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하세 세이슈(馳 星周하세 세이슈일본어, 1965년 2월 18일 ~)는 일본의 저명한 소설가이다. 본명은 반도 도시히토(坂東 齢人반도 도시히토일본어)이다. 그의 필명 '하세 세이슈'는 자신이 팬인 홍콩의 영화감독이자 배우인 주성치(周星馳저우싱츠중국어)의 이름을 거꾸로 배열하여 일본어로 표기한 것이다. 그는 주로 야쿠자와 범죄 세계를 다루는 범죄 소설 및 느와르 소설로 잘 알려져 있다.
하세 세이슈는 홋카이도에서 태어나 요코하마시립대학을 졸업했다. 그의 작품 중 일부는 영화화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2005년과 2006년에는 세가의 유명 비디오 게임 시리즈인 《용과 같이》와 《용과 같이 2》의 시나리오 감수를 맡기도 했다. 수많은 문학상 후보에 올랐던 그는 특히 2020년, 소설 《소년과 개》로 나오키상을 수상하며 문학적 역량을 인정받았다. 그의 작품 세계는 모략과 배신이 주된 줄거리를 이루며, 암흑 사회의 인물들과 함께 폐쇄적인 삶을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의 고뇌, 테러리즘이나 전쟁과 같은 무거운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룬다.
2. 생애와 배경
하세 세이슈는 작가로서의 활동 전반에 걸쳐 그의 개인적인 배경과 경험이 작품 세계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2.1. 출생, 이름, 가족
하세 세이슈는 1965년 2월 18일 홋카이도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반도 도시히토(坂東 齢人반도 도시히토일본어)이다. 그의 본명 '齢人'은 '도시히토'로 읽히기도 하지만, '레이닌'으로도 읽을 수 있는데, 이는 블라디미르 레닌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의 부모님은 모두 일본 공산당 당원이었으며, 특히 아버지는 우라카와정 의회 의원을 지낸 바 있고, 어머니는 교사였다. 어린 시절 그는 일본 공산당 기관지인 《아카하타》의 주말판 배달을 돕기도 했다. 하세 세이슈는 선거에서 단 한 번도 기권한 적이 없다고 밝히며 정치적 참여에 대한 소신을 드러내기도 했다. 필명 '하세 세이슈'는 그가 평소 존경하는 홍콩 영화감독 주성치의 일본식 독음인 '슈 세이시'(周星馳)를 거꾸로 배열한 '하세 세이슈'(馳星周)에서 따왔다.
2.2. 학력과 초기 경력
하세 세이슈는 홋카이도 도마코마이 히가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요코하마시립대학 문리학부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 재학 중에는 신주쿠 골든가이에 위치한 나이토 친이 운영하던 바 '심야 플러스1'에서 바텐더로 일하며 사회 경험을 쌓았다.
졸업 후에는 케이분샤의 관능 소설 레이블 '그린 도어 문고'의 편집자로 활동했으며, 이후 프리랜서 게임 라이터로 전향했다. 그는 주로 쇼가쿠칸의 게임 잡지 《팝콤》에서 라이터로 활동했으며, 케이분샤 퇴사 후에는 당시 《팝콤》 부편집장의 권유로 퇴직금을 이용해 NEC의 PC-9821RX 컴퓨터를 구매하여 게임 관련 기사를 집필하기도 했다. 특히 그가 즐겨 했던 게임은 《프린세스 메이커》였으며, 실제로 《팝콤》에 '레이닌의 육아일기'라는 제목으로 게임 연재 칼럼을 기고하기도 했다. 또한, 그는 본명인 반도 도시히토 명의로 《책의 잡지》 등에서 주로 추리 소설과 모험 소설을 중심으로 문예 평론가로 활동했으며, 프로레슬링 및 게임 평론도 병행했다. 이때 코가미 리쿠(古神陸코가미 리쿠일본어), 사야마 아키라(佐山アキラ사야마 아키라일본어), 레이닌(レーニン레이닌일본어) 등의 필명으로 편집 및 집필 활동을 하며 소설을 쓰기도 했다.
3. 문학 경력
하세 세이슈의 문학 경력은 19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일본 문단에 누아르 장르의 깊이를 더했다.
