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교육
티모시 피터 존슨은 1946년 12월 28일 사우스다코타주 캔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교육자였던 밴델 찰스 존슨이고, 어머니는 가정주부였던 루스 조린다 (혼전 성씨: 료스트바이트)이다. 그는 노르웨이인, 스웨덴인, 덴마크인 혈통을 가지고 있다. 존슨은 사우스다코타주 버밀리언에서 성장했으며, 사우스다코타 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전공하여 1969년 문학사 학위와 1970년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사우스다코타 대학교 재학 중 델타 타우 델타 친목회 회원이었다.
1970년부터 1971년까지 미시간 주립 대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밟았고, 이 기간 동안 미시간주 상원에서 예산 고문으로 근무했다. 이후 버밀리언으로 돌아와 사우스다코타 대학교 법학대학원에 입학하여 1975년 법무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즉시 개인 변호사 업무를 시작했으며, 사우스다코타주의 변호사 특전 제도에 따라 별도의 변호사 시험 없이 주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2. 초기 정치 경력

존슨은 1978년 사우스다코타주 하원 의원 선거에서 당선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1979년부터 1982년까지 사우스다코타주 하원의원으로 재직했으며, 이후 1983년부터 1986년까지 사우스다코타주 상원 의원으로 활동했다. 주 상원 재직 중이던 1985년에는 클레이 카운티 검찰보로도 일했다.

1986년에는 미국 하원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1987년부터 그의 상원 임기가 시작될 때까지 하원의원으로 재직했다. 첫 임기 동안 그는 다른 어떤 초선 하원의원보다 많은 법안을 발의하며 주목받았다. 1991년부터 1994년까지는 민주당의 지역 원내총무로 활동하기도 했다.
3. 미국 상원 경력
존슨의 상원 경력은 1997년에 시작되었다. 그는 래리 프레슬러의 뒤를 이어 상원의원에 취임했다. 그는 2002년 선거에서 존 튠을 상대로 불과 524표 차이로 재선에 성공하며 치열한 경쟁을 뚫고 의석을 지켰다. 당시 이 선거는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상원 다수당 원내대표인 톰 대슐 사이의 대리전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특히 그는 사우스다코타주 최대 부족인 오글랄라 수족으로부터 94%의 지지를 얻었다.
그는 2014년 재선에 출마하지 않고 정계 은퇴를 선언하며, 총 세 차례의 상원 임기를 마쳤다. 그의 상원 임기는 마이크 라운즈가 승계했다.
3.1. Illness and recovery
2006년 12월 13일, 존슨은 워싱턴 D.C.에서 라디오 생방송 인터뷰 도중 뇌동정맥기형으로 인한 뇌출혈을 겪었다. 이는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고 얽히는 선천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었다. 위독한 상태에서 그는 조지 워싱턴 대학교 병원에서 출혈을 막기 위한 긴급 수술을 받았다.
당시 민주당은 상원에서 단 한 석 차이로 다수당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존슨이 사망하거나 사임했을 경우 마이크 라운즈 주지사가 공화당원을 후임으로 지명할 가능성이 높아 공화당이 상원 주도권을 쥘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이로 인해 그의 건강 상태는 큰 관심과 긴장 속에 지켜보았다.
수술 후 존슨은 severely affected speech(심하게 손상된 언어 능력)를 회복하기 위해 오랜 기간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등 광범위한 재활 치료를 받았다. 이로 인해 그의 몸 오른쪽은 편마비 상태가 되었고, 그는 이동을 위해 스쿠터를 사용해야 했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2007년 연두교서에서 존슨의 쾌유를 빌기도 했다. 존슨은 2007년 9월 5일 상원 의사당으로 복귀하여 동료 의원들의 환영과 기립 박수를 받으며 모든 의정 활동을 재개했다.
