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 및 배경
김미현은 인천광역시에서 태어났으며,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했다.
1.1. 어린 시절과 교육
김미현은 1977년 1월 13일 인천광역시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성균관대학교에 진학하여 학업을 마쳤다.
1.2. 별명과 신체적 특징
김미현은 155cm의 작은 키 때문에 '땅콩'(Peanut피넛영어)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러한 작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성적을 거두면서 '슈퍼땅콩'(Super Peanut슈퍼 피넛영어)이라는 별명이 추가되었다. LPGA 투어의 다른 선수들은 그녀를 친근하게 '키미'(Kimmie키미영어)라고 불렀다. 그녀의 스윙은 한때 비정상적으로 긴 백스윙이 특징이었으나, 최근 몇 년 동안은 짧아진 경향을 보였다.

2. 프로 경력
김미현은 1996년 프로 골퍼로 데뷔하여 한국과 미국 무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수많은 업적을 남겼다.
2.1. 초기 경력 및 KLPGA
김미현은 1996년 프로로 전향한 후 KLPGA 투어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1994년 톰보이 여자 오픈에서 아마추어 신분으로 우승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1995년 휠라 코리아 여자 오픈에서도 아마추어 자격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부터 2000년 사이에 KLPGA 대회에서 총 11번의 우승을 포함하여 총 13승을 기록했다.
번호 | 날짜 | 대회명 | 우승 스코어 | 파 대비 | 우승 타수 | 준우승자 |
---|---|---|---|---|---|---|
1 | 1994년 4월 30일 | 톰보이 여자 오픈 (아마추어) | 72-74-72=218 | +2 | 2타 | 강수연 (아마추어) |
2 | 1995년 7월 15일 | 휠라 코리아 여자 오픈 (아마추어) | 71-71-68=210 | -6 | 2타 | 박세리 (아마추어) |
3 | 1996년 6월 29일 | 미도파 여자 오픈 | 69-69=138 | -6 | 2타 | 송채은, 하난경 |
4 | 1996년 8월 18일 | 한국석유공사 초청 대회 | 67-74-65=206 | -10 | 2타 | 박세리 |
5 | 1996년 10월 25일 | LG패션컵 한국여자오픈 | 70-74-72=216 | E | 2타 | 박세리 |
6 | 1997년 8월 31일 | 한국석유공사 초청 대회 | 71-74-68=213 | -3 | 1타 | 정일미 |
7 | 1997년 9월 7일 | FILA 여자 오픈 | 73-68-70=211 | -10 | 1타 | 박지은 (아마추어) |
8 | 1997년 9월 13일 | 라코스테 SBS 챔피언스 | 73-75-74=222 | +6 | 3타 | 한지연, 서아람 |
9 | 1998년 5월 9일 | 카네이션 여자 오픈 | 70-73-67=210 | -6 | 7타 | 장정 (아마추어) |
10 | 1998년 9월 11일 | SBS 챔피언스 | 72-74-74=220 | +4 | 플레이오프 | 정일미 |
11 | 1998년 11월 1일 | KLPGA 챔피언십 | 72-76-71=219 | +3 | 2타 | 서지현 |
12 | 2000년 10월 29일 | 스포츠서울 현대증권 여자 오픈 | 71-68-68=207 | -9 | 4타 | 로라 데이비스 |
13 | 2000년 12월 3일 | 파라다이스 여자 오픈 | 71-73-63=207 | -9 | 10타 | 정일미 |
2.2. LPGA 투어
김미현은 1999년 LPGA 투어에 합류하여 총 8번의 우승을 기록했다.
2.2.1. 신인상 수상
김미현은 LPGA 투어에 데뷔한 1999년, 그 해의 LPGA 투어 신인상을 수상하며 성공적인 미국 무대 첫 해를 보냈다.
2.2.2. LPGA 투어 우승
김미현은 LPGA 투어에서 8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2000년 세이프웨이 LPGA 골프 챔피언십, 2006년 제이미 파 오언스 코닝 클래식, 2007년 셈그룹 챔피언십에서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을 확정 지었다.
번호 | 날짜 | 대회명 | 우승 스코어 | 우승 타수 | 준우승자 |
---|---|---|---|---|---|
1 | 1999년 9월 6일 | 스테이트 팜 레일 클래식 | -12 (66-68-70=204) | 1타 | 재니스 무디, 펄 신 |
2 | 1999년 10월 10일 | 퍼스트 유니언 벳시 킹 클래식 | -8 (68-72-70-70=280) | 1타 | 베스 다니엘, 헬렌 돕슨, 제니 리드백 |
3 | 2000년 9월 24일 | 세이프웨이 LPGA 골프 챔피언십 | -1 (70-73-72=215) | 플레이오프 | 장정 |
4 | 2002년 7월 21일 | 자이언트 이글 LPGA 클래식 | -14 (65-68-69=202) | 1타 | 켈리 로빈스 |
5 | 2002년 8월 4일 | 웬디스 챔피언십 포 칠드런 | -8 (68-67-73=208) | 1타 | 한희원 |
6 | 2006년 4월 30일 | 긴 클럽스 & 리조트 오픈 | -12 (70-66-69-71=276) | 2타 | 로레나 오초아, 캐리 웹 |
7 | 2006년 7월 16일 | 제이미 파 오언스 코닝 클래식 | -18 (68-66-67-65=266) | 플레이오프 | 내털리 걸비스 |
8 | 2007년 5월 6일 | 셈그룹 챔피언십 | -3 (71-68-71=210) | 플레이오프 | 줄리 잉스터 |
2.3. 주요 선수권 대회
김미현은 LPGA 투어 메이저 대회에서 여러 차례 상위권에 오르며 꾸준한 기량을 선보였다.
