (2018), 3위 (2017)
6. 개인 수상
- K리그 베스트 11 : 2008
- K리그 감독상 : 2018
- K리그 감독상 후보 :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