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파즐-에-하크 카이라바디는 인도의 무슬림 가정에서 태어나 학문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으며, 인도 독립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1.1. 출생 및 배경
파즐-에-하크 카이라바디는 1796년 또는 1797년에 싯타푸르의 카이라바드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무굴 제국의 종교 문제 최고 고문이었던 صدر الصدور사드르 알-사드루르아랍어였습니다. 그는 명문가 출신으로, 이는 그의 학문적 성장과 사회적 지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2. 교육 및 초기 경력
그는 13세의 어린 나이에 이미 교사가 될 정도로 학문적 재능이 뛰어났습니다. 1828년에는 Qaza카자아랍어 부서의 무프티로 임명되어 종교적, 법학적 권위를 인정받았습니다. 그는 아들 압둘 학 카이라바디와 함께 인도 북부에 마드라사 카이라바드를 설립하여 많은 학자들을 양성했습니다.
2. 학문적 및 종교적 업적
파즐-에-하크 카이라바디는 뛰어난 학문적 깊이와 종교적 통찰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습니다. 특히 이슬람 신학과 이슬람 법학 분야에서 깊이 있는 지식을 선보였으며, 당시의 논쟁적인 신학적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자신의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2.1. 신학 및 법학
그는 수니 이슬람의 주요 법학 학파 중 하나인 하니피 학파를 따랐으며, 마투리디 학파의 저명한 신학자였습니다. 이슬람학 및 신학 외에도 논리학, 철학, 문학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인 문학인이었습니다. 그의 심오한 지식과 박식함 덕분에 '알라마'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후에는 위대한 수피로 존경받았습니다. 그는 또한 논리학, 철학, 문학의 이맘으로 불렸고, 당시 학자들 사이에서 종교적 판결인 파트와를 내리는 데 있어 최종 권위자로 여겨졌습니다.

2.2. 샤 이스마일 델흘비에 대한 반박
카이라바디는 샤 이스마일 델흘비의 저서인 Taqwiyat al-Iman타크위야트 알-이만아랍어을 반박하기 위해 Tahqeeq al-Fatwa Fi Abtal al-Taghwa타흐키크 알-파트와 피 아브탈 알-타그와아랍어를 저술했습니다. 이 저서는 델흘비의 신학적 주장에 대한 그의 비판적 입장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2.3. 와하비즘에 대한 파트와
그는 와하비즘에 반대하는 여러 Masnavis마스나비아랍어를 저술했습니다. 1825년, 카이라바디는 샤 이스마일 델흘비가 주장한 '신의 거짓 가능성(Imkan al-Kidhb)' 교리에 반대하는 파트와를 발표했습니다. 이 교리는 데오반디 운동의 지적 선조로 여겨지는 이스마일 델흘비의 사상에서 비롯되었으며, 이후 다룰 울룸 데오반드의 설립자인 라시드 아흐마드 강고히가 이를 지지하여 "신은 거짓말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교리에 따르면, 신은 전능하기 때문에 거짓말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강고히는 또한 무함마드 이후에도 추가적인 선지자를 만들 수 있다거나(Imkan al-Nazir) 다른 선지자들이 무함마드와 동등할 수 있다는 교리까지 지지했습니다.
그러나 알라마 파즐-에-하크 카이라바디는 이러한 이론들을 강력히 반박하며, 쿠란과 하디스에 따르면 무함마드가 최후의 선지자이며 그 이후에는 어떤 선지자나 '메신저'도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만약 다른 무함마드가 있을 수 있다고 믿는다면, 이는 알라가 쿠란에서 말한 것과 다른 행동을 했다는 의미이며, 이는 알라가 거짓말을 했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는 거짓말은 결함이며, 알라에게는 결함이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교리가 신성을 훼손한다고 보았습니다.
3. 인도 독립 운동에서의 역할
파즐-에-하크 카이라바디는 영국 식민 통치에 대한 강력한 반대자로, 인도 독립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특히 1857년 인도 대반란 당시 대중을 봉기로 이끈 핵심 인물 중 한 명이었습니다.
