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주니어 경력
이 섹션에서는 호리아 테카우의 출생 배경과 주니어 시절의 주요 테니스 경력을 다룬다.
1.1. 출생 및 성장 배경
호리아 테카우는 1985년 1월 19일 루마니아 콘스탄차에서 태어났다. 그는 오른손잡이이며 양손 백핸드를 구사한다. 신장은 1.93 m이다. 테카우는 7세부터 테니스를 시작했다.
1.2. 주니어 경력
테카우는 주니어 시절부터 복식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플로린 메르자와 파트너를 이루어 2002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주니어 남자 복식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듬해인 2003년 윔블던 주니어 남자 복식에서도 다시 한번 우승하며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2002년 호주 오픈 주니어 남자 복식에서는 메르자와 함께 결승에 진출했으나 기권패로 준우승했고, 2003년 호주 오픈 주니어 남자 복식에서도 준우승을 기록했다.
2. 프로 경력
이 섹션에서는 호리아 테카우의 프로 데뷔 이후 주요 경력과 그가 달성한 주요 대회 우승 및 준우승 기록, 그리고 최고 랭킹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2.1. 프로 데뷔 및 초기 경력
테카우는 2003년에 프로로 전향했다. 그는 프로 선수 생활 내내 복식에 집중했으며, 그랜드 슬램 남자 단식 본선에는 한 번도 출전하지 않았다. 2010년 1월 16일, 테카우는 마커스 다니엘과 팀을 이루어 오클랜드 오픈에서 첫 ATP 투어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0년 초반부터 그는 로베르트 린드스테트와 파트너십을 맺고 좋은 성적을 거두기 시작했다. 두 사람은 마라케시와 카사블랑카에서 챌린저 및 ATP 투어 250 시리즈 타이틀을 획득하며 기세를 올렸다. 2010년 6월에는 스헤르토헨보스에서 세 번째 복식 타이틀을 따냈고, 린드스테트와는 두 번째 우승이었다. 같은 해 7월 윔블던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에서 생애 첫 그랜드 슬램 복식 결승에 진출했으나, 위르겐 멜처와 필립 페츠슈너 조에 패해 준우승했다.

2010년 US 오픈에서는 3회전에 진출했다. 2010년 스웨디시 오픈과 코네티컷 오픈에서도 린드스테트와 함께 우승하며 총 5개의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1년 시즌은 브리즈번 국제 결승 진출로 시작했으나, 린드스테트의 부상으로 기권패했다. 이후 린드스테트의 회복을 위해 딕 노먼과 잠시 파트너를 이루어 자그레브 인도어에서 우승했다. 줄리언 놀과 아이삼 울하크 쿠레시와도 잠시 호흡을 맞춘 뒤, 동료 루마니아 선수인 빅토르 하네스쿠와 함께 멕시칸 오픈에서 500 시리즈 타이틀을 획득했다. 4월에는 린드스테트와 함께 그랑프리 하산 2세 타이틀을 방어했다. 2011년 윔블던에서도 린드스테트와 2년 연속 결승에 진출했으나, 브라이언 형제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1년 스웨디시 오픈에서도 우승하며 타이틀을 방어했다.
2012년 1월 29일, 테카우는 베서니 마텍샌즈와 함께 호주 오픈 혼합 복식 결승에서 우승하며 첫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 린드스테트와는 남자 복식 준결승에 진출했다. 두 사람은 마드리드 오픈에서 처음으로 ATP 투어 마스터스 1000 결승에 진출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아드리안 운구르와 팀을 이루어 남자 복식 1회전에서 패했으며, 루마니아 선수단 기수를 맡기도 했다. 2012년 8월, 테카우와 린드스테트는 신시내티 마스터스에서 마스터스 1000 타이틀을 획득하며 함께 이룬 가장 큰 우승을 기록했다. 린드스테트와는 2012년 9월에 파트너십을 종료했으며, 이들은 3년 동안 총 10개의 타이틀을 함께 획득했다.
2013년에는 막스 미르니와 파트너를 이루어 5번의 결승에 진출하여 3개의 타이틀을 획득했다.
2.2. 주요 대회 우승 및 준우승
이 섹션에서는 테카우가 그랜드 슬램, ATP 파이널스, ATP 마스터스 1000, 올림픽 등 주요 대회에서 거둔 우승 및 준우승 기록을 상세히 다룬다.

2.2.1. 그랜드 슬램
테카우는 남자 복식에서 두 차례, 혼합 복식에서 한 차례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
- 2015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장 줄리앙 로저와 팀을 이루어 결승에서 제이미 머레이와 존 피어스 조를 7-6(7-5), 6-4, 6-4로 꺾고 우승했다.