3.1. 데뷔와 작품 특성
하세 세이슈는 1996년 8월 소설 《불야성》을 통해 일반 소설가로 정식 데뷔했다. 이 작품은 신주쿠 가부키초를 배경으로 일본과 중국 혼혈 남녀가 중국 마피아의 항쟁에 휘말리는 내용을 다루며 당시 베스트셀러에 올랐고, 제116회 나오키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이후에도 그는 《야광충》, 《M》, 《생탄제》, 《약속의 땅에서》, 《언터쳐블》 등으로 여러 차례 나오키상 후보에 지명되었다. 그의 작품은 주로 '암흑 소설'로 불리며, 모략과 배신이 이야기의 핵심을 이룬다. 주요 등장인물은 외국인 마피아, 야쿠자, 불량 소년 등 암흑 사회의 거주자들이지만, 폐쇄적인 일상을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의 삶이나 테러리즘, 전쟁을 다룬 작품들도 찾아볼 수 있다.
3.2. 문학적 스타일과 주제
하세 세이슈의 작품은 인간의 어두운 내면과 사회의 부조리를 깊이 있게 파고드는 독특한 문학적 스타일을 특징으로 한다. 그는 등장인물들의 심리적 갈등과 생존을 위한 처절한 싸움을 섬세하게 묘사하며 독자들에게 강렬한 몰입감을 선사한다. 그가 주로 다루는 주제는 사회 주변부 인물들의 고독, 비극적인 운명, 그리고 비인간적인 폭력 속에서 드러나는 인간성의 상실 등이다. 특히 그는 자신이 일본에서 '누아르'를 의식하고 글을 쓰는 유일한 작가라고 스스로 평가할 만큼 이 장르에 대한 깊은 이해와 탐구를 보여준다. 2005년에는 쇼와 시대의 오키나와를 배경으로 한 소설을 쓰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으며, 3년 뒤 실제로 오키나와를 무대로 한 소설 《미륵세》를 발표했다.
3.3. 영향과 철학
하세 세이슈는 자신의 문학적 스승으로 야마다 후타로(山田風太郎야마다 후타로일본어)와 오오야부 하루히코(大藪春彦오오야부 하루히코일본어)를 꼽는다. 특히 제임스 엘로이의 《화이트 재즈》를 애독서로 밝히며, 그의 작품에서 받은 영향을 언급하기도 했다. 어린 시절 읽었던 데빌맨이나 《플란다스의 개》와 같은 작품의 비극적인 결말이 자신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이러한 경험이 그의 작품 세계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 사회의 경제 지상주의적 태도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아르바이트를 쉽게 그만두는 젊은 세대에 대해서는 '버릇없이 자랐기 때문'이라며 비판적인 견해를 드러내기도 했다. 또한, 그는 좋은 부모가 될 수 없다는 자기 인식 때문에 자녀를 두지 않았다고 밝히며, 아이를 너무 쉽게 가지는 사람들이 많다고 소신을 밝히기도 했다.
4. 작품
하세 세이슈는 다양한 장르와 주제를 아우르는 풍부한 작품 목록을 가지고 있다.
4.1. 소설
하세 세이슈는 다수의 장편 소설과 연작을 발표하며 일본 문단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졌다.
4.1.1. 연작 및 일반 소설
- 《불야성》(不夜城후야조일본어) (1996년 8월, 가도카와 쇼텐 / 1998년 4월, 가도카와 문고)
- 《진혼가 불야성 II》(鎮魂歌(レクイエム) 不夜城II레퀴엠 후야조 투일본어) (1997년 8월, 가도카와 쇼텐 / 2000년 10월, 가도카와 문고 / 2014년 6월, 후타바 문고)
- 《장한가 불야성 완결편》(長恨歌(ちょうごんか) 不夜城完結編초곤카 후야조 완케쓰헨일본어) (2004년 12월, 가도카와 쇼텐 / 2008년 7월, 가도카와 문고)
- 《야광충》(夜光虫야코추일본어) (1998년 8월, 가도카와 쇼텐 / 2001년 10월, 가도카와 문고)