3.1. 영국 식민 통치에 대한 반대
인도인들이 영국의 식민 통치에 맞서 투쟁하기 시작하자, 카이라바디는 1857년 5월까지 무굴 제국 황제 바하두르 샤 자파르와 여러 차례 비공개 회의를 가졌습니다. 그는 영국 식민 통치에 대해 지속적으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이에 맞선 활동을 펼쳤습니다.
3.2. 1857년 반란과 파트와
1857년 6월 26일, 바흐트 칸 장군이 14,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델리에 도착했을 때, 카이라바디는 수많은 무슬림 학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금요 예배 설교를 통해 영국 식민 정부에 대한 군사 지하드를 지지하는 종교적 판결(파트와)을 발표했습니다. 이 파트와에는 사드루딘 아즈르다, 압둘 카디르, 파이줄라 데할비, 파이즈 아흐메드 바다유니, 와지르 칸, 사이드 무바라크 샤 람푸리 등 저명한 학자들이 서명했습니다. 이 판결을 통해 그는 사람들에게 1857년 인도 반란에 참여하도록 독려했습니다. 이 파트와가 발표된 후, 영국군은 지하드의 확산을 막고 자국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델리 주변에 약 90,000명의 병력을 배치했습니다. 당국은 그를 "영국 인도 주둔에 가장 위험한 위협으로 간주되어야 할 비범한 지능과 통찰력을 가진 인물이며, 따라서 인도 본토에서 추방되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는 반란의 주요 동력원으로 지목되었고, 대중을 동인도 회사의 권위에 맞서 봉기하도록 설득하고, 독립 전쟁이라고 부르며 대중을 반란에 참여하도록 독려하며 폭력을 선동하는 파트와를 발표하고 도발적인 연설을 했다는 혐의를 받았습니다. 전쟁 발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기독교 영국 정부가 인도인들의 종교를 파괴하고 기독교로 개종시키려 한다는 대중의 두려움이었습니다.
3.3. 체포, 재판 및 추방
1859년 1월 30일, 그는 폭력 선동 혐의로 카이라바드에서 영국 당국에 체포되었습니다. 재판에서 그는 살인 선동과 반란 가담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그는 자신을 변호하기 위해 스스로 변호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그의 변호는 너무나 설득력이 있어서 재판장이 무죄 판결을 작성하고 있을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파트와를 내린 사실을 고백하며 거짓말을 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결국 그는 안다만 제도의 칼라파니 감옥에서 종신형을 선고받았고, 그의 재산은 아와드 법원의 사법 위원에 의해 압류되었습니다. 그는 1859년 10월 8일 증기 프리깃함 '파이어 퀸 호'를 타고 안다만 제도에 도착하여 1861년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 수감되었습니다.
4. 저술 및 출판물
파즐-에-하크 카이라바디는 학문적 업적 외에도 문학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여 다양한 저서와 시를 남겼습니다.
4.1. 주요 저서
그의 주요 저서로는 샤 이스마일 델흘비의 Taqwiyat al-Iman타크위야트 알-이만아랍어을 반박하는 Tahqeeq al-Fatwa Fi Abtal al-Taghwa타흐키크 알-파트와 피 아브탈 알-타그와아랍어가 있습니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중요한 저서들을 남겼습니다.
- al-Hidayah al-Sayyidiyya알-히다야 알-사이디야아랍어
- al-Raudh al-Majud : Maslahi Wahdat al-Wujud Ki Buland Payah Takhliq알-라우드 알-마주드 : 마슬라히 와흐다트 알-우주드 키 불란드 파야 타흘리크아랍어
- al-Ḥashiyya lil-Mawlawi Fazl e Haq Khairabadi ʻala Sharh al-Salam lil-Qadi Mubarak알-하시야 릴-마울라위 파즐-에-하크 카이라바디 알라 샤르흐 알-살람 릴-카디 무바라크아랍어
- al-Thawra al-Hindiyya알-사우라 알-힌디야아랍어: 이 책은 1857년 인도 대반란의 전쟁과 사건에 대한 분석을 담고 있으며, 1857년 사건에 대한 최초의 저서로 평가됩니다. 그는 이 책을 아랍어로 저술했습니다.
