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학력
한용덕은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으나, 어린 시절 대전광역시로 이주하여 야구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
1.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그는 대전천동초등학교에서 처음 야구를 시작했으며, 이후 충남중학교를 거쳐 북일고등학교에 진학했다. 북일고등학교 재학 시절에는 당시 감독이었던 김영덕과 처음 인연을 맺었다. 고등학교 시절 그의 주 포지션은 유격수였다.
1.2. 대학 시절 및 야구 중단
북일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동아대학교에 입학했으나, 1학년 때 가정 환경이 어려워지고 무릎 관절염까지 겹치면서 야구를 포기하게 되었다. 결국 대학도 자퇴하며 선수 생활에 위기를 맞았다.
2. 선수 경력
대학을 중퇴하고 야구를 잠시 중단했던 한용덕은 빙그레 이글스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로서의 꿈을 다시 이어갔다.
2.1. 선수 입단 및 초기
동아대학교를 중퇴한 후 방위병으로 복무를 마친 그는 야구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했다. 그러던 중 북일고등학교 시절 은사였던 당시 빙그레 이글스의 김영덕 감독의 주선으로 1987년 9월 신고선수로 입단하며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선수들에게 배팅볼을 던져주는 힘든 신고선수 시절을 보냈고, 이듬해인 1988년에 비로소 정식 선수로 승격될 수 있었다.
1989년 시즌 후에는 당시 최다 선발승(14 선발승) 투수였던 한희민, 포수 김상국, 같은 해 입단한 투수 송진우, 내야수 장종훈, 강석천 등과 함께 일본 다이에 호크스의 추계 훈련에 참가했다. 다음 해인 1990년에는 이정훈 등이, 1991년에는 양용모 등이, 1992년에는 지연규, 지화동 등이 다이에 추계 훈련에 참여했다. 이들의 일본 전지 훈련은 기량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김상국은 1990년부터 주전 포수를 맡았고, 한용덕 본인은 1991년 최다 선발승(16 선발승)을 기록했으며, 장종훈은 1990년부터 3년 연속 홈런왕(타점왕 포함 2관왕)을 달성했다. 이정훈은 1991년부터 2년 연속 타격왕을 차지했고, 송진우는 2001년 5월 10일 두산과의 경기에서 선발승을 거두며 개인 통산 6번째 100선발승(좌완 투수 최초)을 달성하는 등 많은 선수들이 기량을 발전시켰다.
2.2. 빙그레 이글스 & 한화 이글스 시절
김영덕 감독의 후임으로 소위 '미국통'으로 불리던 강병철 감독이 부임하면서 일본과의 선수 교류가 끊기기도 했다. 이후 정민철은 역대 최고인 8연속 10선발승 이상(1992~1996년 13 선발승, 1997년 14 선발승, 1998년 10 선발승, 1999년 17 선발승)을 기록했으며, 포크볼의 황제 이상목, 고졸 신인으로 규정 타석을 채우지 못했음에도 3할 타율을 기록하며 기대를 모았던 박지상 등이 1994년을 끝으로 다이에 캠프 출신 선수들의 명맥이 끊겼다.
한용덕은 1990년 시즌 전 일본 전지 훈련지에서 일본인 인스트럭터의 도움을 받아 여러 가지 변화구를 익혔고, 그 해 13승(8선발승)을 거두며 팀의 주축 투수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1999년 한국시리즈에서 한화 이글스의 우승 멤버로도 활약하며 팀에 크게 기여했다. 뛰어난 기량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개인 타이틀 이력이 전무하여 '무관의 투수왕'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특히 1991년에는 16 선발승으로 그 해 최다 선발승을 기록했다.
한편, 한용덕은 1991년 16 선발승으로 최다 선발승을 기록했는데, 이는 역대 최다 선발승 투수 중 1983년 장명부 (28 선발승, 삼미), 1986년 선동열 (17 선발승, 해태), 1987년 김시진 (21 선발승, 삼성), 1988년 한희민 (14 선발승, 빙그레), 1989년 박정현 (15 선발승, 태평양, 이강철과 공동)에 이어 6번째로 국내 전지 훈련파(마산) 출신이었다. 한용덕 이후의 최다 선발승 투수들은 대부분 외국 전지 훈련파였으며, 홈런왕 중 국내 전지 훈련파는 1985년 김성한 (해태, 이만수와 공동), 1986년 김봉연 (해태), 1987년 김성래 (삼성), 1991년 장종훈 (빙그레), 1998년 우즈 (OB) 등 5명뿐이었다.
