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1.1. 출생과 가족
항 솜낭 응오는 1940년 3월 22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였던 캄보디아 타케오주 바티 지구 삼롱 용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하카계 중국인 후손이었고, 어머니는 크메르인이었다.
1.2. 교육 및 의료 경력
응오는 산부인과 의사이자 외과 의사로 훈련받았으며, 1975년 폴 포트의 크메르 루즈가 프놈펜을 점령하기 전까지 프놈펜에서 개업 의사로 활동했다. 그는 또한 군의관으로도 복무했다.
2. 크메르 루즈 정권 하에서의 삶
크메르 루즈 정권 하에서의 응오의 삶은 지식인에 대한 극심한 박해와 개인적인 비극으로 점철되었다.
2.1. 박해와 생존
1975년 크메르 루즈가 집권하고 '제로 원년' 정책을 선포하면서, 응오는 지식인과 전문가에 대한 정권의 강렬한 적대감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교육 수준, 의학 기술, 심지어 안경을 썼다는 사실까지 숨겨야 했다. 그는 2백만 명에 달하는 프놈펜 주민들과 함께 강제 노동 수용소로 추방되어 쌀을 경작하는 강제 노동에 시달렸다. 그는 세 차례의 수용소 생활에서 살아남았는데, 의학 지식을 활용하여 딱정벌레, 흰개미, 전갈 등을 먹으며 생존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고문도 겪었다.
2.2. 가족의 상실
1978년, 크메르 루즈 정권 하에서 응오의 아내 창 미후오이가 출산 중 태어나지 않은 아이와 함께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 산부인과 의사인 그였지만, 크메르 루즈의 감시 하에서 제왕절개 수술을 시도할 경우 의사임이 발각되어 가족 전체의 목숨이 위험해질 수 있었기 때문에 아내를 구할 수 없었다.
2.3. 탈출과 망명
1979년 크메르 루즈 정권이 붕괴된 후, 응오는 조카와 함께 크메르 루즈-베트남 전쟁 전선 사이를 기어서 적십자 난민 캠프가 있는 태국으로 탈출했다. 그곳에서 그는 의사로 활동하며 난민들을 치료했다. 이듬해인 1980년 8월 30일, 그는 조카와 함께 미국으로 이주했다.
3. 미국 이민 및 정착
미국으로 이주한 응오는 로스앤젤레스에 정착했다. 그러나 그는 미국에서 의사로서의 직업을 다시 시작할 수 없었다. 그는 아내의 죽음 이후 재혼하지 않았다. 1986년에는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4. 배우 경력
4.1. 발탁과 '킬링 필드'
응오는 이전에 연기 경험이 전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1984년 개봉한 전기 드라마 영화 킬링 필드에서 캄보디아계 미국인 언론인 디스 프랜 역에 캐스팅되었다. 그는 처음에는 이 역할에 관심이 없었으나, 영화 제작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캄보디아에서 일어난 일을 세상에 알리겠다는 아내와의 약속을 떠올리며 마음을 바꿨다. 영화 출연 후 그는 피플지와의 인터뷰에서 "캄보디아의 기아와 공산주의 정권 하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이 죽었는지 세상에 보여주고 싶었다. 나는 만족한다. 완벽한 일을 해냈다"고 말했다.
4.2. 아카데미상 수상 및 평가
응오는 킬링 필드에서의 연기로 1985년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그는 이 상을 받은 최초의 아시아계 배우이자, 해럴드 러셀에 이어 연기 부문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단 두 명의 비전문 배우 중 한 명이 되었다. 이 외에도 그는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남우주연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가장 유망한 신인상,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골든 글로브상 영화 부문 남우조연상 등 주요 영화 시상식에서 여러 상을 받으며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4.3. 이후의 작품 활동
킬링 필드 이후, 응오는 다양한 영화와 TV 드라마에 출연하며 연기 활동을 이어갔다. 그는 1987년 홍콩 액션 영화 이동지성에 출연했으며, 1989년 베트남 전쟁 드라마 아이언 트라이앵글에도 출연했다. 또한 호평받은 TV 시리즈 차이나 비치에서는 부상당한 캄보디아 전쟁 포로 역으로 두 에피소드에 걸쳐 특별 출연하여 간호사 콜린 맥머피와 우정을 쌓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1987년에는 마이애미의 두 형사의 "더 새비지 / 듀티 앤 아너" 에피소드에 게스트로 출연했다. 1993년 영화 마이 라이프에서는 마이클 키튼과 니콜 키드먼 부부에게 영적 지도를 제공하는 영적 치료사 호 씨 역을 맡아 열연했다. 그는 또한 1994년부터 1995년까지 방영된 베니싱 선 시리즈와 1993년 전기 전쟁 드라마 영화 천과 지에서도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다.
5. 저술 활동
응오는 자신의 삶과 경험을 담은 자서전을 출판했다. 1987년에는 크메르 루즈 정권 하에서의 삶을 묘사한 자서전 항 응오: 캄보디아 오디세이를 출간했다. 이후 2003년에는 킬링 필드에서의 생존이라는 책을 출간했는데, 이 책에는 아카데미상 수상 이후 응오의 삶에 대한 로저 워너의 에필로그가 추가되었다.