4.2. 문학적 활동
그는 우르두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문학에서 활발히 활동한 문학인이자 시인이었습니다. 400편 이상의 아랍어 시가 그에게 귀속됩니다. 그는 미르자 갈리브의 요청으로 그의 첫 번째 시집인 디완을 편집하기도 했습니다. 미르자 갈리브를 비롯한 당대 저명한 시인, 작가, 지식인들과 주고받았던 재치 있는 대화에 대한 많은 일화가 전해집니다.
5. 개인적인 삶
파즐-에-하크 카이라바디는 학문적 명성과 더불어 존경받는 가족 관계를 형성하며 사회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5.1. 가족 관계
그는 파루키 출신입니다. 그의 아버지는 이맘 파즐-에-이만이며, 그의 아들 중 한 명인 압둘 학 카이라바디는 선도적이고 존경받는 학자로 'Shams al-Ulama샴스 알-울라마아랍어'라는 칭호를 받았습니다. 압둘 학 카이라바디는 또한 합리적인 학자이자 마지드 알리 자운푸리의 스승이었습니다. 그의 손자는 저명한 시인인 무즈타르 카이라바디입니다. 유명한 시인이자 작사가인 잔 니사르 악타르는 그의 증손자이며, 자베드 악타르, 파르한 악타르, 조야 악타르 등 모두 그의 후손입니다.
5.2. 칭호 및 존경
그는 심오한 지식과 학식으로 인해 '알라마'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후에는 위대한 수피로 존경받았습니다. 그는 또한 논리학, 철학, 문학의 이맘으로 불리며 당대 학자들 사이에서 종교적 판결(파트와)을 내리는 데 있어 최종 권위자로 여겨질 정도로 높은 명성을 얻었습니다. 그는 뛰어난 기지와 높은 지능을 지녔으며, 미르자 갈리브를 비롯한 당대 저명한 시인, 작가, 지식인들과의 재치 있는 대화에 대한 많은 일화가 전해집니다.
6. 사망
파즐-에-하크 카이라바디는 1861년 8월 19일 안다만 제도에서 망명 중 사망했습니다. 그는 안다만 감옥에서 22개월 동안 수감 생활을 했습니다. 수감 중에도 그는 아랍어로 된 시(Qaseeda카세다아랍어) 형태로 여러 목격담을 기록했으며, 1857년 전쟁과 사건을 분석한 책인 al-Thawra al-Hindiyya알-사우라 알-힌디야아랍어를 저술했습니다. 이 책은 1857년 사건에 대한 최초의 저서이기도 합니다.
7. 유산 및 평가
파즐-에-하크 카이라바디는 그의 사상, 저술, 그리고 인도 독립 운동에서의 역할이 후대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는 영국의 식민 통치에 맞서 1857년 인도 대반란을 선동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그의 종교적 판결(파트와)은 대중의 봉기를 이끌어내는 데 큰 동력이 되었습니다. 그의 와하비즘과 데오반디 교리에 대한 신학적 반박은 이슬람 사상의 순수성을 지키려는 그의 노력을 보여줍니다. 특히 '신의 거짓 가능성'에 대한 그의 논쟁은 이슬람 신학의 중요한 한 축을 형성했습니다. 수감 중에도 al-Thawra al-Hindiyya알-사우라 알-힌디야아랍어와 같은 역사적 기록을 남긴 것은 그의 지칠 줄 모르는 학문적 열정과 투쟁 정신을 입증합니다. 그의 지적 능력, 신념을 위한 용기, 그리고 반식민주의적 투쟁은 그를 인도 독립 운동의 영웅이자 탁월한 종교 학자로 기억되게 하는 중요한 유산입니다.
8. 관련 항목
- 인도의 이슬람
- 하니피 학파
- 마투리디 학파
- 무함마드
- 수피즘
- 1857년 인도 대반란
- 인도 독립 운동
- 파트와
- 지하드
- 미르자 갈리브
-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 샤 이스마일 델흘비
- 와하비즘
- 바하두르 샤 자파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