2.3. 주요 기록 및 성과
한용덕은 프로 통산 100승을 달성하며 KBO 리그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그는 2000년 8월 23일에 개인 통산 100승을 달성했는데, 이는 프로 통산 14번째 기록이었다.
2.4. 선수 은퇴
한용덕은 2004년 10월 12일 자유계약선수(FA)로 풀리면서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3. 지도자 경력
선수 은퇴 후 한용덕은 한화 이글스를 비롯한 여러 팀에서 코치와 감독을 역임하며 지도자로서의 길을 걸었다.
3.1. 코치 시절
한용덕은 2005년 4월 5일 개막 경기에 앞서 은퇴식을 거행했으며, 이후 한화 이글스의 스카우트로 활동을 시작했다. 같은 해 시즌 후 단행된 한화 이글스 코칭스태프 정비에서 2군 투수코치로 임명됐다.
2006년 시즌 중반에는 당시 플레잉 코치였던 지연규의 1군 합류와 함께 1군 투수코치로 자리를 옮겼다. 2006년 시즌 후 열린 전지 훈련에서는 당시 신인이었던 류현진에게 슬라이더 투구를 전수하며 그의 성장에 기여했다. 2007년 시즌 중반에는 이상군이 1군 투수코치로 승격됨에 따라 재활군 코치로 보직을 변경했다.
2009년 6월 22일, 한화 이글스 2군 투수코치에서 다시 1군 투수코치로 이동했으며, 2012년 시즌 중에는 수석코치로 승격됐다.
3.2. 국가대표팀 코치 및 감독 대행
2012년 8월 28일 한대화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자, 한용덕은 감독 대행으로 보직이 변경되어 남은 시즌을 이끌었다. 시즌 후에는 감독 대행직에서 사의를 표명했다. 이후 2013년 WBC 국가대표팀 투수코치로 선임되어 국제 대회 경험을 쌓았다. 한화 구단에서는 류현진의 해외 진출과 함께 LA 다저스에서 코치 연수를 받을 것을 제의했고, 그는 WBC 이후 연수를 받았다. 연수를 마친 후에는 한화 이글스의 프런트로 복귀하여 행정 업무를 담당하기도 했다.
2014년 12월 4일에는 두산 베어스에 2군 총괄 코치로 영입됐다. 2015년 김태형이 감독으로 부임한 후에는 1군 투수코치로 승격됐고, 이후 수석코치를 역임하며 두산 베어스의 우승에 기여했다.
3.3. 한화 이글스 감독
한용덕은 2018년부터 한화 이글스의 제11대 감독으로 선임되어 팀을 이끌게 되었다. 부임 첫 해인 2018년에는 팀을 포스트 시즌으로 이끌며 팬들의 기대를 모았으나, 그 이후에는 계속해서 성적 부진을 겪었다. 팀이 2020년 6월 7일 KBO 리그 역사상 최다 타이 기록인 14연패에 빠지자, 그는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감독직에서 자진 사퇴했다.
4. 트리비아 및 기타
1988년 김영덕이 빙그레 이글스 감독으로 부임하고 강병철이 수석코치를 맡았던 시기에, 1990년 소위 '종신감독 파동' 등 빙그레 이글스 내에서 북일고등학교 출신과 비북일고 출신 선수들 사이의 갈등이 있었다. 강병철은 그 해 시즌 후 롯데 자이언츠 감독으로 갔다가 1994년 한화 이글스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북일고 출신 선수들을 대부분 홀대하거나 퇴출시킬 계획을 세웠다. 이 과정에서 김상국, 이상군 등 대부분의 북일고 출신 선수들은 강병철 감독 때문에 다른 팀으로 강제 이적당하거나 은퇴식 없이 은퇴하는 등 선수 생활의 끝이 좋지 않았다. 그러나 한용덕은 워낙 팀에서 독보적인 존재였기 때문에 계속 잔류할 수 있었다.
