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초년
히가시후시미노미야 요리히토 친왕은 일본 황실의 방계 가문으로 태어나 여러 황족 가문에 입양되며 성장했으며, 하와이 왕국과의 국제적인 혼담 제안도 있었다.
1.1. 출생과 가계
요리히토 친왕은 1867년 9월 19일, 일본 황실의 4대 친왕가 중 하나이자 천황 계승 자격을 갖는 신노케(親王家신노케일본어)인 후시미노미야 가문의 제17왕자이자 후시미노미야 구니이에 친왕의 늦둥이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본명은 후시미 사다마로 왕이었다.
그는 육군 원수 고마쓰노미야 아키히토 친왕,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 기타시라카와노미야 요시히사 친왕, 가이닌노미야 고토히토 친왕, 후시미노미야 사다나루 친왕의 이복동생이었다.
1.2. 입양과 가문 계승
요리히토 친왕은 어린 시절 여러 황족 가문에 입양되는 과정을 거쳤다. 1869년 (메이지 2년) 2월에는 그의 형인 야마시나노미야 아키라 친왕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1885년 12월에는 다시 고마쓰노미야 아키히토 친왕의 양자가 되었다.
1886년 (메이지 19년) 5월, 그는 메이지 천황의 양자이자 잠재적 황위 계승자로 입양되었고, 이때 친왕 선하(親王宣下신노 센카일본어)를 받아 이름이 요리히토로 바뀌었다. 이는 일본 역사상 친왕 선하를 받은 마지막 사례였다.
이후 1903년 2월 3일, 초대 히가시후시미노미야였던 고마쓰노미야 아키히토 친왕(이전에 히가시후시미노미야 요시히사 친왕으로 불리기도 했음)이 사망하자, 고마쓰노미야 아키히토 친왕의 뜻에 따라 요리히토 친왕은 새로이 창설된 히가시후시미노미야 가문을 계승하며 2대이자 마지막 당주가 되었다. 일본 기록에 따르면 요리히토 친왕은 생전에 아키히토 친왕과 사이가 좋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 하와이 왕국과의 혼담
1881년, 하와이 왕국의 마지막 군주인 데이비드 칼라카우아 국왕이 일본을 방문했다. 이는 일본 역사상 외국 국가 원수의 첫 방문이었다. 칼라카우아 국왕은 아카사카 이궁에서 메이지 천황과 회담하면서 몇 가지 제안을 했는데, 그중 하나가 당시 5세였던 자신의 조카 카이울라니 공주와 당시 야마시나노미야 사다마로 왕으로 불리던 13세의 요리히토 친왕과의 혼담이었다.
그러나 메이지 유신 이후 국력 증강에 힘쓰던 메이지 신정부는 이러한 제안을 받아들일 여력이 없었고, 하와이 왕국이 서구화되어가는 과정에서 이 혼담이 미국과의 잠재적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판단하에 이를 거절했다. 이 혼담의 거절은 이후 하와이 왕국의 운명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을 수 있는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된다.
2. 군사 및 외교 경력
히가시후시미노미야 요리히토 친왕은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으로서 다양한 직책을 역임하며 주요 전쟁에 참전했고, 황족으로서 일본을 대표하여 외교 활동에도 참여했다.

2.1. 교육과 초기 복무
요리히토 친왕은 일본 해군병학교에 잠시 예과생으로 입학했으나, 곧 영국으로 유학을 떠나 다트머스 해군사관학교에서 수학했다. 1887년부터 1890년까지는 프랑스에 머무르며 에콜 나발을 졸업했다. 1890년 8월에는 해군 소위로 임관되었고, 1891년 10월 7일 일본으로 귀국한 뒤부터 해군 군인으로서 본격적인 경력을 시작했다. 귀국 후 그는 여러 일본 제국 해군 함선에서 복무했다.
2.2. 주요 참전 및 승진
요리히토 친왕은 군인으로서 주요 전투에 참전했다. 그는 청일전쟁 당시 순양함 '나니와'의 분대장 대리로서 전투 임무에 참여했다. 1901년에는 철갑함 '후소'의 부장으로 근무했다.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1905년 1월 12일부터 순양함 '지요다'의 함장을 맡았고, 이후 순양함 '다카치호'의 함장으로서도 전투에 참여했다. 러일전쟁에서의 전공을 인정받아 그는 1906년 4월 1일 금치훈장 공3급을 수여받았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순양함 '가스가'의 함장으로 복무했으며, 1906년에는 해군 군령부에 합류했다.
그는 1909년 12월 1일 해군 소장으로 승진했고, 1913년 8월 31일에는 해군 중장으로, 그리고 1918년 7월 2일에는 해군 대장으로 최종 승진했다.