- 《암수》(暗手안슈일본어) (2017년 4월, KADOKAWA / 2020년 4월, 가도카와 문고)
- 《표류가》(漂流街효류가이일본어) (1998년 9월, 도쿠마 쇼텐 / 2000년 9월, 도쿠마 문고 / 2015년 2월, 도쿠마 문고 [신장판])
- 《M》 (1999년 11월, 분게이슌주 / 2002년 12월, 분슌 문고)
- 《허의 왕》(虚の王쿄노 오일본어) (2000년 3월, 고분샤 캇파 노벨스 / 2003년 9월, 고분샤 문고 / 2008년 3월, 가도카와 문고)
- 《고혹자》(古惑仔(チンピラ)친피라일본어) (2000년 7월, 도쿠마 쇼텐 / 2003년 2월, 토쿠마 노벨스 / 2005년 2월, 도쿠마 문고 / 2009년 7월, 가도카와 문고)
- 《설월야》(雪月夜세쓰게쓰야일본어) (2000년 10월, 후타바샤 / 2003년 5월, 후타바 문고 / 2006년 10월, 가도카와 문고 / 2023년 2월, 후타바 문고 [신장판])
- 《다크 문》(ダーク・ムーン다크 문일본어) (2001년 11월, 슈에이샤 / 2004년 10월, 슈에이샤 문고 [상·하])
- 《망고 레인》(マンゴー・レイン망고 레인일본어) (2002년 5월, 가도카와 쇼텐 / 2005년 3월, 가도카와 문고)
- 《크러시》(クラッシュ크랏슈일본어) (2003년 8월, 도쿠마 쇼텐 / 2007년 2월, 도쿠마 문고)
- 《생탄제》(生誕祭세이탄사이일본어) (2003년 9월, 분게이슌주 [상·하] / 2006년 4월, 분슌 문고 [상·하])
- 《부활제》(復活祭후카쓰사이일본어) (2014년 9월, 분게이슌주 / 2017년 6월, 분슌 문고)
- 《낙원의 잠》(楽園の眠り라쿠엔노 네무리일본어) (2005년 9월, 도쿠마 쇼텐 / 2009년 2월, 도쿠마 문고)
- 《도쿄 바빌론》(トーキョー・バビロン도쿄 바비론일본어) (2006년 4월, 후타바샤 / 2009년 5월, 후타바 문고 [상·하])
- 《블루 로즈》(ブルー・ローズ부루 로즈일본어) (2006년 9월, 주오코론신샤 [상·하] / 2009년 9월, 주코 문고 [상·하])
- 《약속의 땅에서》(約束の地で야쿠소쿠노 치데일본어) (2007년 9월, 슈에이샤 / 2010년 5월, 슈에이샤 문고)
- 《미륵세》(弥勒世미로쿠요일본어) (2008년 2월, 쇼가쿠칸 [상·하] / 2012년 2월, 가도카와 문고 [상·하])
- 《녀석들을 높이 매달아라》(やつらを高く吊せ야쓰라오 타카쿠 쓰루세일본어) (2008년 5월, 고단샤 / 2011년 5월, 고단샤 문고)
- 《9・11 클럽》(9・11倶楽部큐 이치이치 쿠라부일본어) (2008년 7월, 분게이슌주 / 2011년 6월, 분슌 문고)
- 《연옥의 사도》(煉獄の使徒렌고쿠노 시토일본어) (2009년 5월, 신초샤 [상·하] / 2011년 12월, 신초 문고 [상·하] / 2022년 4월, 가도카와 문고 [상·하])
- 《침묵의 숲》(沈黙の森친모쿠노 모리일본어) (2009년 10월, 도쿠마 쇼텐 / 2012년 1월, 도쿠마 문고)
- 《에우스카디》(エウスカディ에우스카디일본어) (2010년 9월, 가도카와 쇼텐 [상·하])
- [개제] 《순광자》(殉狂者쥰쿄샤일본어) (2014년 9월, 가도카와 문고 [상·하])
- 《담설기》(淡雪記아와유키키일본어) (2011년 2월, 슈에이샤 / 2014년 3월, 슈에이샤 문고)
- 《빛이 있으라》(光あれ히카리 아레일본어) (2011년 8월, 분게이슌주 / 2014년 2월, 분슌 문고)
- 《어둠에서 춤춰라》(暗闇で踊れ쿠라야미데 오도레일본어) (2011년 11월, 후타바샤 / 2015년 1월, 후타바 문고)
- 《아름다운 바다, 피의 바다》(美ら海、血の海추라우미, 치노우미일본어) (2013년 2월, 슈에이샤 문고)
- 《소울메이트》(ソウルメイト소루메이토일본어) (2013년 6월, 슈에이샤 / 2015년 9월, 슈에이샤 문고)
