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푸아드 무주로비치(Fuad Muzurović보스니아어, 1945년 11월 3일 ~ )는 보스니아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축구 감독입니다. 그는 선수 시절 사라예보에서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수비수로서 이름을 알렸습니다. 감독으로서는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클럽 팀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을 두 차례 이끌며 폭넓은 경력을 쌓았습니다. 특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가대표팀의 초대 감독으로서 팀의 역사적인 첫 승리를 이끌었으며, 사라예보 감독 재임 시절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컵을 우승하며 유일한 감독 경력 트로피를 획득했습니다.
2. 선수 경력 및 초기 생애
푸아드 무주로비치는 1945년에 태어나 보스니아 축구계에 큰 발자취를 남긴 인물입니다. 그의 출생 배경과 선수로서의 중요한 경력을 아래에서 다룹니다.
2.1. 초기 생애
푸아드 무주로비치는 1945년 11월 3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비옐로 폴례에서 태어났습니다.
2.2. 선수 경력
무주로비치는 현역 시절 풀백으로 활약했습니다. 그는 주로 고향 클럽인 예딘스트보 비옐로 폴례와 사라예보에서 뛰었습니다. 특히 사라예보 소속으로 1966-67 시즌에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선수로서 최고의 영예를 누렸습니다. 사라예보에서는 1964년부터 1974년까지 265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습니다. 이후 1975년에는 예딘스트보 비옐로 폴례에서 뛰었습니다. 그는 비록 국제적인 선수 경력은 없었지만, 당시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에도 선발되어 나도베자 페타르와 함께 뛰기도 했습니다.
q=Sarajevo|position=right
3. 감독 경력
푸아드 무주로비치는 선수 은퇴 후 감독으로서 매우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습니다. 비록 많은 트로피를 획득하지는 못했지만, 다양한 국가에서 여러 팀을 이끌며 지도력을 발휘했습니다. 그의 광범위한 감독 경력을 시간순으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합니다.
3.1. 초기 감독 경력
무주로비치의 첫 감독직은 그의 선수 시절 소속팀이었던 사라예보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는 1977년부터 1981년까지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서 팀을 이끌었으며, 1980년에는 준우승을 기록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이어서 1983년부터 1984년까지는 프리슈티나의 감독을 맡아 신생팀이었던 프리슈티나가 1983-84 시즌에 리그 8위를 차지하며 구단 역사상 최고 성적을 기록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그는 1985년부터 1986년까지 다시 프리슈티나의 감독을 맡았습니다. 다음으로 1987년에는 튀르키예 클럽인 아다나 데미르스포르에서 1년간 감독직을 수행했습니다. 1990-91 시즌에는 사라예보의 감독으로 두 번째 부임했습니다.
3.2.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가대표팀 1기
보스니아 전쟁 이후, 푸아드 무주로비치는 새롭게 창단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가대표팀의 초대 감독으로 부임했습니다. 그는 1995년 11월 30일부터 1997년 11월 7일까지 국가대표팀을 이끌며 사라예보에서 덴마크를 상대로 3대0의 스릴 넘치는 역사적인 승리를 거두는 등 중요한 업적을 남겼습니다. 그러나 1998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고, 1998년 제말루딘 무쇼비치가 그의 후임으로 임명되었습니다.
3.3. 이후의 클럽 감독 경력
국가대표팀 감독직 이후 무주로비치는 다시 클럽 축구로 돌아왔습니다. 1998-99 시즌에는 튀르키예 클럽 아다나스포르의 감독으로 두 달간 재임했습니다. 이후 1999년에는 카타르의 알 아라비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2001-02 시즌에는 사라예보의 감독으로 세 번째이자 마지막 부임을 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컵을 우승하며 감독 경력 중 유일한 트로피를 획득했습니다. 2002년 7월에는 이집트 프리미어리그 클럽 알 마스리의 감독이 되었지만, 같은 해 12월에 팀을 떠났습니다.
