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교육
메도스는 간호 보조원인 마델과 건물 관리인인 라톤 메도스 부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디트로이트에 위치한 퍼싱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웨인 주립 대학교에서 텔레비전 및 라디오 방송학을 전공했다.
2. 경력
팀 메도스는 즉흥 코미디와 스케치 코미디를 통해 연예계 경력을 시작했으며, 이후 다양한 영화와 텔레비전 작품에서 활약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선보였다.
2.1. 코미디 경력의 시작
메도스는 수프 키친 살롱에서 즉흥 코미디 공연을 시작했다. 그의 연예계 활동은 시카고에서 크리스 팔리와 함께 더 세컨드 시티 코미디 극단의 일원으로 시작되었다. 1990년 가을,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NL)의 프로듀서 론 마이클스는 세컨드 시티에서 공연하는 메도스를 보고 그를 뉴욕으로 초청했다. 그는 오디션 없이 스티브 마틴, 폴 사이먼, 랄프 네이더와 함께 스케치 대사를 읽었는데, 이는 1990년 12월 8일 톰 행크스 에피소드에서 첫 번째 파이브-타이머스 클럽 스케치를 위한 것이었으나, 메도스는 이 스케치에 전혀 출연하지 않았다.
2.2.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SNL)
메도스는 두 달 후인 1991년 2월에 SNL에 정식으로 합류하여 2000년까지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오랜 기간 동안 출연진으로 활동했다. 그는 10시즌 동안 SNL에 출연했으며, 이는 2005년 대럴 해먼드가, 그리고 2017년 키넌 톰슨이 이 기록을 경신하기 전까지 가장 오랫동안 출연한 기록이었다. SNL에서의 그의 긴 재임 기간은 필 하트먼, 마이크 마이어스, 팔리 등 전 출연진이 호스트로 복귀했을 때, 그리고 알렉 볼드윈이 12번째로 호스트를 맡았을 때 네 차례의 모놀로그에서 개그 소재로 사용되기도 했다.
SNL 재임 기간 동안 메도스는 오프라 윈프리, 에리카 바두, 마이클 잭슨, 타이거 우즈와 같은 유명 인사들을 자주 풍자했으며, 한 번은 SNL 스킷 내에서 O. J. 심슨과 앨 카울링스를 동시에 흉내 내기 위해 빠른 변장술을 선보이기도 했다. 일부 스킷에서는 메도스가 자신을 허구화한 버전으로 출연했는데, 예를 들어 《위켄드 업데이트》에서 아이스하키 팬으로 등장하여 1994년 NHL 록아웃에 대한 불만을 표하며 "내가 이걸 어떻게 해야 하지? 농구나 봐야 하나?"라고 말하는 식이었다. 또 다른 자신을 연기한 스케치에서는 웨인과 가스나 멜라니 허트셀이 젠 브래디로 분장하여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을 비난하는 노래를 부르는 등 SNL 출연진 전체를 가장 유명한 캐릭터로 소개하는 역할이었다. 이 스케치는 메도스가 "이건 나에게 개인적인 문제야... 주로 내가 연기할 SNL 캐릭터가 없기 때문이지!"라고 말하며 끝났다.
결국 그는 레온 펠프스, 즉 "레이디스 맨"이라는 오리지널 캐릭터를 얻게 되었다. 이 캐릭터는 자신이 여성들이 남자에게서 찾는 것의 살아있는 정의라고 착각하는, 끊임없이 흥분해 있는 토크쇼 진행자였다. 이 캐릭터는 2000년 영화 《레이디스 맨》으로 각색되었으며, 영화는 이 캐릭터가 사랑과 자신이 아끼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위한 적절한 출구를 찾는 과정을 그렸다.
2.3. 영화 출연
메도스는 SNL 이후 다양한 영화에 출연하며 코미디 연기뿐만 아니라 여러 장르에서 폭넓은 역할을 소화했다.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93 | 《콘헤드 대소동》 | ||
1993 | 《웨인즈 월드 2》 | ||
1994 | 《잇츠 팻》 | ||
1999 | 《올리브, 디 아더 레인디어》 | ||
2000 | 《레이디스 맨》 | ||
2001 | 《당신이 사랑한다면》 | ||
2003 | 《와사비 투너》 | ||
2003 | 《이븐 스티븐슨 무비》 | ||
2004 | 《퀸카로 살아남는 법》 | ||
2004 | 《쿡아웃》 | ||
2006 | 《벤치워머스》 | ||
2007 | 《워크 하드: 듀이 콕스 스토리》 | ||
2008 | 《세미-프로》 | ||
2009 | 《다락방의 외계인》 | ||
2010 | 《그로운 업스》 | ||
2011 | 《잭 앤 질》 | ||
2013 | 《그로운 업스 2》 | ||
2015 | 《체이싱 고스트》 | ||
2015 | 《트레인렉》 | ||
2016 | 《론리아일랜드의 팝스타》 | ||
2020 | 《휴비의 할로윈》 | ||
2022 | 《잇츠 어 원더풀 빈지》 | ||
2023 | 《드림 시나리오》 | ||
2024 | 《퀸카로 살아남는 법》 | ||
2024 | 《우리만의 작은 비밀》 | ||
미정 | 《골든》 |
2.4. 텔레비전 출연

메도스는 SNL 이후에도 다양한 텔레비전 시리즈, 시트콤, 드라마에 출연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91-2000 |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 ||
1997 | 《더 크리스 록 쇼》 | ||
1999 | 《스트레인저스 위드 캔디》 | ||
2000 | 《더 마이클 리처즈 쇼》 | ||
2000-2001 | 《TV 펀하우스》 | ||
2001 | 《서드 워치》 | ||
2002 | 《리프 오브 페이스》 | ||