- 《양지의 천사들 소울메이트 II》(陽だまりの天使たち ソウルメイトII히다마리노 텐시타치 소루메이토 투일본어) (2015년 10월, 슈에이샤 / 2018년 10월, 슈에이샤 문고)
- 《러프 앤 터프》(ラフ・アンド・タフ라후 안도 다후일본어) (2014년 1월, 고단샤 / 2016년 12월, 고단샤 문고)
- 《돌아오지 않는 바다》(帰らずの海카에라즈노 우미일본어) (2014년 6월, 도쿠마 쇼텐 / 2016년 8월, 도쿠마 문고)
- 《설염》(雪炎세쓰엔일본어) (2015년 1월, 슈에이샤 / 2017년 11월, 슈에이샤 문고)
- 《언터쳐블》(アンタッチャブル안탓챠부루일본어) (2015년 5월, 마이니치신문샤 / 2018년 7월, 분슌 문고)
- 《살인의 허가증 언터쳐블 2》(殺しの許可証 アンタッチャブル2코로시노 쿄카쇼 안탓챠부루 투일본어) (2019년 11월, 마이니치신문샤 / 2024년 4월, 마이니치 문고)
- 《칸나비》(神奈備칸나비일본어) (2016년 6월, 슈에이샤 / 2019년 5월, 슈에이샤 문고)
- 《비할 자 없는》(比ぶ者なき쿠라부모노 나키일본어) (2016년 11월, 주오코론신샤 / 2020년 3월, 주코 문고)
- 《신의 눈물》(神の涙카미노 나미다일본어) (2017년 8월, 지츠교노니혼샤 / 2020년 12월, 지츠교노니혼샤 문고)
- 《푸른 산맥》(蒼き山嶺아오키 산레이일본어) (2018년 1월, 고분샤 / 2020년 12월, 고분샤 문고)
- 《비 내리는 숲의 개》(雨降る森の犬아메 후루 모리노 이누일본어) (2018년 6월, 슈에이샤 / 2020년 9월, 슈에이샤 문고)
- 《퍼펙트 월드》(パーフェクトワールド파후에쿠토 와루도일본어) (2018년 8월, 슈에이샤 문고 [상·하])
- 《골든가이 콜링》(ゴールデン街コーリング고루덴가이 코링구일본어) (2018년 12월, KADOKAWA / 2021년 12월, 가도카와 문고)
- 《사신의 깃발》(四神の旗시신노 하타일본어) (2020년 4월, 주오코론신샤 / 2023년 12월, 주코 문고)
- 《소년과 개》(少年と犬쇼넨토 이누일본어) (2020년 5월, 분게이슌주 / 2023년 4월, 분슌 문고)
- 《황금 여정》(黄金旅程오곤 료테이일본어) (2021년 12월, 슈에이샤 / 2024년 9월, 슈에이샤 문고)
- 《달의 왕》(月の王쓰키노 오일본어) (2022년 4월, KADOKAWA)
- 《로스트 인 더 터프》(ロスト・인・ザ・터프로스트 인 자 타후일본어) (2023년 10월, 분게이슌주)
- 《북신의 문》(北辰の門호쿠신노 몬일본어) (2024년 1월, 주오코론신샤)
- 《페스타》(フェスタ훼스타일본어) (2024년 3월, 슈에이샤)
4.1.2. 필명 소설
- 코가미 리쿠(古神陸코가미 리쿠일본어) 명의
- 《블루 아이즈 블루》(ブルー・아이즈・ブルー부루 아이즈 부루일본어) (1991년 3월 ~ 1992년 9월, 케이분샤)
- 《나의 사랑스러운 천사》(我が愛しの天使와가 이토시노 텐시일본어)
- 《전사들의 인연》(戦士たちの絆센시타치노 키즈나일본어)
- 《어리석은 자의 묘비》(愚か者の墓標오로카모노노 보효일본어)
- 《약속의 때》(約束の時야쿠소쿠노 토키일본어)
- 《아스트랄 시티》(アストラル・シティ아스토라루 시티일본어) (1993년 8월, 케이분샤)
- 《사나운 신의 문장》(猛き神の紋章다케키 카미노 몬쇼일본어)
- 《재앙신의 큰 웃음》(禍つ神の哄笑마가쓰카미노 코쇼일본어)
- 《쌍룡전》(双竜伝소류덴일본어) (1994년 8월, 쇼가쿠칸 슈퍼 퀘스트 문고)
- VOL.1
- VOL.2
- 《얼티밋 블레이드》(アルティメット・ブレイド아루티멧토 부레이도일본어) (1995년 9월, 쇼가쿠칸 슈퍼 퀘스트 문고)
- 《리본》(Ribbon리본일본어) (1996년 9월, KK 베스트셀러즈) - Bonbee!에서 발매된 동명 성인 게임의 소설화.