소위 '종신 감독 파동'이 있었던 1990년 시즌에 빙그레 이글스는 페넌트레이스 1위를 달렸으나, 후반기에 페이스가 떨어져 준플레이오프에서 2패로 탈락했다. 이 과정에서 시즌 후 김영덕 감독과 불화가 있었던 김성갑, 고원부, 유승안, 한희민 등 대부분의 비북일고 출신 선수들이 뒷날 다른 팀으로 트레이드되거나 방출되는 수모를 겪었다.
한용덕은 KBO 리그에서 유일하게 4타자 연속 홈런을 허용한 투수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5. 출신 학교
- 대전천동초등학교
- 충남중학교
- 북일고등학교
- 동아대학교 중퇴
6. 통산 기록
연도 | 팀명 | 평균자책점 | 경기 | 승 | 구원승 | 패 | 세 | 홀 | 완투 | 완봉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비고 |
---|---|---|---|---|---|---|---|---|---|---|---|---|---|---|---|---|---|---|
1988 | 빙그레 | 3.05 | 12 | 2 | 0 | 1 | 0 | 0 | 0 | 0 | 41.1 | 39 | 9 | 21 | 16 | 15 | 14 | |
1989 | 3.22 | 23 | 2 | 2 | 2 | 1 | 0 | 0 | 0 | 67 | 64 | 5 | 29 | 46 | 25 | 24 | ||
1990 | 2.53 | 38 | 13 | 5 | 9 | 3 | 0 | 3 | 1 | 171 | 147 | 10 | 65 | 99 | 59 | 48 | ||
1991 | 2.23 | 31 | 17 | 1 | 6 | 2 | 0 | 12 | 4 | 201.2 | 164 | 10 | 56 | 122 | 59 | 50 | 완봉 1위, 선발승 1위(16 선발승) | |
1992 | 2.99 | 29 | 9 | 0 | 11 | 3 | 0 | 9 | 2 | 186.1 | 144 | 16 | 65 | 122 | 69 | 62 | ||
1993 | 2.98 | 27 | 10 | 1 | 11 | 5 | 0 | 12 | 3 | 172.1 | 143 | 13 | 36 | 112 | 61 | 57 | 완투 1위 | |
1994 | 한화 | 3.25 | 27 | 16 | 0 | 8 | 0 | 0 | 4 | 1 | 177.3 | 168 | 22 | 33 | 105 | 71 | 64 | |
1995 | 3.29 | 26 | 8 | 0 | 13 | 0 | 0 | 9 | 3 | 180.3 | 162 | 13 | 51 | 121 | 72 | 66 | ||
1996 | 4.37 | 21 | 8 | 0 | 8 | 1 | 0 | 3 | 1 | 111.3 | 111 | 13 | 29 | 57 | 59 | 54 | ||
1997 | 4.16 | 25 | 1 | 0 | 8 | 1 | 0 | 2 | 0 | 93 | 89 | 10 | 25 | 61 | 45 | 43 | ||
1998 | 2.26 | 56 | 7 | 6 | 3 | 4 | 0 | 0 | 0 | 131.7 | 104 | 9 | 38 | 96 | 38 | 33 | ||
1999 | 7.47 | 23 | 2 | 0 | 7 | 1 | 0 | 1 | 0 | 90.3 | 123 | 21 | 39 | 51 | 83 | 75 | ||
2000 | 4.68 | 38 | 7 | 4 | 13 | 0 | 4 | 3 | 0 | 130.7 | 133 | 17 | 50 | 85 | 81 | 68 | ||
2001 | 3.56 | 31 | 8 | 1 | 10 | 0 | 2 | 2 | 1 | 144 | 150 | 14 | 40 | 112 | 65 | 57 | ||
2002 | 4.94 | 33 | 8 | 0 | 7 | 2 | 1 | 0 | 0 | 116.7 | 116 | 17 | 30 | 86 | 68 | 64 | ||
2003 | 4.91 | 32 | 2 | 2 | 1 | 1 | 3 | 0 | 0 | 55 | 59 | 5 | 14 | 42 | 31 | 30 | ||
2004 | 9.00 | 10 | 0 | 0 | 0 | 0 | 1 | 0 | 0 | 10 | 17 | 2 | 4 | 8 | 13 | 10 | ||
통산 | 17시즌 | 3.54 | 482 | 120 | 22 | 118 | 24 | 11 | 60 | 16 | 2080 | 1933 | 206 | 625 | 1341 | 914 | 819 | 통산 다승 역대 11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