- 2017년 US 오픈 (남자 복식)**: 장 줄리앙 로저와 다시 한번 팀을 이루어 결승에서 펠리시아노 로페스와 마르크 로페스 조를 6-4, 6-3으로 꺾고 우승했다.
- 2012년 호주 오픈 (혼합 복식)**: 베서니 마텍샌즈와 파트너를 이루어 결승에서 옐레나 베스니나와 리앤더 페이스 조를 6-3, 5-7, [10-3]으로 꺾고 우승했다.
그는 또한 여러 차례 그랜드 슬램 결승에 진출하여 준우승을 기록했다.
- 2010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로베르트 린드스테트와 함께 결승에서 위르겐 멜처와 필립 페츠슈너 조에 1-6, 5-7, 5-7로 패했다.
- 2011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로베르트 린드스테트와 함께 결승에서 브라이언 형제에게 3-6, 4-6, 6-7(2-7)로 패했다.
- 2012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로베르트 린드스테트와 함께 결승에서 조나단 머레이와 프레데리크 닐센 조에 6-4, 4-6, 6-7(5-7), 7-6(7-5), 3-6으로 패했다.
- 2014년 호주 오픈 (혼합 복식)**: 사니아 미르자와 함께 결승에서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와 다니엘 네스터 조에 3-6, 2-6으로 패했다.
- 2016년 호주 오픈 (혼합 복식)**: 코코 밴더웨이와 함께 결승에서 옐레나 베스니나와 브루노 소아레스 조에 4-6, 6-4, [5-10]으로 패했다.
2.2.2. ATP 파이널스
테카우는 2015년 ATP 파이널스 복식에서 장 줄리앙 로저와 함께 우승을 차지했다. 결승에서 로한 보판나와 플로린 메르자 조를 6-4, 6-3으로 꺾었다. 이 우승으로 테카우/로저 조는 2015년 시즌을 연간 팀 랭킹 1위로 마쳤다. 그는 2011년, 2012년, 2014년, 2017년, 2019년, 2021년에도 ATP 파이널스에 참가했으나, 라운드 로빈 단계에서 탈락했다.
2.2.3. ATP 마스터스 1000
테카우는 마스터스 1000 시리즈 대회에서 세 차례 우승하고 세 차례 준우승을 기록했다.
- 우승**:
- 2012년 신시내티 마스터스 (파트너: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2016년 마드리드 오픈 (파트너: 장 줄리앙 로저)
- 2019년 마드리드 오픈 (파트너: 장 줄리앙 로저)
- 준우승**:
- 2012년 마드리드 오픈 (파트너: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2016년 신시내티 마스터스 (파트너: 장 줄리앙 로저)
- 2018년 파리 마스터스 (파트너: 장 줄리앙 로저)
2.2.4. 올림픽 메달
테카우는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남자 복식에서 동료 루마니아 선수인 플로린 메르자와 팀을 이루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들은 결승에서 스페인의 마르크 로페스와 라파엘 나달 조에 2-6, 6-3, 4-6으로 패했다.
2.3. 경력 최고 랭킹
테카우는 2015년 11월 23일에 개인 최고 복식 세계 랭킹 2위를 달성했다. 단식 최고 랭킹은 2005년 4월 4일에 기록한 326위이다.
3. 경력 통계
이 섹션에서는 호리아 테카우의 통산 승률 및 타이틀 획득 현황, 총 상금, 그리고 주요 대회별 상세 성적을 포함한 종합적인 통계 자료를 제공한다.
3.1. 통산 승률 및 타이틀
테카우는 2003년 프로 전향 이후 총 38개의 ATP 투어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복식 통산 473승 286패를 기록했다. 단식에서는 0승 3패를 기록했다.