- 《블루 아이즈 블루》(ブルー・아이즈・ブルー부루 아이즈 부루일본어) (1991년 3월 ~ 1992년 9월, 케이분샤)
- 사야마 아키라(佐山アキラ사야마 아키라일본어) 명의
- 《위자드리 소설 앤솔로지》(ウィザードリィ小説アンソロジー위자도리 쇼세쓰 안소로지일본어) (1991년 8월, JICC 출판국) - 단편 《취한 어느 묘비》(酔いどれの墓標요이도레노 보효일본어) 집필.
4.2. 에세이 및 기타 저술
하세 세이슈는 소설 외에도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에세이와 평론을 집필했다.
- 《미스테리 쓰기!》(ミステリを書く!미스테리 오 카쿠!일본어) (1998년 10월, 빌리지 센터 출판국)
- 《문단 바》(文壇バー분단 바일본어) (2001년 6월, 가도카와 쇼텐)
- [개제] 《작가란 무엇인가?》(作家ってどうよ?삿카앗테 도요?일본어) (2004년 9월, 가도카와 문고)
- 《하세 세이슈의 식인도깨비》(馳星周の喰人魂하세 세이슈노 쿠진곤일본어) (2013년 5월, 주오코론신샤)
4.2.1. 반려견 관련 에세이
- 《우리집 귀염둥이》(うちの秘蔵っ子우치노 히조코일본어) (2001년 6월, 지츠교노니혼샤)
- 《마이 프랜드 BOOK》(マイフレンドBOOK마이 후렌도 북일본어) (2001년 9월, PHP 연구소)
- 《사랑의 기억 - Crea due》(愛の記憶-Crea due아이노 키오쿠 - 크레아 두에일본어) (2001년 12월, 분게이슌주)
- 《달리자, 마지》(走ろうぜ、マージ하시로제, 마지일본어) (2006년 6월, 가도카와 쇼텐 / 2014년 7월, 가도카와 문고)
- 《개로부터의 멋진 선물》(犬からの素敵な贈りもの이누카라노 스테키나 오쿠리모노일본어) (2007년 12월, 인포레스트)
- 《약속 - 가장 사랑하는 강아지들에게》(約束-最愛の犬たちへ야쿠소쿠 - 사이아이노 이누타치에일본어) (2008년 1월, 분게이슌주)
4.2.2. 축구 관련 에세이
- 《유럽 정복 기행》(欧州征服紀行오슈 세이후쿠 키코일본어) (2002년 6월, 가도카와 쇼텐)
- 《The Road to World Cup 2002 - 월드컵으로의 길 1998년부터 2002년까지 궤적》(The Road to World Cup2002-ワールドカップへの道1998から2002までの軌跡더 로드 투 월드컵 2002 - 와루도캇푸 에노 미치 1998카라 2002마데노 키세키일본어) (2002년 6월, 가도카와 쇼텐) - 가네코 다쓰히토(金子達仁가네코 다쓰히토일본어) 공저
- 《축구 전쟁 - 하세 세이슈적 월드컵 관전기》(蹴球戦争(フットボール・ウォー)-馳星周的W杯観戦記슈큐 센소 - 하세 세이슈테키 월드컵 칸센키일본어) (2002년 7월, 분게이슌주 / 2004년 7월, 분슌 문고)
4.2.3. 기타 저술
- 《반도에게 물어!》(バンドーに聞け!반도니 키케!일본어) (1997년 8월, 책의 잡지사 / 2002년 6월, 분슌 문고) - 반도 도시히토 명의
- 《CD-ROM BOOK 영화 은반 "불야성"》(CD-ROM BOOK「電影銀盤"不夜城"」CD-ROM 북 덴에이 긴반 후야조일본어) (1998년 6월, 가도카와 쇼텐)
- 《작가의 독서도 2》(作家の読書道2삿카노 도쿠쇼도 투일본어) (2007년 8월, 책의 잡지사) - 독서 편력 인터뷰집
- 《리얼 시가 가이드》(リアル・シガー・ガイド리아루 시가 가이도일본어) (2008년 8월, 슈에이샤) - 실천적 시가론
4.3. 인터뷰 및 대담
- 《축구 중독》(蹴球中毒 金子達仁슈큐 추도쿠 가네코 다쓰히토일본어) (1998년 9월, 분게이슌주 / 2001년 6월, 분슌 문고) - 가네코 다쓰히토와의 대담
- 《되살아나는 야수 - 오오야부 하루히코의 세계》(蘇える野獣-大藪春彦の世界요미가에루 야주 - 오오야부 하루히코노 세카이일본어) (1999년 2월, 도쿠마 쇼텐)
- 《VS. 하세 세이슈 탑 애슬리트 대담집》(VS.馳星周 トップアスリート対談集브이에스 하세 세이슈 톱 아스리토 다이단슈일본어) (2009년 10월, 아스펙트)
5. 수상 및 후보 이력
하세 세이슈는 수많은 문학적 성과를 통해 여러 주요 문학상을 수상하고 후보에 올랐다.
