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및 초기 경력
박문요 기사는 어린 시절부터 바둑에 두각을 나타내며 프로 기사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의 바둑 교육 과정과 프로 입단 및 승단 이력은 다음과 같다.
1.1. 유년기 및 바둑 교육
박문요는 1988년 4월 25일 헤이룽장성 하얼빈시에서 태어났다. 7세에 바둑을 배우기 시작했으며, 헤이룽장 치위안(黑龍江棋院)에서 천자오펑, 주옌밍, 쉬즈이 등의 스승에게 지도를 받았다. 2000년에는 전국소년바둑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같은 해 아버지를 사고로 잃으면서 가정 형편이 어려워졌지만, 조훈현 9단(한국)의 도움을 받아 베이징에서 바둑 공부를 계속할 수 있었다. 2004년에는 삼성화재배 예선에 초청받기도 했다. 2005년에는 국가소년바둑팀에 합류하며 더욱 체계적인 훈련을 받게 되었다.
1.2. 프로 입단 및 단 승단
박문요는 1999년 11세의 나이로 프로 바둑에 입단하여 초단(1단)이 되었다. 이후 단 승단은 다음과 같다.
- 1999년: 초단(1단)
- 2001년: 2단
- 2001년: 3단
- 2005년: 4단
- 2007년: 5단
- 2011년: 9단 (제15회 LG배 세계기왕전 우승으로 승단)
2. 주요 업적 및 경력 하이라이트
박문요는 프로 경력 전반에 걸쳐 국내외 주요 대회에서 인상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국제 대회에서의 우승은 그의 이름을 세계 바둑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2.1. 타이틀 및 준우승 기록
박문요가 획득한 주요 우승 타이틀과 준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2.1.1. 국제 대회
| 타이틀 | 우승 연도 | 준우승 연도 |
|---|---|---|
| LG배 세계기왕전 | 2011 | |
| 아함동산배 한중대항전 | 2011 | |
| 도요타덴소배 (도요타&덴소배 세계왕좌전) | 2009 |
2.1.2. 국내 대회
| 타이틀 | 우승 연도 | 준우승 연도 |
|---|---|---|
| CCTV배 중국바둑TV쾌기전 (초상은행배 중국바둑TV쾌기전) | 2007 | |
| 전국바둑개인전 | 2010 | |
| 아함동산배 중국바둑쾌기오픈전 | 2011 | |
| 서남왕전 | 2012 | 2010 |
| 명인전 | 2008 | |
| 리코배 바둑전 | 2012 | |
| 창치배 중국프로바둑선수권전 | 2014 |
2.2. 국제 대회 성적
박문요의 주요 국제 바둑 토너먼트에서의 구체적인 성적은 다음과 같다.
| 대회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 잉씨배 | 16강 | - | 8강 | - | 16강 | - | ||||
| 후지쯔배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8강 | 4강 | 8강 | 중지 | - | |
| 삼성화재배 | 16강 | 8강 | 32강 | 불참 | 불참 | 불참 | 32강 | 불참 | 불참 | 불참 |
| LG배 세계기왕전 | 4강 | 불참 | 불참 | 불참 | 4강 | 우승 | 16강 | 32강 | 불참 | 불참 |
| 춘란배 | - | 불참 | - | 불참 | - | 불참 | - | 8강 | - | 불참 |
| BC카드배 | - | 8강 | 불참 | 64강 | 4강 | 중지 | - | |||
| 도요타덴소배 (도요타배) | 16강 | - | 준우승 | 중지 | - | |||||
| 바이링배 | - | 64강 | - | 32강 | ||||||
| 몽백합배 | - | 64강 | - | |||||||
| TV 아시아 | 불참 | 불참 | 1회전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 농심 신라면배 | 불참 | 불참 | 불참 | 0승 1패 | 불참 | 불참 | 0승 1패 | 불참 | 불참 | 불참 |
- LG배 세계기왕전**:
- 2005년: 4강에 진출, 왕리청, 쑤야오궈, 박정상을 꺾고 천야오예에게 패했다.
- 2009년: 4강에 진출, 홍민표, 허영호, 구리를 꺾고 이창호에게 패했다.
- 2011년: 결승에서 쿵제를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그에게 첫 세계 타이틀 우승이자 9단 승단으로 이어졌다. 당시 최연소 중국 기사 세계전 우승 기록을 세웠다.
