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과 학력
김용수 선수는 1960년 5월 2일에 태어났다. 그는 서울홍릉초등학교와 동대문중학교를 거쳐 동대문상업고등학교(현 청원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중앙대학교 체육교육학과에 79학번으로 입학하여 대학 야구 선수로 활약했다.
2. 아마추어 및 초기 프로 경력
중앙대학교를 졸업한 김용수 선수는 1983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MBC 청룡으로부터 1차 1순위로 지명을 받았다. 그러나 당시 군 복무 문제 해결을 위해 프로 계약을 미루고 실업 야구 팀인 한일은행 야구단에서 잠시 몸담았다. 1983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출전하여 공동 우승을 차지하며 군 면제 혜택을 받았다.
아마추어 시절, 그는 1983년 컨티넨탈컵과 1984년 아마추어 월드 시리즈 등 국제 대회에도 출전했다. 특히 야구가 시범 종목이었던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도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군 복무 문제를 해결한 후 1985년에 MBC 청룡의 1차 9순위 지명을 다시 받아 정식으로 프로에 입단하며 그의 긴 KBO 리그 경력을 시작했다.
3. 프로 선수 경력
김용수 선수는 KBO 리그에서 MBC 청룡과 LG 트윈스 소속으로 16년간 활약하며 한국 프로야구사에 길이 남을 빛나는 기록과 업적을 쌓았다. 그는 선발 투수와 마무리 투수를 완벽하게 소화하는 전천후 투수로서 꾸준함을 선보였다.
3.1. MBC 청룡 시절
1985년 MBC 청룡에 입단한 김용수 선수는 투수로서의 잠재력을 곧바로 터뜨렸다. 그는 초창기부터 팀의 핵심 불펜 투수로 활약하며 1986년, 1987년, 1989년 세 차례에 걸쳐 구원왕 타이틀을 차지했다. 이를 통해 리그 최고의 마무리 투수 중 한 명으로 빠르게 인정받았다.
입단 당시 그의 등번호에 얽힌 이야기도 흥미롭다. 김용수 선수는 대학 시절 사용했던 등번호 14번을 원했으나, 당시 선배 이광권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이후 38번을 선택하려 했지만 김동엽 감독이 이 번호를 가져가면서 또 다시 등번호를 변경해야 했다. 결국 김용수 선수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메이저리그의 전설적인 명예의 전당 투수였던 톰 시버의 등번호인 41번을 달게 되었다. 이 41번은 훗날 LG 트윈스의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며 그의 상징이 되었다.
3.2. LG 트윈스 시절
1990년 MBC 청룡이 LG 트윈스로 팀명을 변경한 후에도 김용수 선수는 팀의 간판 투수이자 정신적 지주로 활약했다. 그는 선발 투수와 마무리 투수를 유연하게 오가며 팀에 필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전천후 능력을 보여주었다.
1990년 시즌, 그는 12승을 기록하며 LG 트윈스의 창단 첫 정규리그 1위와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특히 한국시리즈에서는 2승을 거두며 MVP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1992년에는 부상으로 잠시 주춤했지만, 1994년에는 5승 5패 30세이브를 기록하며 팀의 두 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에 결정적으로 기여했고, 한국시리즈에서 1승 2세이브를 추가하며 또다시 MVP를 수상했다.
1997년에는 KBO 리그 최초로 500경기 출장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1998년 시즌에는 18승 6패를 기록하며 그 해 다승왕 타이틀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당시 15선발승으로 삼성 라이온즈의 스콧 베이커와 함께 선발승 공동 2위에 올랐다. 그러나 천보성 당시 LG 트윈스 감독이 주전 마무리 투수였던 마이클 앤더슨의 부진으로 1996년 중반부터 선발로 전향했던 김용수 선수를 선발-구원-마무리를 가리지 않고 무리하게 투입하면서, 정규 시즌 MVP는 홈런과 타점 2관왕을 차지한 OB 베어스의 타이론 우즈에게 돌아갔다.