연도 | 작품명 | 상의 종류 | 결과 |
---|---|---|---|
1997년 | 《불야성》 | 제116회 나오키상 | 후보 |
1997년 | 《불야성》 | 제18회 요시카와 에이지 문학 신인상 | 수상 |
1997년 | 《불야성》 | 제15회 일본 모험 소설 협회 대상 (국내 부문) | 수상 |
1998년 | 《진혼가 불야성 II》 | 제51회 일본추리작가협회상 (장편 부문) | 수상 |
1999년 | 《표류가》 | 제1회 오오야부 하루히코상 | 수상 |
1999년 | 《야광충》 | 제120회 나오키상 | 후보 |
2000년 | 《M》 | 제122회 나오키상 | 후보 |
2002년 | 《다크 문》 | 제15회 야마모토 슈고로상 | 후보 |
2004년 | 《생탄제》 | 제130회 나오키상 | 후보 |
2007년 | 《약속의 땅에서》 | 제138회 나오키상 | 후보 |
2015년 | 《언터쳐블》 | 제153회 나오키상 | 후보 |
2020년 | 《소년과 개》 | 제163회 나오키상 | 수상 |
6. 미디어화 및 협력
하세 세이슈의 작품은 여러 미디어로 각색되었으며, 그는 직접 시나리오 감수 등에 참여하기도 했다.
6.1. 영화 및 만화화
- 영화
- 《불야성 SLEEPLESS TOWN》(不夜城 SLEEPLESS TOWN후야조 슬리플리스 타운일본어)
- 1998년 6월 27일 개봉, 배급: 도에이, 아스믹 에이스
- 감독: 이지(李志毅리치아이중국어), 주연: 가네시로 다케시, 야마모토 미라이
- 《표류가 THE HAZARD CITY》(漂流街 THE HAZARD CITY효류가이 더 해저드 시티일본어)
- 2000년 11월 11일 개봉, 배급: 도호
- 감독: 미이케 다카시, 주연: TEAH, 이가흔(李嘉欣리자신중국어)
- 《M》(M엠일본어)
- 2007년 9월 15일 개봉, 배급: 해피넷
- 감독: 히로키 류이치, 주연: 미온, 고라 겐고
- 《소년과 개》(少年と犬쇼넨토 이누일본어)
- 2025년 개봉 예정, 배급: 도호
- 감독: 세제 다카히사, 주연: 다카하시 후미야, 니시노 나나세
- 《불야성 SLEEPLESS TOWN》(不夜城 SLEEPLESS TOWN후야조 슬리플리스 타운일본어)
- 만화
- 《불야성》(不夜城후야조일본어) (1998년 6월, 가도카와 코믹스 에이스)
- 작화: 야마모토 아쓰시(山本貴嗣야마모토 아쓰시일본어)
- 《불야성》(不夜城후야조일본어) (1998년 6월, 가도카와 코믹스 에이스)
6.2. 비디오 게임 협력
하세 세이슈는 유명 비디오 게임의 시나리오 감수에도 참여했다.
- 《용과 같이》(龍が如く류가 고토쿠일본어) (2005년, 세가) - 시나리오 감수
- 《용과 같이 2》(龍が如く2류가 고토쿠 투일본어) (2006년, 세가) - 시나리오 감수
- 《얼티밋 블레이드》(アルティメットブレイド아루티멧토 부레이도일본어) (1995년, 팝콤소프트) - 원작 제공 PC 게임
7. 개인 생활
하세 세이슈의 개인적인 삶은 그의 작품 세계만큼이나 다양한 면모를 가지고 있다.