2.3. 주요 직책 및 외교 활동
요리히토 친왕은 해군에서의 복무 외에도 황족으로서 중요한 직책을 역임하고 외교 활동에 참여했다. 1911년 6월 30일, 그는 도고 헤이하치로와 노기 마레스케를 대동하고 영국 국왕 조지 5세의 대관식에 메이지 천황의 대표로 참석했다.
1913년 8월에는 제국 수난구제회 총재를 맡았으며, 같은 해 해군 장관 회의 의원이 되었다. 1916년 12월 1일에는 요코스카 진수부 사령장관에 임명되었고, 1917년 12월 1일에는 제2함대 사령장관을 역임했다. 1918년 7월 2일 해군 대장으로 승진하며 군사참의관에 임명되었다. 그는 또한 대일본수산회 총재와 일불협회 명예총재를 지내기도 했다.
1918년부터 1919년까지 마지막으로 영국을 방문하여, 조지 5세 국왕에게 원수 칭호와 관련 휘장 및 검을 증정했고, 국왕으로부터 로열 빅토리아 체인을 수여받았다.
3. 사생활
요리히토 친왕의 사생활은 그의 두 번의 결혼과 자녀가 없었던 점, 그리고 이로 인한 히가시후시미노미야 가문의 단절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3.1. 결혼과 자녀
요리히토 친왕은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결혼은 1892년 7월 7일, 도사번의 번주였던 야마우치 도요시게의 셋째 딸 야에코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결혼은 1896년 4월 30일에 이혼으로 끝났으며, 야에코는 이후 아키모토 오키토모 자작과 재혼했다.
두 번째 결혼은 1898년 2월 10일, 공작 이와쿠라 도모사다의 장녀이자 이와쿠라 도모미의 손녀인 이와쿠라 가네코와 이루어졌다. 요리히토 친왕과 가네코 친왕비 사이에는 친자녀가 없었다.

3.2. 히가시후시미노미야 가문의 단절
요리히토 친왕 부부가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요리히토 친왕이 사망하면서 히가시후시미노미야 가문의 직계 혈통은 단절되었다.
그러나 1919년부터 요리히토 친왕은 구니노미야 구니히코 왕의 셋째 아들인 구니히데 왕을 자신의 저택으로 맞아들여 양자처럼 양육했다. 요리히토 친왕 사망 시에는 구니히데 왕이 장례식의 상주를 맡기도 했다.
1931년, 히로히토 천황은 단절된 히가시후시미노미야 가문의 명칭이 사라지는 것을 막기 위해 구니히데 왕에게 황족 신분을 벗고 동복시미 구니히데 백작(東伏見邦英히가시후시미 쿠니히데일본어)으로 신적강하하도록 지시했다. 이는 화족 제도 하의 백작으로 편입되는 것이었으며, 구니히데는 이후 교토 쇼렌인 몬제키의 주지가 되어 히가시후시미 지자쿠라는 법명을 사용했다.
한편, 히가시후시미노미야 가네코 비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인 1947년 10월 14일, 연합군 최고사령부의 지시로 황족의 방계 가문들이 폐지되면서 일반 평민 신분이 되었다. 그녀는 1955년 도쿄에서 사망했다.
4. 사망 및 사후 예우
히가시후시미노미야 요리히토 친왕은 짧지 않은 생애를 마치고 사망한 후, 일본 정부로부터 최고 수준의 명예로운 칭호를 추서받았다.
4.1. 사망
요리히토 친왕은 1922년 6월 27일에 5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4.2. 사후 예우와 칭호
요리히토 친왕은 사망과 동시에 최고의 예우를 받았다. 그는 원수 계급과 대훈위 국화장경식(大勲位菊花章頸飾다이쿤이 기쿠카쇼케이쇼쿠일본어)을 추서받았다. 대훈위 국화장경식은 일본의 최고 훈장인 대훈위 국화대수장보다 한 단계 더 높은 최고의 영예이며, 원수 계급은 일본군에서 군인으로서 받을 수 있는 최고의 명예로운 칭호였다.