1999년 시즌을 앞두고 마이클 앤더슨이 쌍방울 레이더스로 이적한 후 마무리 투수로 낙점되었던 최향남이 갑작스러운 손가락 골절 부상으로 시즌 초 출전하지 못하게 되자, 김용수 선수는 다시 마무리 투수로 복귀하여 팀의 뒷문을 책임졌다. 이후 최향남이 5월 31일 현대 유니콘스전 선발 등판으로 복귀했으나 시즌 막판 장염으로 1군 엔트리에서 다시 제외되면서 김용수 선수는 선발 투수로 보직이 변경되는 등, 선수 생활 마지막까지 다양한 역할을 소화했다.
2000년 시즌이 끝난 후 부임한 이광은 감독이 과거 옛 스승 김동엽 감독의 스파르타식 훈련 방식을 선수단에 적용하려다 선수단과 마찰을 빚는 과정에서 김용수 선수는 2000년 시즌을 끝으로 은퇴식 없이 현역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김용수 선수는 KBO 리그 최초로 100승-200세이브를 동시에 달성한 투수라는 기념비적인 기록을 세웠다. 2012년 오승환이 기록을 경신하기 전까지 그는 KBO 리그 통산 세이브 1위를 오랫동안 유지했다. 1990년과 1994년 한국시리즈 MVP로 선정된 그는 2023년 한국시리즈에서 오지환이 MVP를 받기 전까지 LG 트윈스 출신 투수 중 유일한 한국시리즈 MVP이자, LG 트윈스의 모든 한국시리즈 MVP를 단독으로 차지한 선수였다. 2008년 LG 트윈스 러브 페스티벌 스페셜 매치에서는 현역 시절과 다름없는 실력으로 5이닝 2실점 완투승을 거두며 MVP를 차지하는 건재함을 과시하기도 했다.
3.3. 투구 스타일 및 특징
김용수 선수의 가장 큰 특징은 정교한 제구력과 함께 포크볼을 주무기로 삼았다는 점이다. 그의 포크볼은 리그에서 가장 위력적인 구종 중 하나로 평가받았으며, 결정구로서 상대 타자를 압도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는 포크볼 외에도 sF볼, 스플리터 등 다양한 변화구를 구사하여 타자들의 예측을 어렵게 만들었다.
김용수 선수는 마무리 투수로서의 명성이 높았지만, 필요에 따라 선발 투수로서도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선발과 구원 모두에서 최고 수준의 기량을 선보인 대한민국 프로야구의 대표적인 전천후 투수로서, 그의 존재는 팀에 큰 안정감을 주었다.
4. 은퇴 후 활동
김용수 선수는 현역 은퇴 후에도 야구계에 남아 다양한 역할과 활동을 이어갔다. 지도자와 해설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야구 발전에 기여하고자 노력했다.
4.1. 코치 및 해설 활동
프로 선수 은퇴 직후, 김용수 선수는 KBS N 스포츠의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며 야구팬들에게 경기를 분석하고 지식을 전달했다. 이후 LG 트윈스의 투수코치로 부임하여 지도자의 길을 걸었으나, 선수 시절의 명성에 비해 지도자로서의 성과는 상대적으로 아쉬웠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2009년 시즌 후에는 LG 트윈스의 스카우트로 보직이 변경되어 선수 발굴에 힘썼다. 2010년부터는 중앙대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재직하며 아마추어 야구 선수 육성에 주력했다.
4.2. 논란 및 징계
중앙대학교 야구부 감독 재직 시절인 2011년, 김용수 선수는 심판에게 식사비 명목으로 100.00 만 KRW을 건넨 혐의가 드러나 대한야구협회로부터 3년간 지도자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 이 사건으로 인해 그는 2012년 11월 중앙대학교 야구부 감독직에서 물러났고, 고정식 감독에게 자리를 넘긴 뒤 일본으로 건너가 야구 연수를 받았다.
2014년 시즌 후 롯데 자이언츠가 그를 2군 투수코치로 영입하려고 시도했으나, 대한야구협회와 KBO 간에 징계에 관한 상호 규약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논란의 소지를 피하기 위해 결국 영입을 철회했다. 2015년 3월에 자격 정지가 해제되었지만, 이후 현재까지 프로 야구 현장으로 복귀하지 않고 있다.
