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년 시절 및 청소년 경력

김기희는 1989년 7월 13일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 홀어머니 슬하에서 어려운 환경을 겪으며 성장했다. 학창 시절에는 덕천초등학교 (2001년 졸업), 장평중학교 (2002년~2004년), 그리고 부경고등학교 (2005년~2007년)를 거치며 축구 선수로서의 기량을 다졌다. 이후 2008년부터 2010년까지 홍익대학교에 재학하며 U리그에서 활동했다.
2. 프로 클럽 경력
김기희 선수는 대한민국, 카타르, 중화인민공화국, 미국 등 다양한 국가의 프로 축구 리그에서 활약하며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
2.1. 대구 FC
김기희는 홍익대학교 재학 중이던 2010년 11월 9일, 2011 K리그 신인 선수 선발 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지명을 통해 대구 FC에 입단했다. 그는 2011년 3월 5일, 2011 K리그 시즌 개막전인 광주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며 프로 데뷔전을 치렀으나, 팀은 2대3으로 패배했다.
입단 첫 해에는 주로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나, 당시 주전 센터백이었던 이상덕이 K리그 승부조작 사건으로 방출되자 그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센터백으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데뷔 시즌에는 총 12경기에 출전했다. 2012년 3월 31일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K리그 경기에서 후반 추가시간에 극적인 데뷔골을 터뜨리며 팀의 3대2 역전승에 기여했다.
2012년 9월 26일, 그는 승격팀인 카타르 스타스 리그 소속의 알사일리야로 1년 간 임대 이적했다. 당시 울리 슈틸리케 감독과 함께했다. 2013년 시즌 중에는 런던 올림픽에서의 활약으로 주가가 급등하며 소속팀 대구 FC가 완전 이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논란이 발생했다. 대구 FC가 김기희 본인의 동의 없이 전북 현대 모터스에 10.00 억 KRW 이상의 이적료 조건으로 이적을 합의한 사실이 알려지며 선수 본인도 모르는 이적이라는 비판이 일었다. 이후 김기희는 전북 현대 모터스로의 이적에 최종 합의했다.
2.2. 전북 현대 모터스
김기희는 2013년 7월 9일 K리그의 강팀인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했다. 그는 이 팀에서 활약하며 전북 현대 모터스가 2014년과 2015년 두 시즌 연속으로 K리그1 우승을 차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2.3. 상하이 선화
2016년 2월 19일, 김기희는 전북 현대 모터스를 떠나 중국 슈퍼리그의 상하이 선화로 이적했다. 당시 이적료는 약 600.00 만 USD로 알려졌으며, 이는 K리그에서 중국으로 이적한 선수 중 역대 최고 이적료를 기록한 것이었다. 그의 에이전트는 이를 "한국 축구 역사상 가장 큰 이적"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2016년 3월 5일, 옌볜 푸더와의 경기에서 1대1 무승부를 기록하며 팀 데뷔전을 치렀다. 이후 상하이 선화의 2017년 중국 FA컵 우승을 이끌며 팀의 중요한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2.4. 시애틀 사운더스 FC (1차)
2018년 2월 27일, 김기희는 미국 메이저 리그 사커 (MLS) 소속의 시애틀 사운더스 FC에 합류했다. 당시 그는 타겟 할당금(Targeted Allocation Money)을 통해 영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2019년 시즌에 시애틀 사운더스 FC가 MLS컵에서 우승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2019년 시즌 종료 후, 그는 2020년 시즌을 앞두고 시애틀 사운더스 FC와 재계약을 논의했으나, 재정적인 조건에 합의하지 못하여 팀을 떠나게 되었다.
2.5. 울산 현대
2020년 2월 26일, 김기희는 K리그1의 울산 현대로 이적하며 5년 만에 국내 무대로 복귀했다.