6. 인도주의 활동
응오는 캄보디아 지원을 위한 인도주의적 노력에 헌신했다. 그는 친한 친구 잭 옹과 함께 '닥터 항 S. 응오 재단'을 설립하여 캄보디아를 위한 기금 마련을 도왔다. 그의 인도주의 활동의 일환으로, 그는 캄보디아에 초등학교를 건설하고, 지역 주민들에게 일자리와 수입을 제공하는 작은 제재소를 운영했다. 그가 사망한 후, 그와 함께 미국으로 건너온 조카 소피아 응오 데메트리가 재단의 이사장을 맡아 활동을 이어갔다.
7. 개인 생활
응오는 1986년에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그의 종교는 불교였다. 그는 아내의 죽음 이후 재혼하지 않고 독신으로 지냈다.
8. 사망
8.1. 피살 사건
1996년 2월 25일, 응오는 로스앤젤레스 차이나타운에 있는 자신의 집 앞에서 총격으로 사망했다.
8.2. 재판 및 유죄 판결
경찰은 이 사건과 관련하여 '오리엔탈 레이지 보이즈'라는 갱단의 일원이라고 주장되는 세 명을 살인 혐의로 기소했다. 이들은 이전에 지갑과 보석을 강탈한 전과가 있었다. 이들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고등법원에서 함께 재판을 받았지만, 각자의 사건은 세 개의 독립적인 배심원단에 의해 심리되었다. 검찰은 응오가 자신의 금 롤렉스 시계는 순순히 넘겨주었지만, 사망한 아내 미후오이의 사진이 담긴 로켓을 넘겨주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살해당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변호인단은 이 살인이 크메르 루즈 동조자들에 의해 자행된 정치적 동기의 살인이라고 주장했으나, 이를 뒷받침할 증거는 제시되지 않았다.
1998년 4월 16일, 폴 포트의 사망이 캄보디아에서 확인된 바로 그날, 모든 피고인에게 유죄 판결이 내려졌다. 탁 선 탄은 56년형에서 종신형을, 인드라 림은 26년형에서 종신형을, 제이슨 찬은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2004년 미국 캘리포니아 중부 지방법원은 검찰이 허위 증거를 제시하여 배심원의 동정을 조작했다고 판단하며 탁 선 탄의 인신보호 영장 청원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2005년 7월 미국 제9순회 항소법원은 이 결정을 뒤집고 유죄 판결을 최종적으로 확정했다.
8.3. 사건 관련 논란 및 이론
응오의 죽음을 단순 강도 사건으로 보는 이론에 대해 일부에서는 의문을 제기했다. 현장에 2900 USD의 현금이 남아 있었고, 강도들이 그의 주머니를 뒤지지 않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강도들이 왜 그의 로켓을 요구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는데, 응오는 보통 로켓을 옷 속에 피부 가까이 착용했기 때문에 쉽게 보이지 않았을 것이다. 2003년 현재까지도 그 로켓은 회수되지 않았다. 2009년 11월, 캄보디아에서 재판을 받던 전 크메르 루즈 관리 캉 켁 이우는 응오가 폴 포트의 명령으로 살해되었다고 주장했으나, 미국 수사관들은 그의 주장을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응오의 사망 후, 많은 캄보디아인들이 그의 유산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으며, 한 여성은 그가 미국에 온 후 자신과 결혼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응오의 캄보디아 자산 대부분은 그의 남동생 찬 사룬에게 돌아갔고, 미국 자산은 유산 청구 소송을 막기 위한 법률 비용으로 소진되었다.
9. 유산과 평가
9.1. 작품 및 삶의 영향력
킬링 필드 개봉 후, 응오는 뉴욕 타임스 기자에게 "이제부터 내가 죽어도 괜찮다! 이 영화는 백 년 동안 계속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가 영화에서 연기했던 디스 프랜은 응오의 죽음에 대해 "그는 나와 쌍둥이 같았다. 그는 나와 함께 메시지를 전하는 사람이었는데, 이제 나는 혼자가 되었다"고 애도했다. 그의 연기와 삶의 이야기는 캄보디아 문제에 대한 전 세계의 인식을 높이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9.2. 기념 및 재단 활동
응오는 캘리포니아주 휘티어에 있는 로즈 힐스 기념 공원에 안장되었다. 그가 설립한 '닥터 항 S. 응오 재단'은 그의 유지를 이어받아 캄보디아 지원을 위한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10. 필모그래피

10.1. 영화
공개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84년 | 킬링 필드 | ||
1986년 | 팔이사포전 | ||
1987년 | 사랑과 전쟁 | ||
이동지성 | |||
1989년 | 아이언 트라이앵글 | ||
베트남 전쟁 이야기: 마지막 날들 | |||
1990년 | 베트남, 텍사스 | ||
마지막 비행 | |||
1991년 | 앰비션 | ||
1993년 | 마이 라이프 | ||
천과 지 | |||
1994년 | 베니싱 선 | ||
포춘스 오브 워 | |||
베니싱 선 II | |||
베니싱 선 III | |||
베니싱 선 IV | |||
더 드래곤 게이트 | |||
1996년 | 히트 미 |
10.2. 텔레비전
공개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87년 | 마이애미의 두 형사 | ||
1989년 | 천사 조나단 | ||
1989년 | 차이나 비치 | ||
1992년 | 더 커미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