5. 유산과 평가
김용수 선수는 KBO 리그에서 남긴 뛰어난 기록과 LG 트윈스에 대한 헌신으로 한국 프로야구 역사에 중요한 유산을 남겼으며, 그의 상징성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5.1. 영구 결번 41번
김용수 선수의 현역 시절 등번호였던 41번은 MBC 청룡과 LG 트윈스 구단 소속 선수 역사상 최초로 영구 결번되었다. 이는 그의 LG 트윈스에 대한 헌신과 한국 프로야구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고 기리기 위한 상징적인 조치이다. 41번은 김용수 선수를 상징하는 번호이자 LG 트윈스의 역사 그 자체로 평가받는다.
5.2. 별명 '노송'
김용수 선수의 별명은 노송(老松)이다. 이 별명은 그가 40세까지 KBO 리그에서 선발과 마무리를 오가며 활약하는 등 긴 선수 생활 동안 꾸준하고 굳건한 기량을 유지했던 '노련하고 굳건한 소나무'와 같은 이미지를 상징한다. 이는 그의 성실함과 장수의 상징으로 야구팬들에게 기억되고 있다.
5.3. 전반적인 영향과 역사적 평가
김용수 선수는 KBO 리그 역대 최고의 투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통산 세이브 및 세이브 포인트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통산 승리 부문 6위, 경기 출장, 평균자책점, 이닝 부문 8위, 승률 부문 10위 등 여러 주요 투수 부문에서 상위권에 랭크되어 그의 꾸준함과 뛰어난 기량을 입증했다. 특히 LG 트윈스가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던 1990년과 1994년 두 차례 모두 MVP를 수상하며, LG 트윈스 역사상 가장 중요한 선수 중 한 명으로 기억되고 있다. 2023년 한국시리즈에서 오지환이 MVP를 받기 전까지 김용수는 LG 트윈스의 한국시리즈 MVP를 단독으로 기록하며 LG 트윈스 팬들에게 'LG의 영원한 에이스'라는 상징성을 지녔다.
6. 통산 기록
김용수 선수의 KBO 리그 주요 기록 및 연도별 상세 투수·타자 성적은 다음과 같다.
6.1. 주요 기록
기록 | 날짜 | 소속 | 구장 | 상대팀 | 달성 당시 나이 | 기타 |
---|---|---|---|---|---|---|
500경기 출장 | 1997.9.11 | LG 트윈스 | 잠실야구장 | 해태 타이거즈 | 37세 4개월 9일 | KBO 리그 최초 기록 |
6.2. 연도별 투수 성적
연 도 | 소 속 | 나 이 | 승 리 | 패 전 | 승 률 | 평 자 책 | 출 장 | 선 발 | 완 투 | 완 봉 | 세 이 브 | 홀 드 | 이 닝 | 피 안 타 | 피 홈 런 | 볼 넷 | 고 4 | 탈 삼 진 | 몸 맞 | 보 크 | 폭 투 | 실 점 | 자 책 | 타 자 수 | W H I P |
---|---|---|---|---|---|---|---|---|---|---|---|---|---|---|---|---|---|---|---|---|---|---|---|---|---|
1985 | MBC | 25 | 1 | 2 | .333 | 3.74 | 6 | 0 | 0 | 0 | 2 | 0 | 21.2 | 22 | 2 | 7 | 1 | 14 | 0 | 0 | 1 | 9 | 9 | 93 | 1.34 |
1986 | 26 | 9 | 9 | .500 | 1.67 | 60 | 3 | 0 | 0 | 26 | 0 | 178.0 | 128 | 4 | 59 | 7 | 74 | 3 | 0 | 0 | 40 | 33 | 694 | 1.05 | |
1987 | 27 | 9 | 5 | .643 | 1.98 | 52 | 1 | 0 | 0 | 24 | 0 | 141.0 | 109 | 6 | 36 | 6 | 71 | 4 | 0 | 0 | 34 | 31 | 560 | 1.03 | |
1988 | 28 | 3 | 5 | .375 | 4.47 | 34 | 3 | 1 | 0 | 11 | 0 | 98.2 | 118 | 5 | 31 | 1 | 51 | 3 | 0 | 0 | 51 | 49 | 438 | 1.51 | |
1989 | 29 | 5 | 5 | .500 | 3.19 | 47 | 1 | 0 | 0 | 22 | 0 | 104.1 | 107 | 2 | 29 | 5 | 51 | 3 | 1 | 1 | 43 | 37 | 429 | 1.30 | |