5. 연보
연도 | 월일 | 내용 |
---|---|---|
1867년 | 9월 19일 | 후시미노미야 구니이에 친왕의 17번째 왕자로 출생. 본명은 사다마로. |
1869년 | 2월 24일 | 야마시나노미야 아키라 친왕의 양자가 됨. |
1877년 | 3월 1일 | 일본 해군병학교 예과생으로 입학. |
1881년 | 하와이 왕국의 데이비드 칼라카우아 국왕이 방문하여 혼담 제안. | |
1884년 | 4월 27일 | 영국 유학을 위해 출국. |
1885년 | 12월 2일 | 고마쓰노미야 아키히토 친왕의 양자가 됨. |
1886년 | 5월 1일 | 메이지 천황의 양자이자 친왕 선하를 받아 요리히토로 개명. |
1887년 | 7월 | 프랑스로 건너가 에콜 나발 입학. |
1889년 | 7월 15일 | 대훈위 국화대수장 수여. |
1890년 | 2월 | 귀족원 의원 (명목상). |
7월 26일 | 에콜 나발 졸업. | |
8월 14일 | 해군 소위로 임관. | |
1891년 | 10월 7일 | 일본으로 귀국. |
1892년 | 3월 27일 | '다카치호' 분대사. |
7월 7일 | 야마우치 야에코와 결혼. | |
9월 28일 | '나니와' 분대사. | |
1893년 | 6월 22일 | 구미 파견. |
1894년 | 8월 3일 | 귀국. |
10월 5일 | '나니와' 분대장 대리. | |
12월 9일 | 해군 대위, '나니와' 분대장. | |
1895년 | 7월 29일 | 요코스카 수뢰대 부설부 분대장. |
11월 27일 | '지요다' 분대장. | |
1896년 | 4월 30일 | 야마우치 야에코와 이혼. |
1897년 | 4월 30일 | 군령부 첩보과원. |
1898년 | 2월 10일 | 이와쿠라 가네코와 결혼. |
4월 19일 | '마쓰시마' 분대장. | |
9월 1일 | '다카사고' 분대장. | |
1899년 | 9월 29일 | 해군 소좌, '야시마' 분대장. |
1901년 | 1월 22일 | '아즈마' 분대장. |
12월 12일 | '후소' 부장. | |
1902년 | 5월 23일 | 해군대학교 임시 강습원. |
1903년 | 1월 31일 | 히가시후시미노미야 가문 창설 및 계승. |
9월 26일 | 해군 중좌, 해군대학교 선과학생. | |
12월 18일 | '지요다' 부장. | |
1905년 | 1월 12일 | 해군 대좌, '지요다' 함장. |
12월 20일 | '다카치호' 함장. | |
1906년 | 4월 1일 | 공3급 금치훈장 수여, 메이지 37, 38년 종군기장 수여. |
4월 7일 | '가스가' 함장. | |
12월 24일 | 군령부 출사. | |
1909년 | 12월 1일 | 해군 소장으로 승진. |
1911년 | 6월 30일 | 영국 국왕 조지 5세 대관식에 메이지 천황 대표로 참석. |
12월 1일 | 요코스카 예비함대 사령관. | |
1913년 | 4월 1일 | 요코스카 진수부 함대 사령관. |
6월 23일 | 의정관. | |
8월 | 제국 수난구제회 총재. | |
8월 31일 | 해군 중장으로 승진, 해군 장관 회의 의원, 군령부 출사. | |
1915년 | 11월 7일 | 금배 1조 및 대정 3,4년 종군기장 수여. |
1916년 | 12월 1일 | 요코스카 진수부 사령장관 임명, 해군 장관 회의 의원. |
1917년 | 12월 1일 | 제2함대 사령장관 임명. |
1918년 | 6월 13일 | 해군 장관 회의 의원. |
7월 2일 | 해군 대장으로 승진, 군사참의관 임명. | |
9월 26일 | 영국 파견. | |
1919년 | 1월 7일 | 귀국. |
10월 26일 | 구니히데 왕을 히가시후시미노미야 저택으로 맞이함. | |
1920년 | 11월 1일 | 금배 1조 및 대정 3~9년 전역 종군기장 수여. |
1922년 | 6월 27일 | 56세로 사망. 원수 및 대훈위 국화장경식 추서. |
6. 평가 및 영향
히가시후시미노미야 요리히토 친왕은 일본 황실의 일원으로서 그리고 일본 제국 해군의 고위 장성으로서 일본의 근대화와 국력 신장에 기여했다. 그의 군사 경력은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이라는 중요한 시기에 활약했으며, 그의 승진 과정은 일본 해군 내에서의 그의 지위와 능력 인정에 대한 증거로 볼 수 있다. 특히, 그는 해군 대장과 원수 계급에까지 오르며 일본 해군의 최고위직을 달성했다.
외교적으로도 그는 영국 국왕 대관식에 메이지 천황의 대표로 참석하는 등 일본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그의 영국 방문은 일본과 서구 열강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상징적인 행위였다.
개인적으로는 자녀가 없어 가문의 직계가 단절되는 아쉬움이 있었으나, 황실의 배려로 히가시후시미라는 명칭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그의 가문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을 막았다. 요리히토 친왕의 생애는 일본이 근대 국가로 발전하고 해외로 영향력을 확장하던 격동의 시기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