7.1. 가족과 생활 방식
하세 세이슈의 결혼기념일은 11월 11일이다. 그는 스스로 좋은 부모가 될 수 없다는 판단하에 자녀를 두지 않았으며, 아이를 경솔하게 갖는 사람들이 많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그의 조카딸이 소설 《비 내리는 숲의 개》의 주인공 모델이 되었다.
그는 자신의 반려견 마지(Marge영어) (종: 버니즈 마운틴 독)를 위해 나가노현 가루이자와정에 별장을 구입했다. 마지가 죽은 후에는 카루이자와로 아예 이주하여 생활하고 있으며,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근황을 전하고 있다.
7.2. 취미와 관심사
하세 세이슈는 다양한 취미 활동을 즐긴다. 그는 시가 애호가로, 2005년부터 《월간 플레이보이》 일본판에 '나만의 시가 독본'(俺流シガー読本오레류 시가 도쿠혼일본어)이라는 칼럼을 연재하여 단행본으로 출판하기도 했다. 축구를 좋아하며, 특히 스페인을 선호하는 국가로 꼽는다. 사진 촬영도 취미로, 자신이 찍은 사진을 웹상에 필명으로 게시하기도 한다. 펑크 록 음악의 팬으로, 블랭키 젯 시티(BLANKEY JET CITY블랭키 젯 시티일본어) 밴드를 높이 평가한다. 또한, 그는 경주마 스테이골드와 그 혈통의 팬으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그의 소설 《황금 여정》(黄金旅程오곤 료테이일본어)은 스테이골드를 소재로 한 작품이다. 그는 아내 외의 사람들과도 경주마 가족의 승리 기쁨을 나누고 싶어 트위터를 시작했다고 밝힌 바 있다.
8. 대외 활동
하세 세이슈는 강연과 방송 출연 등을 통해 대중과 소통했다.
- 《BS 만화 야화》(BSマンガ夜話비에스 망가 야와일본어) (NHK BS2) - 1999년 3월 8일 방영된 《베르세르크》 편과 1999년 8월 30일 방영된 《데빌맨》 편에 게스트로 출연했다.
- 《TV 심포지엄 "후히토가 만드는 나라의 모습 ~일본서기 1300년~"》(TVシンポジウム「不比等が造る国のかたち~日本書紀1300年~」티브이 신포지움 후히토가 쓰쿠루 쿠니노 카타치 ~ 니혼쇼키 센산뱌쿠넨~일본어) (2021년 4월 3일, NHK E테레)에 출연했다.
9. 평가와 영향
하세 세이슈의 작품은 일본 문단과 독자들에게 독특한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9.1. 전반적인 평가
하세 세이슈의 작품은 날카로운 묘사와 예측 불가능한 전개로 독자들을 사로잡으며, 일본 문단에서 누아르 장르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스스로 일본에서 노와르를 의식하고 글을 쓰는 작가는 자신뿐이라고 주장하며, 이 장르에 대한 깊은 자부심과 전문성을 드러낸다. 그의 소설은 때로는 잔혹하고 폭력적인 묘사로 비판받기도 하지만, 그 이면에 인간의 본질적인 고뇌와 사회의 어두운 면을 탐구하는 진지한 시선을 담고 있어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특히 《소년과 개》로 나오키상을 수상하며 대중적 인기는 물론 문학적 권위까지 확보했다.
9.2. 사회적, 문화적 영향
하세 세이슈의 작품은 단순히 범죄 이야기를 넘어 사회의 부조리, 인간 소외, 경제 지상주의의 폐해 등 다양한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그는 젊은 세대의 나약함이나 일본의 경제 지상주의적 태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작품을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내기도 한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암흑 사회의 인물들은 현대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반영하며, 독자들에게 현실에 대한 성찰을 유도한다. 또한, 그의 소설이 영화, 만화,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로 확장되면서 그의 작품 세계는 더 넓은 대중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용과 같이》 시리즈의 시나리오 감수는 일본 비디오 게임 역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그는 단순한 장르 작가를 넘어 사회 현상을 통찰하고 인간의 어두운 면을 탐구하는 작가로서 일본 문화에 의미 있는 기여를 했다고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