3.2. Committee assignments
존슨은 상원의원 재직 중 여러 주요 위원회 및 소위원회에서 활동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상원 은행, 주택 및 도시 문제 위원회의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그의 후임은 리처드 셸비였다.
- 미국 상원 세출위원회
- 농업, 농촌 개발, 식품의약국 및 관련 기관 소위원회
- 에너지 및 수자원 개발 소위원회
- 내무, 환경 및 관련 기관 소위원회
- 군사 건설, 재향군인 관련 기관 소위원회 (위원장)
- 국무, 해외 운영 및 관련 프로그램 소위원회
- 교통, 주택 및 도시 개발 및 관련 기관 소위원회
- 미국 상원 은행, 주택 및 도시 문제 위원회 (위원장)
- 주택, 교통 및 지역사회 개발 소위원회
- 금융 기관 소위원회
- 증권, 보험 및 투자 소위원회
- 미국 상원 에너지 및 천연자원 위원회
- 공공 토지 및 산림 소위원회
- 수자원 및 전력 소위원회
- 미국 상원 인디언 문제 위원회
4. 정책 입장
존슨은 대체적으로 중도적 성향의 민주당원으로 평가받았다. 그의 정책적 입장은 농업, 인프라, 국방,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었다.
4.1. Infrastructure
존슨은 의정 활동 기간 내내 사우스다코타주와 인근 주 전역의 지역사회에 깨끗한 식수를 공급하는 인프라 프로젝트를 강력히 지지했다. 그는 여러 수자원 프로젝트 법안을 발의하여 수십만 명의 사우스다코타 주민들에게 깨끗한 식수를 공급하는 데 기여했다.
그의 주요 인프라 관련 입법 활동은 다음과 같다.
- Mni Wiconi Project Act of 1988미니 위코니 프로젝트 법 1988영어**: 하원의원 첫 임기 중이던 1988년 발의한 이 법안(H.R. 2772, 공법 100-516)은 사우스다코타 남서부, 특히 오랫동안 물 부족과 수질 문제로 고통받던 파인 리지 인디언 보호구역에 물 공급 프로젝트 건설을 승인했다。 이후 존슨은 1994년에 이 프로젝트의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한 법안(H.R. 3954)을 발의했고, 이 확장은 더 광범위한 법안에 포함되어 공법 103-434로 제정되었다.
- Mid Dakota Rural Water System Act of 1991미드 다코타 농촌 수자원 시스템 법 1991영어**: 1991년 발의된 이 법안(H.R. 616)은 더 큰 규모의 인프라 프로젝트 패키지에 통합되어 공법 102-575로 제정되었다. Mid Dakota Rural Water Project미드 다코타 농촌 수자원 프로젝트영어는 2006년에 완공되어 사우스다코타 중동부 지역 3만 명 이상의 주민에게 물을 공급하고 있다.
- Fall River Rural Water Users District Rural Water System Act of 1998폴 리버 농촌 수자원 사용자 지구 수자원 시스템 법 1998영어**: 1998년 제정된 이 법안(S. 744, 공법 105-352)은 미국 국토개량국이 사우스다코타주 폴 리버 카운티에 농촌 수자원 시스템을 건설하도록 승인했다. 수년간의 가뭄으로 이 지역 남동부 주민들은 적절한 물 공급을 받지 못했고, 많은 이들이 수질 문제로 인해 물을 운반하거나 생수를 사용해야 했다.
- Lewis and Clark Rural Water System Act of 1999루이스 앤 클라크 농촌 수자원 시스템 법 1999영어**: 1999년 발의된 이 법안(S.244)은 사우스다코타 남동부, 아이오와주 북서부, 미네소타주 남서부의 넓은 지역에 걸쳐 물 공급 시스템을 건설하도록 승인했다. 이 시스템은 22개의 농촌 수자원 시스템과 지역사회를 연결하며, 약 18만 명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식수를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 Perkins County Rural Water System Act퍼킨스 카운티 농촌 수자원 시스템 법영어**: 1999년 제정된 이 법안(S.2117 및 S.243, 공법 106-136)은 미국 국토개량국이 사우스다코타주 퍼킨스 카운티에 농촌 수자원 시스템을 건설하도록 승인했다.