2020년 6월 28일 K리그1 9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경기에서 김보경 선수의 발목을 향해 위험한 태클을 가해 퇴장당했으며, 이로 인해 2020년 7월 9일 한국프로축구연맹 상벌위원회로부터 300.00 만 KRW의 제재금 징계를 받았다. 이 사건 이후, 현대가 더비에서 치명적인 실수를 저질러 팀 패배의 원흉으로 지목되는 등 힘든 시기를 겪기도 했다. 그러나 AFC 챔피언스리그에서는 상하이 선화를 상대로 1골을 기록하는 등 준수한 활약을 펼치며 울산 현대를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정상으로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23년 9월 16일, 대전 하나 시티즌과의 경기를 앞두고 진행된 주장단 변경에서 정승현 선수 대신 울산 현대의 제21대 주장으로 정식 임명되었다. 그러나 2023년 9월 30일 포항 스틸야드에서 열린 포항 스틸러스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상대 응원 관중을 향해 부적절한 행동을 보여 논란이 되었다. 이로 인해 그는 500.00 만 KRW의 징계를 받기도 했다.
김기희는 2024년 시즌에도 울산 현대의 주장직을 연임하며 K리그1 3연패 달성에 크게 기여했다. 시즌 종료 후 울산 현대와 결별하고 팀을 떠났다.
2.6. 시애틀 사운더스 FC (2차)
2025년 1월 28일, 김기희는 1년 계약과 다음 시즌 옵션이 포함된 조건으로 자신의 전 소속팀인 메이저 리그 사커의 시애틀 사운더스 FC로 복귀했다. 그는 팀이 여러 대회에 참가하는 상황에서 주전 센터백들의 로테이션 선수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3. 국가대표팀 경력
김기희 선수는 대한민국의 U-23 축구 국가대표팀과 성인 국가대표팀을 오가며 국제 무대에서 활약했다.
3.1. 올림픽
2011년, 김기희는 2012년 킹스컵에 참가하는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 이듬해 2012년 6월 7일 시리아와의 평가전에서 두 골을 기록하며 활약을 펼쳤다.
본래 2012년 런던 올림픽 최종 명단에는 포함되지 않고 예비 명단에 있었으나, 장현수 선수의 부상으로 인해 최종 명단에 극적으로 합류하게 되었다. 그는 런던 올림픽 본선 경기에서 출전하지 못하다가, 동메달 결정전이었던 일본과의 경기에서 후반 추가시간에 구자철 선수와 교체 출전하며 약 4분간 경기에 뛰었다. 이 짧은 출전으로 그는 동메달을 획득하게 되었고, 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최초의 올림픽 메달이라는 영광을 안았다. 당시 1초라도 경기에 뛰지 않으면 병역 특례를 받을 수 없었기 때문에, 그의 4분 출전은 '4분 전역'이라는 별명으로 회자되기도 했다.
3.2. 성인 국가대표팀
김기희는 2015년 7월 20일 발표된 2015년 EAFF 동아시안컵에 참가하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최종 명단에 포함되었다. 그는 이 대회를 통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4. 성과 및 수상
김기희 선수는 다양한 소속팀과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많은 우승과 개인적인 영예를 얻었다.
4.1. 클럽 성과
- 전북 현대 모터스
- K리그1: 2014 (우승), 2015 (우승), 2013 (3위)
- 코리아컵: 2013 (준우승), 2014 (4강)
- 상하이 선화
- 중국 슈퍼리그: 2016 (4위)
- 중국 FA컵: 2017 (우승), 2016 (4강)
- 시애틀 사운더스 FC
- MLS컵: 2019 (우승)
- 울산 HD
- K리그1: 2022 (우승), 2023 (우승), 2024 (우승), 2020 (준우승), 2021 (준우승)
- 코리아컵: 2020 (준우승), 2021 (4강), 2022 (4강)
- AFC 챔피언스리그: 2020 (우승), 2021 (4강)
4.2. 국가대표팀 성과
- 대한민국 U-23
- 하계 올림픽: 2012 (동메달)
- 대한민국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15 (우승)
4.3. 개인 수상
- K리그1 베스트 11: 2015, 2024
5. 논란
김기희는 프로 경력 중 두 차례의 주요 논란에 연루되었다.