3.4. 세레소 오사카
q=Osaka|position=left
2004년 2월 1일, 일본 J1리그 클럽인 세레소 오사카 이사회는 푸아드 무주로비치를 새로운 감독으로 임명했습니다. 이 임명은 당시 세레소 오사카 감독으로 내정되어 있던 나도베자 페타르가 협심증 발작으로 인해 감독직을 사임하게 되자, 그의 친구인 나도베자를 돕기 위해 무주로비치가 제안을 받아들이면서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감독 취임이 세레소 오사카의 훈련 시작 전날 결정되는 등 촉박하게 진행되어 준비 부족 상태가 명백했습니다. 그는 단 두 경기(리그전 2패)만에 해고되어 J1 리그 역사상 두 번째로 빠른 감독 경질 기록을 세웠습니다. 공식전으로는 리그전 2경기와 J리그컵 1경기(1무)를 포함해 총 3경기에서 1무 2패를 기록한 후 팀과의 방침 차이로 인해 해임되었습니다.
3.5.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가대표팀 2기
세레소 오사카에서 경질된 지 거의 3년 후인 2006년 12월 21일, 무주로비치는 두 번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가대표팀의 사령탑에 올랐습니다. 그의 2기 재임 기간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승리 중 하나는 2007년 6월 2일 UEFA 유로 2008 예선에서 튀르키예를 상대로 홈에서 3대2로 승리한 경기였습니다. 이 경기에서는 훗날 보스니아의 전설적인 공격수가 되는 에딘 제코가 국제 무대 데뷔전을 치르기도 했습니다. 무주로비치는 2007년 12월 17일까지 국가대표팀 감독직을 수행했습니다.
4. 감독 기록
아래는 푸아드 무주로비치의 팀별 감독 기록입니다. 이 표는 그의 감독 경력 통계를 팀별 및 기간별로 상세히 제시하며, 경기 수, 승패, 무승부, 득점, 실점, 승률 등을 포함합니다.
팀 | 시작일 | 종료일 | 기록 | |||||||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률 (%) | |||
사라예보 | 1977년 7월 1일 | 1981년 9월 1일 | 146 | 61 | 31 | 54 | 224 | 213 | +11 | 41.8 |
프리슈티나 | 1983년 7월 1일 | 1984년 6월 30일 | 35 | 15 | 3 | 17 | 39 | 57 | -18 | 42.9 |
프리슈티나 | 1985년 7월 1일 | 1986년 6월 30일 | 35 | 13 | 5 | 17 | 37 | 48 | -11 | 37.1 |
아다나 데미르스포르 | 1987년 7월 1일 | 1988년 11월 28일 | 53 | 20 | 7 | 26 | 60 | 64 | -4 | 37.7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1995년 11월 30일 | 1997년 11월 7일 | 18 | 7 | 2 | 9 | 21 | 25 | -4 | 38.9 |
아다나스포르 | 1998년 7월 1일 | 1998년 9월 30일 | 7 | 1 | 1 | 5 | 2 | 9 | -7 | 14.3 |
사라예보 | 2001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39 | 18 | 10 | 11 | 66 | 37 | +29 | 46.2 |
알 마스리 | 2002년 7월 1일 | 2002년 12월 30일 | 16 | 8 | 5 | 3 | 17 | 13 | +4 | 50.0 |
세레소 오사카 | 2004년 2월 1일 | 2004년 3월 22일 | 2 | 0 | 0 | 2 | 3 | 6 | -3 | 0.0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2006년 12월 21일 | 2007년 12월 17일 | 9 | 3 | 0 | 6 | 11 | 16 | -5 | 33.3 |
총계 | 360 | 146 | 64 | 150 | 480 | 488 | -8 | 40.6 |
5. 수상 기록
푸아드 무주로비치는 선수와 감독으로서 다음과 같은 주요 타이틀을 획득했습니다.
5.1. 선수 시절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1966-67 (사라예보)
5.2. 감독 시절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컵: 2001-02 (사라예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