3.1.1. 남자 복식 그랜드 슬램 및 ATP 파이널스, 올림픽 성적
대회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SR | 승-패 | |
---|---|---|---|---|---|---|---|---|---|---|---|---|---|---|---|---|---|---|
그랜드 슬램 | ||||||||||||||||||
호주 오픈 | 불참 | 불참 | 3R | 2R | 1R | SF | 2R | 2R | SF | QF | 3R | 2R | 1R | 2R | 3R | 0 / 13 | 22-13 | |
프랑스 오픈 | 불참 | 2R | 2R | 1R | QF | 2R | 2R | 3R | SF | 2R | 3R | 불참 | QF | 3R | QF | 0 / 13 | 24-13 |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불참 | Q1 | 3R | F | F | F | 3R | 3R | W | 1R | 1R | 불참 | QF | 미개최 | 2R | 1 / 11 | 31-10 | |
US 오픈 | 불참 | 2R | 2R | 3R | QF | 3R | 1R | 3R | QF | 3R | W | 2R | 1R | SF | QF | 1 / 14 | 28-13 | |
승-패 | 0-0 | 2-2 | 6-4 | 8-4 | 11-4 | 12-4 | 4-4 | 7-4 | 16-3 | 6-4 | 10-3 | 2-2 | 6-4 | 6-3 | 9-4 | 2 / 51 | 105-49 | |
연말 챔피언십 | ||||||||||||||||||
ATP 파이널스 | 불참 | RR | RR | 불참 | RR | W | 불참 | RR | 불참 | 불참 | RR | 1 / 7 | 9-14 | |||||
국가대표 | ||||||||||||||||||
올림픽 테니스 | 미개최 | 불참 | 미개최 | 1R | 미개최 | F-S | 미개최 | 불참 | 0 / 2 | 4-2 |
3.1.2. 혼합 복식 그랜드 슬램 성적
대회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SR | 승-패 | 승률 | ||||
---|---|---|---|---|---|---|---|---|---|---|---|---|---|---|---|---|---|---|---|
그랜드 슬램 | |||||||||||||||||||
호주 오픈 | 불참 | SF | W | 1R | F | 1R | F | 2R | 불참 | 1R | 불참 | 불참 | 1 / 8 | 17-7 | 71% | ||||
프랑스 오픈 | 1R | 2R | 2R | 2R | 2R | SF | 1R | 불참 | 불참 | 불참 | 미개최 | 불참 | 0 / 7 | 7-7 | 50% |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2R | 불참 | 1R | QF | 2R | QF | 2R | 불참 | 불참 | 불참 | 미개최 | 불참 | 0 / 6 | 6-6 | 50% | ||||
US 오픈 | 1R | 1R | 1R | 1R | 1R | QF | 불참 | SF | 불참 | 불참 | 미개최 | 불참 | 0 / 7 | 5-7 | 42% | ||||
승-패 | 1-3 | 4-3 | 6-3 | 3-4 | 6-4 | 7-4 | 4-3 | 4-2 | 0-0 | 0-1 | 0-0 | 0-0 | 1 / 28 | 35-27 | 56% |
3.2. 총 상금
테카우는 프로 선수 생활 동안 총 588.27 만 USD의 상금을 획득했다.
3.2.1. 연도별 상금 및 랭킹
연도 | 그랜드 슬램 우승 | ATP 우승 | 총 우승 | 상금 (USD) | 상금 순위 |
---|---|---|---|---|---|
2003 | 0 | 0 | 0 | 3714 USD | 821 |
2004 | 0 | 0 | 0 | 1.74 만 USD | 414 |
2005 | 0 | 0 | 0 | 1.64 만 USD | 428 |
2006 | 0 | 0 | 0 | 1.44 만 USD | 501 |
2007 | 0 | 0 | 0 | 1.86 만 USD | 455 |
2008 | 0 | 0 | 0 | 4.79 만 USD | 310 |
2009 | 0 | 0 | 0 | 10.34 만 USD | 202 |
2010 | 0 | 5 | 5 | 24.18 만 USD | 116 |
2011 | 0 | 4 | 4 | 44.73 만 USD | 70 |
2012 | 0 | 4 | 4 | 49.80 만 USD | 61 |
2013 | 0 | 3 | 3 | 29.45 만 USD | 146 |
2014 | 0 | 8 | 8 | 51.90 만 USD | 100 |
2015 | 1 | 2 | 3 | 88.66 만 USD | 100 |
2016 | 0 | 2 | 2 | 44.21 만 USD | 100 |
2017 | 1 | 3 | 4 | 77.46 만 USD | 100 |
2018 | 0 | 2 | 2 | 37.19 만 USD | 130 |
2019 | 0 | 2 | 2 | 65.23 만 USD | 95 |
2020 | 0 | 0 | 0 | 15.64 만 USD | N/A |
2021 | 0 | 1 | 1 | 36.21 만 USD | 135 |
경력 총계 | 2 | 36 | 38 | 588.27 만 USD | 157 |
3.3. 기타 결승전 기록
이 섹션에서는 호리아 테카우가 ATP 투어, 챌린저, 퓨처스 대회 및 주니어 그랜드 슬램에서 기록한 결승전 성적을 상세히 기술한다.