2004 | 《원 온 원》 | ||
2005 | 《리빙 위드 프랜》 | ||
2005 | 《오피스》 | ||
2006 | 《에브리바디 헤이츠 크리스》 | ||
2006 | 《러브스프링 인터내셔널》 | ||
2006 | 《리바》 | ||
2006 | 《헬프 미 헬프 유》 | ||
2006-2014 | 《콜버트 리포트》 | ||
2007 | 《어코딩 투 짐》 | ||
2007 | 《슈레더맨》 | ||
2007 | 《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 ||
2007-2008 | 《릴 부시》 | ||
2007-2009 | 《빌 엥벌 쇼》 | ||
2009-2012 | 《이지 투 어셈블》 | ||
2010 | 《퍼니 오어 다이 프레젠츠》 | ||
2010 | 《올드 크리스틴의 새로운 모험》 | ||
2010-2011 | 《글로리 데이즈》 | ||
2011 | 《퀸카로 살아남는 법 2》 | ||
2011-2012 | 《팀의 삶과 시간》 | ||
2012-2014 | 《서버가토리》 | ||
2012-2015 | 《미스터 박스 오피스》 | ||
2012-현재 | 《밥스 버거스》 | ||
2013 | 《30 록》 | ||
2013 | 《더 벤처 브로스.》 | ||
2013 | 《코미디 뱅! 뱅!》 | ||
2013-2023 | 《더 골드버그스》 | ||
2014-2015 | 《메리 미》 | ||
2015 | 《더 스포일스 비포 다잉》 | ||
2016 | 《스토리봇에게 물어봐》 | ||
2016 | 《트윈 페스트》 | ||
2016 | 《더 레이트 쇼 위드 스티븐 콜베어》 | ||
2016-2017 | 《선 오브 존》 | ||
2016-2022 | 《인사이드 에이미 슈머》 | ||
2017-2018 | 《맨 위드 어 플랜》 | ||
2017-2019 | 《퍼니 유 슈드 애스크》 | ||
2017-2021 | 《브루클린 나인-나인》 | ||
2017-2019 | 《노 액티비티》 | ||
2018 | 《그레이트 뉴스》 | ||
2018 | 《디트로이터스》 | ||
2018 | 《올 어바웃 더 워싱턴스》 | ||
2018 | 《롭 리글스 스키 마스터 아카데미》 | ||
2018 | 《애니멀스》 | ||
2019 | 《보잭 홀스맨》 | ||
2019-2020 | 《스쿨드》 | ||
2019-2021 | 《미라클 워커스》 | ||
2020 | 《메이플워스 머더스》 | ||
2021 | 《블레스 더 하츠》 | ||
2021 | 《산타 주식회사》 | ||
2022 | 《스페이스 포스》 | ||
2022 | 《존 올리버의 Last Week Tonight》 | ||
2022 | 《걸스5에바》 | ||
2022 | 《댓 댐 마이클 체》 | ||
2022 | 《센트럴 파크》 | ||
2022 | 《시카고 파티 이모》 | ||
2023 | 《포커 페이스》 | ||
2023 | 《만달로리안》 | ||
2023 | 《아이 씽크 유 슈드 리브 위드 팀 로빈슨》 | ||
2023 | 《비비스와 버트헤드》 | ||
2023 | 《마이 대드 더 바운티 헌터》 | ||
2023 | 《크라포폴리스》 | ||
2023-현재 | 《디그맨!》 | ||
2025 | 《피스메이커》 |
2.5. 연극 및 웹 활동
메도스는 영화와 텔레비전 외에도 즉흥 코미디 무대와 웹 콘텐츠에서 활동을 이어갔다.
연도 | 작품 | 역할 | 공연장 | 비고 |
---|---|---|---|---|
2025 | 《올 인: 코미디 어바웃 러브》 |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2019 | 《라이언 한센 솔브스 크라임스 온 텔레비전》 |
메도스는 계속해서 시카고와 로스앤젤레스에서 즉흥 코미디 공연을 하고 있으며, 주로 임프로브올림픽과 업라이트 시티즌스 브리게이드 극장과 같은 장소에서 활동한다. 그는 헤더 앤 캠벨 및 마일스 스트로스와 함께 로스앤젤레스에서 즉흥 스케치 쇼인 《헤더, 마일스, 앤 팀》에 자주 출연했다.
3. 개인 생활
메도스는 1997년에 미셸 테일러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으나, 2005년에 이혼했다.
4. 수상 및 후보
메도스는 경력 동안 다음과 같은 수상 및 후보 경력을 가지고 있다.
- 1993년: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로 프라임타임 에미상 버라이어티 시리즈 작가상 후보
- 2011년: 《잭 앤 질》로 골든 라즈베리상 최악의 스크린 앙상블상 수상
5. 영향력 및 평가
팀 메도스는 10시즌 동안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에 출연하며 프로그램의 황금기에 기여한 핵심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긴 재임 기간은 SNL 역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으며, 레온 펠프스와 같은 독창적인 캐릭터는 대중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또한 《퀸카로 살아남는 법》의 듀발 교장 역은 그를 젊은 세대에게도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코미디언으로서의 즉흥 연기 능력과 다양한 캐릭터를 소화하는 연기 스펙트럼을 통해 대중문화에 꾸준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6. 외부 링크
- [https://www.imdb.com/name/nm0005218/ 팀 메도스 - IMDb]
- [http://www.tim-meadows.com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