1990 | LG | 30 | 12 | 5 | .706 | 2.04 | 33 | 13 | 2 | 0 | 5 | 0 | 149.2 | 122 | 4 | 38 | 1 | 119 | 3 | 0 | 0 | 40 | 34 | 594 | 1.07 |
1991 | 31 | 12 | 11 | .522 | 2.79 | 41 | 16 | 8 | 1 | 10 | 0 | 190.0 | 172 | 5 | 62 | 7 | 129 | 8 | 2 | 5 | 71 | 59 | 788 | 1.23 | |
1992 | 32 | 5 | 4 | .556 | 5.16 | 14 | 8 | 1 | 0 | 0 | 0 | 61.0 | 62 | 5 | 17 | 0 | 27 | 3 | 0 | 2 | 37 | 35 | 255 | 1.30 | |
1993 | 33 | 6 | 2 | .750 | 1.55 | 50 | 0 | 0 | 0 | 26 | 0 | 75.2 | 53 | 3 | 20 | 6 | 60 | 2 | 0 | 2 | 16 | 13 | 293 | 0.97 | |
1994 | 34 | 5 | 5 | .500 | 2.56 | 42 | 0 | 0 | 0 | 30 | 0 | 63.1 | 46 | 1 | 10 | 1 | 44 | 1 | 0 | 0 | 24 | 18 | 247 | 0.88 | |
1995 | 35 | 4 | 2 | .667 | 1.43 | 48 | 0 | 0 | 0 | 30 | 0 | 69.0 | 59 | 1 | 10 | 3 | 44 | 1 | 0 | 2 | 12 | 11 | 270 | 1.00 | |
1996 | 36 | 16 | 7 | .696 | 2.82 | 48 | 9 | 2 | 1 | 9 | 0 | 130.2 | 123 | 6 | 36 | 7 | 92 | 3 | 0 | 1 | 55 | 41 | 546 | 1.22 | |
1997 | 37 | 12 | 8 | .600 | 3.70 | 28 | 28 | 2 | 0 | 0 | 0 | 177.2 | 163 | 16 | 43 | 4 | 121 | 8 | 0 | 3 | 82 | 73 | 733 | 1.16 | |
1998 | 38 | 18 | 6 | .750 | 3.45 | 32 | 25 | 1 | 0 | 2 | 0 | 175.0 | 176 | 11 | 45 | 3 | 116 | 7 | 0 | 2 | 74 | 67 | 742 | 1.26 | |
1999 | 39 | 3 | 9 | .250 | 2.88 | 46 | 3 | 0 | 0 | 26 | 0 | 68.2 | 70 | 5 | 13 | 1 | 48 | 3 | 0 | 4 | 23 | 22 | 289 | 1.21 | |
2000 | 40 | 6 | 4 | .600 | 5.24 | 32 | 19 | 0 | 0 | 4 | 1 | 127.0 | 142 | 10 | 42 | 2 | 85 | 9 | 0 | 4 | 83 | 74 | 556 | 1.45 | |
KBO 통산 : 16년 | 126 | 89 | .586 | 2.98 | 613 | 129 | 17 | 2 | 227 | 1 | 1831.1 | 1672 | 86 | 498 | 55 | 1146 | 61 | 3 | 27 | 694 | 606 | 7527 | 1.19 |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6.3. 연도별 타격 성적
연 도 | 소 속 | 나 이 | 출 장 | 타 석 | 타 수 | 득 점 | 안 타 | 2 루 타 | 3 루 타 | 홈 런 | 타 점 | 도 루 | 도 실 | 볼 넷 | 삼 진 | 타 율 | 출 루 율 | 장 타 율 | O P S | 루 타 | 병 살 타 | 몸 맞 | 희 타 | 희 플 | 고 4 | ||
---|---|---|---|---|---|---|---|---|---|---|---|---|---|---|---|---|---|---|---|---|---|---|---|---|---|---|---|
1995 | LG | 35 | 1 | 1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00 | .000 | .000 | .000 | 0 | 0 | 0 | 0 | 0 | 0 | ||
KBO 통산 : 1년 | 1 | 1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00 | .000 | .000 | .000 | 0 | 0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