3.3.1. ATP 투어 복식 결승전
결과 | No. | 결승일 | 대회 | 티어 | 서피스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
준우승 | 1. | 2009년 5월 27일 | 오스트리아 오픈 키츠뷔헬 | 250 시리즈 | 클레이 | 안드레이 파벨 | 마르셀로 메로 | 7-6(11-9), 2-6, [7-10] |
준우승 | 2. | 2009년 7월 13일 | 슈투트가르트 오픈 | 250 시리즈 | 클레이 | 빅토르 하네스쿠 | 프란티셰크 체르마크 | 5-7, 4-6 |
우승 | 1. | 2010년 1월 16일 | 오클랜드 오픈 | 250 시리즈 | 하드 | 마커스 다니엘 | 마르셀로 메로 | 7-5, 6-4 |
우승 | 2. | 2010년 4월 10일 | 그랑프리 하산 2세 | 250 시리즈 | 클레이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로한 보판나 | 6-2, 3-6, [10-7] |
우승 | 3. | 2010년 6월 19일 | 로스말렌 잔디 코트 챔피언십 | 250 시리즈 | 잔디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루카시 들로우히 | 1-6, 7-5, [10-7] |
준우승 | 3. | 2010년 7월 3일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그랜드 슬램 | 잔디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위르겐 멜처 | 1-6, 5-7, 5-7 |
우승 | 4. | 2010년 7월 18일 | 스웨디시 오픈 | 250 시리즈 | 클레이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안드레아스 세피 | 6-4, 7-5 |
우승 | 5. | 2010년 8월 28일 | 코네티컷 오픈 | 250 시리즈 | 하드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로한 보판나 | 6-4, 7-5 |
준우승 | 4. | 2011년 1월 9일 | 브리즈번 국제 | 250 시리즈 | 하드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루카시 들로우히 | 4-6, 기권 |
우승 | 6. | 2011년 2월 6일 | 자그레브 인도어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딕 노먼 | 마르셀 그라노예르스 | 6-3, 6-4 |
우승 | 7. | 2011년 2월 16일 | 멕시칸 오픈 | 500 시리즈 | 클레이 | 빅토르 하네스쿠 | 마르셀로 메로 | 6-1, 6-3 |
우승 | 8. | 2011년 4월 9일 | 그랑프리 하산 2세 | 250 시리즈 | 클레이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콜린 플레밍 | 6-2, 6-1 |
준우승 | 5. | 2011년 6월 18일 | 로스말렌 잔디 코트 챔피언십 | 250 시리즈 | 잔디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다니엘레 브라치알리 | 3-6, 6-2, [8-10] |
준우승 | 6. | 2011년 7월 2일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그랜드 슬램 | 잔디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보브 브라이언 | 3-6, 4-6, 6-7(3) |
우승 | 9. | 2011년 7월 17일 | 스웨디시 오픈 | 250 시리즈 | 클레이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시몬 아스펠린 | 6-3, 6-3 |
준우승 | 7. | 2011년 8월 7일 | 워싱턴 오픈 | 500 시리즈 | 하드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미카엘 로드라 | 7-6(9), 6-7(8), [7-10] |
준우승 | 8. | 2011년 10월 9일 | 차이나 오픈 | 500 시리즈 | 하드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미카엘 로드라 | 6-7(2), 6-7(4) |
준우승 | 9. | 2012년 2월 19일 | ABN 암로 세계 테니스 토너먼트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미카엘 로드라 | 6-4, 5-7, [14-16] |