4.2. Agriculture

존슨은 육류 및 기타 농산품의 원산지 표시 의무화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1992년 처음으로 이 문제에 대한 법안(H.R. 5855)을 발의한 이후에도 그는 지속적으로 이 문제를 추진했으며, 결국 2002년 팜 빌 재승인 법안(공법 107-171)의 일부로 육류 원산지 표시 법안이 제정되었다. 이 법안에는 그가 이전에 상원에 제출했던 S. 280 법안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행정부의 반대와 법적 이의 제기로 인해 원산지 표시 법안의 시행은 10년 이상 지연되었다.
2007년 5월, 존슨은 협동조합 사업 지원에 대한 공로로 국립협동조합경영협회(NCBA)로부터 '명예 협동조합인' 상을 받았다. 2013년에는 미국 농민 연합으로부터 '가족 농민의 친구' 상을 받았는데, 이는 소규모 가족 농장의 생존 가능성을 돕기 위한 그의 헌신을 인정한 것이었다.

4.3. Tourism
존슨은 사우스다코타 서부에 미니트맨 미사일 국립 사적지를 설립하는 법안(S. 382)을 발의했다. 이 법안은 공법 106-115로 제정되어 국립공원관리청의 새로운 단위로 지정되었다. 미니트맨 미사일 국립 사적지에서 방문객들은 냉전 시대와 대규모 파괴를 위협하는 동시에 전쟁 억지력 역할을 했던 핵 미사일에 대해 배울 수 있다.
4.4. Defense
존슨은 이라크 전쟁에 대한 군사력 사용 승인 표결 당시 현역 군인 자녀를 둔 유일한 현직 의회 의원이었다. 그의 장남인 브룩스 존슨은 미 육군 101공수사단에 복무 중이었으며, 이라크에 파병될 것이 확실했다. 존슨은 결국 군사력 사용을 허용하는 데 찬성표를 던졌고, 그의 아들은 이라크에 파병되어 이미 보스니아 전쟁과 코소보 전쟁에서도 복무한 경험이 있었다. 브룩스 존슨은 이후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도 복무했다.
상원 세출위원회 군사 건설 및 재향군인 관련 기관 소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존슨은 21년 만에 처음으로 재향군인 의료 서비스에 대한 완전하고 시기적절한 예산을 확보했다. 그는 재향군인 의료 서비스에 대한 사전 자금 지원 법안 통과를 성공적으로 추진한 의원단 중 한 명이었으며, 이를 통해 자금 지연으로 인한 재향군인 의료 서비스의 약화를 막을 수 있었다.
기지 재편 및 폐쇄 위원회(BRAC)가 엘스워스 공군 기지 폐쇄를 권고했을 때, 존슨은 사우스다코타 의회 대표단과 함께 기지 존속을 위한 노력을 지원했다. 결국 BRAC 위원회의 8대1 투표로 기지는 보존될 수 있었다.

4.5. Banking and finance

상원 은행, 주택 및 도시 문제 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존슨은 미국 소비자 금융 보호국(CFPB) 국장으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지명한 리처드 코드를레이의 인준을 추진했다. 그는 공화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코드를레이 지명안을 위원회 표결에 부쳤다.
위원회는 당론에 따라 12대 10으로 코드를레이의 지명안을 승인했으며, 최종적으로 상원 전체 투표에서 66대 34로 코드를레이는 인준되었다.
4.6. Other policy issues
존슨은 다양한 정책 문제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 복지 개혁**: 하원의원 시절이던 1996년, 그는 개인 책임 및 근로 기회 조정법, 즉 복지 개혁 법안에 찬성표를 던진 소수 민주당원 중 한 명이었다.