- 김보경 태클 사건:** 2020년 6월 28일 K리그1 9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경기에서 김보경 선수의 발목을 향해 위험한 태클을 가해 퇴장당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2020년 7월 9일 한국프로축구연맹 상벌위원회로부터 300.00 만 KRW의 제재금 징계를 받았다.
- 포항 원정 응원 관중 자극 사건:** 2023년 9월 30일 포항 스틸야드에서 열린 포항 스틸러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상대 팀의 응원 관중을 향해 부적절한 행동을 보여 논란이 되었다. 이로 인해 그는 500.00 만 KRW의 징계를 받았다.
6. 경력 통계
클럽 경력 | 리그 | 컵 | 리그컵 | 대륙 대항전 | 기타 | 총계 | ||||||||
---|---|---|---|---|---|---|---|---|---|---|---|---|---|---|
시즌 | 소속팀 | 리그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대한민국 | 리그 | 코리아컵 | K리그컵 | 아시아 | 기타 | 총계 | ||||||||
2011 | 대구 FC | K리그1 | 12 | 0 | 0 | 0 | 2 | 0 | - | - | - | - | 14 | 0 |
2012 | 17 | 2 | 0 | 0 | 0 | 0 | - | - | - | - | 17 | 2 | ||
카타르 | 리그 | 컵 | 리그컵 | 아시아 | 기타 | 총계 | ||||||||
2012-13 | 알사일리야 | 카타르 스타스 리그 | 20 | 0 | 0 | 0 | 0 | 0 | - | - | - | - | 20 | 0 |
대한민국 | 리그 | 코리아컵 | 리그컵 | 아시아 | 기타 | 총계 | ||||||||
2013 | 전북 현대 모터스 | K리그1 | 19 | 0 | 3 | 1 | - | - | 0 | 0 | - | - | 22 | 1 |
2014 | 28 | 0 | 1 | 0 | - | - | 7 | 0 | - | - | 36 | 0 | ||
2015 | 33 | 0 | 1 | 0 | - | - | 8 | 1 | - | - | 42 | 1 | ||
중화인민공화국 | 리그 | 중국 FA컵 | 리그컵 | 아시아 | 기타 | 총계 | ||||||||
2016 | 상하이 선화 | 중국 슈퍼리그 | 30 | 0 | 3 | 0 | - | - | - | - | - | - | 33 | 0 |
2017 | 15 | 1 | 1 | 1 | - | - | 1 | 0 | - | - | 17 | 2 | ||
미국 | 리그 | US 오픈컵 | 리그컵 | 북미 | 기타 | 총계 | ||||||||
2018 | 시애틀 사운더스 FC | 메이저 리그 사커 | 29 | 0 | 0 | 0 | - | - | 2 | 0 | 11 | 0 | 32 | 0 |
2019 | 30 | 0 | 0 | 0 | - | - | - | - | 41 | 0 | 34 | 0 | ||
대한민국 | 리그 | 코리아컵 | 리그컵 | 아시아 | 기타 | 총계 | ||||||||
2020 | 울산 현대 | K리그1 | 12 | 0 | 2 | 0 | - | - | 8 | 1 | - | - | 22 | 1 |
2021 | 36 | 1 | 2 | 0 | - | - | 8 | 0 | 22 | 1 | 48 | 2 | ||
2022 | 13 | 0 | 2 | 0 | - | - | 0 | 0 | - | - | 15 | 0 | ||
경력 총계 | 294 | 4 | 15 | 2 | 2 | 0 | 34 | 2 | 7 | 1 | 352 | 9 |
- 1 MLS컵 플레이오프 출전 기록
- 2 FIFA 클럽 월드컵 출전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