우승 | 10. | 2012년 4월 29일 | 루마니안 오픈 | 250 시리즈 | 클레이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제레미 샤르디 | 7-6(2), 6-3 |
준우승 | 10. | 2012년 5월 13일 | 마드리드 오픈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마리우시 피르스텐베르크 | 3-6, 4-6 |
우승 | 11. | 2012년 6월 23일 | 로스말렌 잔디 코트 챔피언십 | 250 시리즈 | 잔디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후안 세바스티안 카발 | 6-3, 7-6(1) |
준우승 | 11. | 2012년 7월 8일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그랜드 슬램 | 잔디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조나단 머레이 | 6-4, 4-6, 6-7(5), 7-6(5), 3-6 |
우승 | 12. | 2012년 7월 15일 | 스웨디시 오픈 | 250 시리즈 | 클레이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알렉산더 페야 | 6-3, 7-6(5) |
우승 | 13. | 2012년 8월 19일 | 신시내티 마스터스 | 마스터스 1000 | 하드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마헤시 부파티 | 6-4, 6-4 |
준우승 | 12. | 2013년 1월 12일 | 시드니 국제 | 250 시리즈 | 하드 | 막스 미르니 | 보브 브라이언 | 4-6, 4-6 |
준우승 | 13. | 2013년 3월 3일 | 델레이 비치 오픈 | 250 시리즈 | 하드 | 막스 미르니 | 제임스 블레이크 | 4-6, 4-6 |
우승 | 14. | 2013년 4월 27일 | 루마니안 오픈 | 250 시리즈 | 클레이 | 막스 미르니 | 루카시 들로우히 | 4-6, 6-4, [10-6] |
우승 | 15. | 2013년 6월 22일 | 로스말렌 잔디 코트 챔피언십 | 250 시리즈 | 잔디 | 막스 미르니 | 안드레 베게만 | 6-3, 7-6(4) |
우승 | 16. | 2013년 10월 6일 | 차이나 오픈 | 500 시리즈 | 하드 | 막스 미르니 | 파비오 포니니 | 6-4, 6-2 |
우승 | 17. | 2013년 2월 9일 | 자그레브 인도어 | 250 시리즈 | 하드 (실내) | 장 줄리앙 로저 | 필립 마르크스 | 3-6, 6-4, [10-2] |
준우승 | 14. | 2014년 2월 16일 | ABN 암로 세계 테니스 토너먼트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장 줄리앙 로저 | 니콜라 마위 | 2-6, 6-7(4) |
우승 | 18. | 2014년 4월 12일 | 그랑프리 하산 2세 | 250 시리즈 | 클레이 | 장 줄리앙 로저 | 토마시 베드나레크 | 6-2, 6-2 |
우승 | 19. | 2014년 4월 27일 | 루마니안 오픈 | 250 시리즈 | 클레이 | 장 줄리앙 로저 | 마리우시 피르스텐베르크 | 6-4, 6-4 |
우승 | 20. | 2014년 6월 21일 | 로스말렌 잔디 코트 챔피언십 | 250 시리즈 | 잔디 | 장 줄리앙 로저 | 산티아고 곤살레스 | 6-3, 7-6(3) |
우승 | 21. | 2014년 8월 3일 | 워싱턴 오픈 | 500 시리즈 | 하드 | 장 줄리앙 로저 | 샘 그로스 | 7-5, 6-4 |
우승 | 22. | 2014년 9월 28일 | 선전 오픈 | 250 시리즈 | 하드 | 장 줄리앙 로저 | 샘 그로스 | 6-4, 7-6(4) |
우승 | 23. | 2014년 10월 5일 | 차이나 오픈 | 500 시리즈 | 하드 | 장 줄리앙 로저 | 줄리앙 베네토 | 6-7(6), 7-5, [10-5] |
우승 | 24. | 2014년 10월 26일 | 발렌시아 오픈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장 줄리앙 로저 | 케빈 앤더슨 | 6-4, 6-2 |
준우승 | 15. | 2015년 1월 17일 | 시드니 국제 | 250 시리즈 | 하드 | 장 줄리앙 로저 | 로한 보판나 | 4-6, 6-7(5) |
우승 | 25. | 2015년 2월 15일 | ABN 암로 세계 테니스 토너먼트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장 줄리앙 로저 | 제이미 머레이 | 3-6, 6-3, [10-8] |