- 총기 규제**: 그는 연방 공격용 무기 금지법 폐지 법안에 찬성표를 던진 소수 민주당원 중 한 명이었다.
- 세금 정책**: 그는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2001년 감세안에 찬성표를 던진 소수 민주당원 중 한 명이었다.
- 대법관 인준**: 2006년 1월 31일, 존슨은 미국 연방 대법원 대법관으로 새뮤얼 알리토 판사의 인준에 찬성표를 던진 단 4명의 민주당원 중 한 명이었다.
- 사형제**: 그는 사형제의 "사용 확대를" 주장하기도 했다.
- 태아 폭력 피해자 법**: 그는 낙태 반대 단체들이 강력히 지지했던 태아 폭력 피해자 법에 반대 투표를 한 소수 상원의원 중 한 명이었다.
- 통신법**: 하원의원 시절, 그는 1996년 통신법에 반대 투표를 한 단 16명의 의원 중 한 명이었다. 이 법안은 통신 부문의 규제 완화와 경쟁을 허용하는 내용으로, 공화당, 기업 단체, 그리고 대부분의 민주당원들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 오바마케어**: 그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건강보험 개혁 법안을 지지했으며, 2009년 12월 환자 보호 및 부담 적정 보험법에 찬성했고, 2010년 의료 및 교육 조정법에도 찬성했다.
- 환경 보호**: 2010년 5월, 존슨은 버펄로 갭 국립 초원의 4.80 만 acre 이상을 보호 야생지로 지정하는 내용의 '2010년 토니 딘 샤이엔 강 계곡 보존법'을 발의했다. 이 법안은 해당 지역에서 방목과 사냥을 계속 허용하면서도, 미국 최초의 국립 초원 야생지대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 '묻지마, 말하지마' 정책 폐지**: 2010년 12월 18일, 존슨은 2010년 돈트 애스크, 돈트 텔 폐지법에 찬성표를 던졌다.

5. 정치 캠페인 및 선거 이력

존슨은 1978년 사우스다코타주 하원 의원 선거에서 승리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1979년부터 1982년까지 주 하원의원으로 재직했으며, 1983년부터 1986년까지는 사우스다코타주 상원 의원으로 활동했다. 이 기간 동안 1985년에는 클레이 카운티 검찰보로도 일했다.
존슨은 미국 하원에 사우스다코타주 전체 의석을 대표하여 5번 당선되었으며, 1987년부터 1997년까지 재직했다. 그는 톰 대슐의 뒤를 이어 하원의원에 취임했으며, 그의 하원의원직은 존 튠이 승계했다. 재임 기간 동안 그는 농업, 농촌 개발, 메디케어 및 사회보장 제도 보호, 의료 접근성 확대 등 다양한 문제에 집중했다.
1996년 상원의원 선거에서 존슨은 3선 상원의원인 래리 프레슬러를 근소한 차이로 꺾었다. 그 해 13개의 공석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존슨은 현직 의원을 꺾고 당선된 유일한 상원의원 후보였다.
2002년에는 존 튠 하원의원(그의 뒤를 이어 사우스다코타주 하원 의석을 맡았던 인물)을 상대로 524표 차이로 재선에 성공했다. 이 선거는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상원 다수당 원내대표인 톰 대슐 사이의 대리전으로 널리 인식되었다. 존슨은 사우스다코타주 최대 부족인 오글랄라 수족으로부터 9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2008년 상원의원 재선에 출마했으며, 심각한 건강 문제에서 회복한 후에도 선거 운동을 진행했다. 초기 여론조사에서는 공화당 후보 조엘 다익스트라를 물리칠 것으로 예상되었고, 그는 62.5%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2008년 1월, 존슨은 민주당 대선 경선에서 버락 오바마를 지지했다.