2.3.1. 성적 요약
김미현은 메이저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하지는 못했지만, 2001년 위민스 브리티시 오픈에서 박세리에 이어 준우승을 기록하며 최고 성적을 달성했다. 그녀는 크래프트 나비스코 챔피언십에서 1회 탑5, 3회 탑10을 기록했고, LPGA 챔피언십에서는 1회 3위, 4회 탑10을 기록했다. US 여자 오픈에서는 1회 탑5, 3회 탑10에 들었으며, 2001년부터 메이저 대회로 편입된 위민스 브리티시 오픈에서는 1회 준우승을 기록했다.
대회 | 우승 | 2위 | 3위 | 탑5 | 탑10 | 탑25 | 출전 횟수 | 컷 통과 횟수 |
---|---|---|---|---|---|---|---|---|
크래프트 나비스코 챔피언십 | 0 | 0 | 0 | 1 | 3 | 5 | 12 | 12 |
LPGA 챔피언십 | 0 | 0 | 1 | 1 | 4 | 6 | 13 | 12 |
US 여자 오픈 | 0 | 0 | 0 | 1 | 3 | 5 | 11 | 9 |
듀 모리에 클래식 | 0 | 0 | 0 | 0 | 1 | 1 | 2 | 2 |
위민스 브리티시 오픈 | 0 | 1 | 0 | 1 | 1 | 2 | 10 | 4 |
합계 | 0 | 1 | 1 | 4 | 12 | 19 | 48 | 39 |
2.4. 팀 참가 경력
김미현은 아마추어 시절인 1994년에 에스피리토 산토 트로피에 대한민국 대표로 참가했다.
3. 개인사
김미현은 결혼과 이혼을 겪었으며, 슬하에 아들을 두고 있다.
3.1. 결혼과 가족
김미현은 2008년 12월 전 유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이원희와 결혼했다. 2009년 11월에는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아들 이예성을 낳았다.
3.2. 이혼
김미현과 이원희는 2012년에 이혼했다. 2012년에 이혼설이 불거졌으나, 2015년에 김미현이 아들과 함께 TV 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 이혼설이 불식되는 듯했다. 하지만 2018년 이원희의 이혼 및 재혼 소식이 알려지면서 두 사람의 정확한 이혼 시기가 드러났다. 현재 아들 이예성은 김미현이 양육하고 있다.
4. 은퇴 후 활동
김미현은 프로 골프 선수 생활을 마친 후에도 골프계와 방송계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4.1. 방송 및 해설
김미현은 2012년 10월 LPGA 하나외환 챔피언십을 마지막으로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은퇴 후에는 골프 해설가로 변신하여 2016년 하계 올림픽과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KBS 골프 해설위원으로 활동했다. 또한 TV조선의 스포츠 예능 프로그램인 골프왕의 메인 MC를 맡아 대중과 소통했다.
4.2. 골프 지도
현재 김미현은 대한민국에서 골프를 지도하고 있다. 그녀의 아버지가 건립한 골프 교육 및 연습 시설은 '김미현 골프 월드'(Mi-Hyun Kim Golf World미현 김 골프 월드영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다.
5. 자선 활동
김미현은 2007년 5월 셈그룹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받은 상금 21.00 만 USD 중 10.00 만 USD를 캔자스주 그린스버그를 강타한 토네이도 피해자들을 위해 기부했다. 그녀는 그린스버그나 그 주민들과 아무런 연고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기부를 결정했다. 그녀는 "솔직히 LPGA 투어에서 미국에서 많은 돈을 벌었다. 대부분의 경우 여기서 번 돈을 한국에 기부했지만, 이곳 사람들도 돕고 싶다"며 "이번 우승은 나에게도 놀라운 일이었고, 신이 나에게 특별한 선물처럼 주셨거나, '내가 너에게 이걸 주지만, 그 후에는 사람들을 돕는 데 사용하라'고 나를 사용하고 계신다고 생각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1년 후인 2008년 셈그룹 챔피언십 전야에 캔자스주 위치타의 유나이티드 웨이 오브 더 플레인스 회장은 김미현과 함께 기자회견에 참석하여 그녀에게 공개적으로 감사를 표하고, 김미현의 기부가 추가로 120.00 만 USD의 기부를 촉발했으며 이 돈이 토네이도로 인해 이재민이 된 저소득층 및 중산층을 위한 주택 25채를 짓는 데 사용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6. 유산 및 영향력
김미현은 한국 여자 골프의 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서울 시스터즈'의 일원으로서 그 중요성이 높이 평가된다.
6.1. "서울 시스터즈"
김미현은 박세리, 박지은, 한희원과 함께 '서울 시스터즈'(Seoul Sisters서울 시스터즈영어)로 불리며 LPGA 투어에서 활약한 한국 여자 골퍼들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이들은 LPGA 투어에서 한국의 뛰어난 여자 골프 선수들이 급증하는 데 큰 영감을 주었다.
6.2. 한국 골프에 미친 영향
김미현의 성공적인 프로 경력은 한국 여자 골프의 성장과 인기에 크게 기여했다. 그녀는 작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세계 무대에서 경쟁하며 한국의 많은 어린 골프 선수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었다. 그녀의 활약은 한국이 세계 여자 골프 강국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