준우승 | 16. | 2015년 5월 23일 | 니스 오픈 | 250 시리즈 | 클레이 | 장 줄리앙 로저 | 마테 파비치 | 6-7(4), 6-2, [7-10] |
우승 | 26. | 2015년 7월 11일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그랜드 슬램 | 잔디 | 장 줄리앙 로저 | 제이미 머레이 | 7-6(5), 6-4, 6-4 |
우승 | 27. | 2015년 11월 22일 | ATP 파이널스 | 투어 파이널스 | 하드 (실내) | 장 줄리앙 로저 | 로한 보판나 | 6-4, 6-3 |
우승 | 28. | 2016년 4월 25일 | 루마니안 오픈 | 250 시리즈 | 클레이 | 플로린 메르자 | 크리스 구치오네 | 7-5, 6-4 |
우승 | 29. | 2016년 5월 8일 | 마드리드 오픈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장 줄리앙 로저 | 로한 보판나 | 6-4, 7-6(5) |
준우승 | 17. | 2016년 8월 13일 |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 올림픽 | 하드 | 플로린 메르자 | 마르크 로페스 | 4-6, 6-7(5) |
준우승 | 18. | 2016년 8월 18일 | 신시내티 마스터스 | 마스터스 1000 | 하드 | 장 줄리앙 로저 | 이반 도디그 | 6-7(5), 7-6(5), [6-10] |
우승 | 30. | 2017년 3월 4일 |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 | 500 시리즈 | 하드 | 장 줄리앙 로저 | 로한 보판나 | 4-6, 6-3, [10-3] |
우승 | 31. | 2017년 5월 27일 | 제네바 오픈 | 250 시리즈 | 클레이 | 장 줄리앙 로저 | 후안 세바스티안 카발 | 2-6, 7-6(11-9), [10-6] |
우승 | 32. | 2017년 8월 26일 | 윈스턴-살렘 오픈 | 250 시리즈 | 하드 | 장 줄리앙 로저 | 훌리오 페랄타 | 6-3, 6-4 |
우승 | 33. | 2017년 9월 8일 | US 오픈 | 그랜드 슬램 | 하드 | 장 줄리앙 로저 | 펠리시아노 로페스 | 6-4, 6-3 |
우승 | 34. | 2018년 3월 3일 |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 | 500 시리즈 | 하드 | 장 줄리앙 로저 | 제임스 체레타니 | 6-2, 7-6(2) |
우승 | 35. | 2018년 8월 25일 | 윈스턴-살렘 오픈 | 250 시리즈 | 하드 | 장 줄리앙 로저 | 제임스 체레타니 | 6-4, 6-2 |
준우승 | 19. | 2018년 11월 4일 | 파리 마스터스 | 마스터스 1000 | 하드 (실내) | 장 줄리앙 로저 | 마르셀 그라노예르스 | 4-6, 4-6 |
준우승 | 20. | 2019년 2월 17일 | ABN 암로 세계 테니스 토너먼트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장 줄리앙 로저 | 제레미 샤르디 | 6-7(5), 6-7(4) |
우승 | 36. | 2019년 5월 12일 | 마드리드 오픈 | 마스터스 1000 | 클레이 | 장 줄리앙 로저 | 디에고 슈와르츠만 | 6-2, 6-3 |
준우승 | 21. | 2019년 8월 4일 | 워싱턴 오픈 | 500 시리즈 | 하드 | 장 줄리앙 로저 | 레이븐 클라센 | 6-3, 3-6, [2-10] |
우승 | 37. | 2019년 10월 27일 | 스위스 인도어스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장 줄리앙 로저 | 테일러 프리츠 | 7-5, 6-3 |
준우승 | 22. | 2021년 3월 7일 | ABN 암로 세계 테니스 토너먼트 | 500 시리즈 | 하드 (실내) | 케빈 크라비츠 | 니콜라 멕티치 | 6-7(7), 2-6 |
준우승 | 23. | 2021년 4월 25일 | 바르셀로나 오픈 | 500 시리즈 | 클레이 | 케빈 크라비츠 | 후안 세바스티안 카발 | 4-6, 2-6 |
우승 | 38. | 2021년 6월 20일 | 할레 오픈 | 500 시리즈 | 잔디 | 케빈 크라비츠 | 펠릭스 오제알리아심 | 7-6(4), 6-4 |
준우승 | 24. | 2021년 7월 18일 | 함부르크 유러피언 오픈 | 500 시리즈 | 클레이 | 케빈 크라비츠 | 팀 퓌츠 | 3-6, 7-6(3), [8-10] |
3.3.2. ATP 챌린저 및 ITF 퓨처스 결승전 (단식)
결과 | No. | 결승일 | 대회 | 티어 | 서피스 | 상대 | 스코어 |
---|---|---|---|---|---|---|---|