5.1.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기타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기타 후보 (당) | 득표수 | 득표율 |
---|---|---|---|---|---|---|---|---|---|---|---|
1986 | 팀 존슨 | 민주당 | 171,462 | 59.2% | 데일 벨 | 공화당 | 118,261 | 40.8% | |||
1988 | 팀 존슨 (현직) | 민주당 | 223,759 | 71.7% | 데이비드 폴크 | 공화당 | 88,157 | 28.3% | |||
1990 | 팀 존슨 (현직) | 민주당 | 173,814 | 67.6% | 돈 프랭켄펠드 | 공화당 | 83,484 | 32.4% | |||
1992 | 팀 존슨 (현직) | 민주당 | 230,070 | 69.1% | 존 티머 | 공화당 | 89,375 | 26.9% | 로널드 비초레크 (무소속) | 6,746 | 2.0% |
1994 | 팀 존슨 (현직) | 민주당 | 183,036 | 59.8% | 얀 베르크후트 | 공화당 | 112,054 | 36.6% | 로널드 비초레크 (무소속) | 10,832 | 3.5% |
연도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기타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기타 후보 (당) | 득표수 | 득표율 |
---|---|---|---|---|---|---|---|---|---|---|---|
1996 | 팀 존슨 | 민주당 | 166,533 | 51.32% | 래리 프레슬러 (현직) | 공화당 | 157,954 | 48.68% | |||
2002 | 팀 존슨 (현직) | 민주당 | 167,481 | 49.62% | 존 튠 | 공화당 | 166,949 | 49.47% | 쿠르트 에번스 (자유지상당) | 3,071 | 0.91% |
2008 | 팀 존슨 (현직) | 민주당 | 237,866 | 62.49% | 조엘 다익스트라 | 공화당 | 142,778 | 37.51% |
6. 개인 생활
존슨은 1969년 바바라 브룩스와 결혼했다. 부부 사이에는 세 명의 자녀가 있다. 매사추세츠주 밀리스에 거주하는 아들 브룩스, 전 사우스다코타주 지방검찰청 검사였던 아들 브렌던 존슨, 그리고 사우스다코타주 수폴스에 거주하는 딸 켈시 빌리언이다. 이들은 또한 여덟 명의 손주를 두었다. 존슨 부부는 수폴스에 거주했다.
7. 사망
존슨은 2004년 전립선암 치료를 받았고, 추가 검사 결과 완치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2006년 12월 13일 뇌출혈을 겪은 후 투병 생활을 이어갔다. 2024년 10월 8일 밤, 존슨은 수폴스에서 또 다른 뇌졸중 발병 후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장례식은 10월 18일 수폴스의 구세주 루터 교회에서 거행되었으며, 그와 함께 일했던 여러 정치인들을 포함하여 수백 명의 사람들이 참석했다. 그는 우드론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8. 유산 및 평가
팀 존슨은 사우스다코타주에서 마지막으로 주 단위 선거에서 승리한 민주당원 중 한 명으로, 그의 정치적 유산은 이 지역에서 민주당의 영향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평가받는다. 그는 특히 농업, 인프라, 재향군인 지원 등 사우스다코타주의 주요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데 헌신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의 입법 활동은 깨끗한 식수 공급 프로젝트, 농산물 원산지 표시 의무화, 미니트맨 미사일 국립 사적지 지정, 그리고 엘스워스 공군 기지 보존 노력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업적들은 사우스다코타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뇌출혈이라는 심각한 건강 위기를 극복하고 상원으로 복귀하여 의정 활동을 이어간 그의 모습은 많은 이들에게 강한 의지와 회복력의 상징으로 기억된다. 비록 중도적 성향으로 때때로 당론과 다른 입장을 취하기도 했지만, 그는 자신의 지역구와 유권자들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삼는 실용적인 정치인이었다. 그의 은퇴는 사우스다코타주 정치 지형에서 민주당에게 큰 공백을 남겼다는 평가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