- 도요타&덴소배 세계왕좌전**: 2009년 결승에 진출하여 구리에게 0-2로 패해 준우승을 기록했다.
- 후지쯔배**: 2010년 4강에 진출, 리제, 야마시타 게이고, 박영훈을 꺾고 이세돌에게 패했다.
- 삼성화재배 세계오픈전**: 2006년 8강에 진출, 유창혁, 야마시타 게이고를 꺾고 이창호에게 패했다.
- BC카드배 세계바둑선수권**: 2012년 4강에 진출했다.
-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즈**:
- 2008년: 남자 단체전 중국 대표로 출전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예선에서 5승 1패(일본의 야마시타 게이고에게 1패), 결승에서 2승 1패(한국의 김지석에게 1패)를 기록했다.
- 2011년: 남자 단체전 금메달, 남녀 페어전 금메달(파트너 리허)을 획득했다.
-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2008년에 강동윤에게 1패, 2012년에 김지석에게 1패를 기록했다.
- 강원랜드배 한중바둑대항전**: 2006년 이세돌에게 1패를 기록했다.
- 초상부동산배 한중바둑단체대항전**: 2012년 원성진에게 1승을 기록했다.
2.3. 국내 대회 성적
박문요는 중국 내 주요 바둑 토너먼트에서도 다음과 같은 성과를 거두었다.
- 초상은행배 중국바둑TV쾌기전**: 2007년 결승에서 천야오예를 꺾고 첫 기전 우승을 차지했다.
- 전국바둑개인전**: 2010년 우승을 차지했다.
- 아함동산배 중국바둑쾌기오픈전**: 2011년 우승을 차지했다.
- 서남왕전**: 2012년 우승을 차지했다.
- 홍통배 국가바둑팀 승단전**: 2012년에 5승 1패를 기록했다. (미위팅, 퉈자시, 양딩신, 장웨이제, 판팅위에게 승리, 스웨에게 패배)
2.4. 팀 및 리그 활동
박문요는 단체전 및 프로 리그에서도 활발히 활동했다.
초기에는 을급리그의 헤이룽장 팀(헤이룽장 우청)에 소속되었으나, 2005년에 갑급리그의 다롄 팀(다롄 상팡)으로 이적했다. 2006년부터는 구이저우 팀(구이저우 커쑤팅/구이저우 바이훈)으로 이적하여 오랫동안 활동했다. 2016년부터는 민생은행 베이징 팀 소속으로 활동했다.
- 중국 갑조리그 성적**:
- 2005년 (다롄 상팡): 13승 8패
- 2007년 (구이저우 커쑤팅): 16승 5패
- 2008년 (구이저우 바이훈): 13승 9패
- 2009년 (구이저우 바이훈): 13승 9패
- 2010년 (구이저우 바이훈): 12승 9패
- 2011년 (구이저우 바이훈): 14승 8패
- 2012년 (구이저우 바이훈): 10승 8패
- 2013년 (구이저우 바이훈): 14승 7패
- 2014년 (구이저우 바이훈): 4승 6패
- 2015년 (구이저우 바이훈): 2승 8패
- 전국 지력 운동회**:
- 2009년: 남녀 페어전 5위 (왕니차오와 페어)
- 2015년: 남자 단체전 9위
3. 선수 랭킹
박문요는 중국 기사 랭킹에서 상위권을 기록했다.
- 2007년: 6위
- 2008년: 5위
4. 유산 및 평가
박문요는 천야오예 등과 함께 중국 바둑계의 '소표 세대'로 불리며, 중국 바둑의 황금기를 이끈 주역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2011년 LG배 세계기왕전 우승은 그가 세계 최정상급 기사로 자리매김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당시 중국 기사 중 최연소 세계전 우승 기록을 세웠다. 그의 꾸준한 활약은 중국 바둑의 깊이와 저력을 보여주는 데 기여했다.
5. External links
- [http://baike.baidu.com/view/2375609.htm 百度百科「朴文垚」]
- [http://fuseki.info/games_list.php?lang=en&sb=full&d=0&q=Piao+Wenyao&q2=&bs=pl Fuseki Info: Piao Wenyao 경기 목록]
- [http://gogameworld.com/gophp/playerinfo.php?name=Piao%20Wenyao GoGameWorld: Piao Wenyao 선수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