우승 | 1. | 2004년 5월 | 사우디아라비아 F1, 리야드 | 퓨처스 | 하드 | 토르스텐 팝 | 6-4, 2-6, 6-3 |
우승 | 2. | 2004년 10월 | 미국 F27, 라구나 비치 | 퓨처스 | 하드 | 웨인 오데스니크 | 6-3, 6-2 |
우승 | 3. | 2004년 11월 | 미국 F31, 하와이 | 퓨처스 | 하드 | 웨인 오데스니크 | 6-4, 6-4 |
우승 | 4. | 2005년 1월 | 미국 F3, 키 비스케인 | 퓨처스 | 하드 | 헨리 아드제이-다르코 | 6-3, 6-7(13-15), 6-3 |
우승 | 5. | 2005년 11월 | 호주 F11, 바메라 | 퓨처스 | 잔디 | 루크 부르주아 | 3-6, 6-2, 7-5 |
준우승 | 1. | 2007년 2월 | 미국 F4, 브라운스빌 | 퓨처스 | 하드 | 웨슬리 화이트하우스 | 3-6, 6-2, 5-7 |
3.3.3. ATP 챌린저 및 ITF 퓨처스 결승전 (복식)
결과 | No. | 결승일 | 대회 | 티어 | 서피스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
준우승 | 1. | 2003년 2월 | 크로아티아 F2, 자그레브 | 퓨처스 | 하드 | 플로린 메르자 | 이반 친쿠스 | 7-5, 6-7(8-10), 1-6 |
우승 | 1. | 2003년 4월 | 그리스 F2, 칼라마타 | 퓨처스 | 하드 | 플로린 메르자 | 콘스탄티노스 에코노미디스 | 6-4, 1-6, 6-3 |
우승 | 2. | 2003년 5월 | 쿠웨이트 F2, 쿠웨이트시티 | 퓨처스 | 하드 | 플로린 메르자 | 이보 클레치 | 6-4, 7-6(8-6) |
우승 | 3. | 2003년 5월 | 쿠웨이트 F3, 쿠웨이트시티 | 퓨처스 | 하드 | 플로린 메르자 | 무사드 알 자자프 | 6-2, 7-5 |
준우승 | 2. | 2003년 7월 | 루마니아 F4, 크라이오바 | 퓨처스 | 클레이 | 플로린 메르자 | 아드리안 바르부 | 3-0 기권 |
우승 | 4. | 2004년 4월 | 그리스 F2, 시로스 | 퓨처스 | 하드 | 플로린 메르자 | 로만 미할리크 | 7-5, 3-6, 6-3 |
우승 | 5. | 2004년 4월 | 카타르 F1, 도하 | 퓨처스 | 하드 | 플로린 메르자 | 프랭크 모저 | 6-1, 6-2 |
준우승 | 3. | 2004년 5월 | 레바논 F1, 주니에 | 퓨처스 | 클레이 | 플로린 메르자 | 무스타파 구스 | 3-6, 7-5, 6-7(1-7) |
우승 | 6. | 2004년 5월 | 레바논 F2, 주니에 | 퓨처스 | 클레이 | 플로린 메르자 | 이반 체로비치 | 0-6, 6-3, 6-1 |
우승 | 7. | 2004년 6월 | 루마니아 F6, 콘스탄차 | 퓨처스 | 클레이 | 플로린 메르자 | 다비드 루케-벨라스코 | 6-1, 7-6(7-5) |
우승 | 8. | 2004년 7월 | 루마니아 F9, 발슈 | 퓨처스 | 클레이 | 플로린 메르자 | 후안-마르틴 아랑구렌 | 6-0, 4-6, 6-2 |
준우승 | 4. | 2004년 7월 | 루마니아 F11, 부쿠레슈티 | 퓨처스 | 클레이 | 플로린 메르자 | 아드리안 크루치아트 | 6-0, 4-6, 4-6 |
우승 | 9. | 2004년 8월 | 티미쇼아라 | 챌린저 | 클레이 | 플로린 메르자 | 마리우스 칼루가루 | 6-3, 6-3 |
우승 | 10. | 2004년 11월 | 미국 F32, 호놀룰루 | 퓨처스 | 하드 | 알렉스 쿠즈네초프 | 잭 플라이쉬만 | 기권 |
준우승 | 5. | 2005년 11월 | 호주 F10, 베리 | 퓨처스 | 잔디 | 로한 보판나 | 카르스텐 볼 | 7-5, 3-6, [5-10] |
우승 | 11. | 2006년 1월 | 미국 F1, 탬파 | 퓨처스 | 하드 | 알렉스 쿠즈네초프 | 알렉스 클레이튼 | 7-6(11-9), 6-3 |
준우승 | 6. | 2006년 6월 | 유바 시티 | 챌린저 | 하드 | 니콜라스 먼로 | 스코트 립스키 | 0-6, 4-6 |
준우승 | 7. | 2006년 7월 | 콘스탄차 | 챌린저 | 클레이 | 플로린 메르자 | 콘스탄티노스 에코노미디스 | 6-7(1-7), 1-6 |
준우승 | 8. | 2006년 8월 | 만타 | 챌린저 | 하드 | 니콜라스 먼로 | 에릭 누네즈 | 3-6, 2-6 |
준우승 | 9. | 2006년 11월 | 푸에블라 | 챌린저 | 하드 | 브루노 에차가라이 | 다니엘 가르자 | 7-6(8-6), 3-6, [7-10] |
준우승 | 10. | 2007년 2월 | 미국 F4, 브라운스빌 | 퓨처스 | 하드 | 알렉산더 쿠드랴프체프 | 니콜라스 먼로 | 5-7, 6-7(5-7) |
준우승 | 11. | 2007년 3월 | 미국 F5, 할링겐 | 퓨처스 | 하드 | 니콜라스 먼로 | 웨슬리 화이트하우스 | 3-6, 1-6 |
우승 | 12. | 2007년 6월 | 루마니아 F5, 바커우 | 퓨처스 | 클레이 | 플로린 메르자 | 코스민 코테트 | 6-7(5-7), 7-6(14-12), 6-2 |
준우승 | 12. | 2007년 7월 | 콘스탄차 | 챌린저 | 클레이 | 가브리엘 모라루 | 마르크 포르넬 메스트레스 | 4-6, 4-6 |
우승 | 13. | 2007년 7월 | 루마니아 F11, 부쿠레슈티 | 퓨처스 | 클레이 | 페트루-알렉산드루 룬카누 | 라우렌티우-안토니우 에를리치 | 6-4, 6-2 |
준우승 | 13. | 2007년 8월 | 카르시 | 챌린저 | 하드 | 이반 도디그 | 앤드류 코엘료 | 3-6, 6-3, [7-10] |
우승 | 14. | 2007년 9월 | 브라쇼브 | 챌린저 | 클레이 | 플로린 메르자 | 마르셀-이오안 미론 | 5-7, 6-3, [10-8] |
준우승 | 14. | 2007년 9월 | 부쿠레슈티 | 챌린저 | 클레이 | 플로린 메르자 | 마르셀 그라노예르스 | 2-6, 1-6 |
준우승 | 15. | 2008년 2월 | 브장송 | 챌린저 | 하드 | 이브 알레그로 | 필립 페츠슈너 | 2-6, 1-6 |
우승 | 15. | 2008년 3월 | 셰르부르 | 챌린저 | 하드 | 플로린 메르자 | 장-클로드 셰레르 | 7-5, 7-5 |
준우승 | 16. | 2009년 4월 | 크레모나 | 챌린저 | 하드 | 플로린 메르자 | 에두아르도 슈방크 | 3-6, 2-6 |
우승 | 16. | 2008년 6월 | 밀라노 | 챌린저 | 클레이 | 이브 알레그로 | 후안-마르틴 아랑구렌 | 6-4, 6-4 |
우승 | 17. | 2008년 6월 | 콘스탄차 | 챌린저 | 클레이 | 플로린 메르자 | 훌리오 실바 | 6-4, 6-2 |
우승 | 18. | 2008년 7월 | 산마리노 | 챌린저 | 클레이 | 이브 알레그로 | 파비오 콜란젤로 | 7-5, 7-5 |
준우승 | 17. | 2008년 10월 | 몬스 | 챌린저 | 하드 | 이브 알레그로 | 미하우 메르티나크 | 5-7, 3-6 |
준우승 | 18. | 2008년 10월 | 렌 | 챌린저 | 카펫 | 이브 알레그로 | 제임스 오클랜드 | 3-6, 4-6 |
우승 | 19. | 2008년 11월 | 에켄탈 | 챌린저 | 카펫 | 이브 알레그로 | 제임스 오클랜드 | 6-3, 3-6, [10-7] |
우승 | 20. | 2010년 3월 | 마라케시 | 챌린저 | 클레이 | 일리야 보졸랴츠 | 제임스 체레타니 | 6-1, 6-1 |
3.3.4. 주니어 그랜드 슬램 결승전 (남자 복식)
결과 | 연도 | 대회 | 서피스 | 파트너 | 상대 | 스코어 |
---|---|---|---|---|---|---|
준우승 | 2002 | 호주 오픈 | 하드 | 플로린 메르자 | 라이언 헨리 | 기권 |
우승 | 2002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잔디 | 플로린 메르자 | 브라이언 베이커 | 6-4, 4-6, 6-4 |
준우승 | 2003 | 호주 오픈 | 하드 | 플로린 메르자 | 스코트 오우드세마 | 4-6, 4-6 |
우승 | 2003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잔디 | 플로린 메르자 | 크리스 구치오네 | 7-6(7-4), 7-5 |
4. 개인 생활
테카우는 소니 픽처스에 의해 애니메이션 영화 해적들! 과학자들과의 모험의 루마니아어 더빙판에서 찰스 다윈의 목소리를 연기했다. 그는 또한 2016년에 자신의 저서 테니스 리듬 속의 삶 (Viața în ritm de tenis)을 출판했다.
5. 은퇴 및 은퇴 후 활동
테카우는 2021년 11월 ATP 파이널스를 마지막으로 프로 선수 생활에서 은퇴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2022년 3월 데이비스 컵에서 마리우스 코필과 함께 스페인 조를 상대로 승리하며 루마니아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은퇴를 연기했다. 2022년 3월, 그는 루마니아 빌리 진 킹 컵의 주장으로 임명되었다.
6. 주요 수상 및 영예
테카우는 선수 경력 동안 다음과 같은 주요 수상 및 영예를 얻었다.
- ATP 올해의 복식 팀: 2015년 (파트너: 장 줄리앙 로저)
- ITF 남자 복식 세계 챔피언: 2015년 (파트너: 장 줄리앙 로저)
- 아서 애시 인도주의상: 2017년
- 2012년 런던 올림픽 루마니아 선수단 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