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윌리엄 크리스토퍼 카터(William Christopher Carter, 1982년 9월 16일 출생)는 '애니멀(Animal)'이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미국의 전 메이저리그 (MLB) 외야수이자 내야수이다. 그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보스턴 레드삭스와 뉴욕 메츠에서 활약했으며, 이후 일본 프로야구(NPB)의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와 멕시칸 리그에서도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학업적으로 뛰어난 그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인간생물학을 전공하고 3년 만에 졸업한 재원이다. 현역 시절에는 강한 추진력과 성실한 직업 윤리, 그리고 열정적인 리더십으로 팀에 기여했다. 은퇴 후에는 금융 및 스포츠 장학금 지원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2. Early life and education
윌리엄 크리스토퍼 카터는 어린 시절부터 야구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었으며, 뛰어난 학업 성과를 동시에 보여주었다.
2.1. Childhood and high school
카터는 캘리포니아주 콘코드에 위치한 드 라 살 고등학교를 2001년에 졸업했다. 고등학교 시절 그는 야구팀의 중심 선수로 활약하며, 시니어 시즌에는 타율 0.571을 기록하고 리그 홈런 선두를 차지하여 팀의 MVP로 선정되었다. 또한, 2001년 '베이스볼 아메리카' 선정 프리시즌 퍼스트 팀 올-아메리칸 및 베이 밸리 애슬레틱 리그 MVP에 이름을 올렸다. 그는 2000년과 2001년 두 차례에 걸쳐 노스 코스트 섹션 하이 스쿨 스포츠 포커스 '올해의 학자-선수'로 선정되었고, 2000년 주니어 시절에는 USA 투데이로부터 명예 올-아메리칸에 선정되기도 했다. 그의 아버지인 빌 카터는 고등학교 야구팀의 코치였다.
2.2. College career
카터는 스탠퍼드 대학교에 진학하여 인간생물학을 전공했으며, 의학전문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하는 'Pre-Med' 과정을 이수했다. 그는 뛰어난 학업 능력으로 3년 만에 조기 졸업했다. 2002년에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최우수 신입생상'을 수상했으며, 2002년 칼리지 월드 시리즈와 2003년 칼리지 월드 시리즈에서 팀이 최종 8강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주로 팀의 지명타자로 출전했으며, 일부 외야수 포지션도 소화했다. 2002년과 2003년 여름에는 케이프 코드 베이스볼 리그의 야머스-데니스 레드삭스 소속으로 대학 여름 리그에서 뛰었다.
3. Professional baseball career
윌리엄 크리스토퍼 카터는 마이너리그에서부터 시작하여 메이저리그에 데뷔했고, 이후 일본과 멕시코 리그까지 다양한 무대에서 프로 야구 경력을 쌓았다.
3.1. Minor league career
카터는 2004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에 17라운드 전체 506순위로 1루수와 외야수 포지션으로 지명되어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2004년에는 싱글-A 야키마 베어스와 사우스 벤드 실버 호크스에서 뛰었다. 2005년에는 싱글-A 랭커스터 젯호크스와 더블-A 테네시 스모키스에서 활약했다. 2006년과 2007년에는 트리플-A 투손 사이드와인더스 소속이었다.
트레이드를 요청한 후, 카터는 2007년 8월 21일 다이아몬드백스에서 워싱턴 내셔널스로 에밀리아노 프루토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이적했다. 이어서 그는 8월 17일 윌리 모 페냐의 트레이드 당시 '추후 지명 선수'로 보스턴 레드삭스에 합류했다. 트레이드 이후, 카터는 트리플-A 포터킷 레드삭스에 배정되었다. 2007년 11월 20일, 카터는 레드삭스의 40인 로스터에 포함되었다.
3.2. Major League Baseball (MLB)
카터는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메이저리그에 데뷔한 후, 뉴욕 메츠로 이적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3.2.1. Boston Red Sox
카터는 2008년 6월 5일 메이저리그에 데뷔했다. 이 경기에서 코코 크리스프가 2회에 퇴장당하자 교체 출전하여 3타수 2안타 2득점을 기록했다. 그러나 크리스프의 출장 정지 가능성과 재코비 엘스버리, 매니 라미레즈의 부상으로 인해, 카터는 6월 6일 브랜든 모스가 로스터에 합류하면서 다시 포터킷으로 내려갔다.

2009 시즌에는 레드삭스의 개막전 로스터에 포함되어 마크 코차이가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하기 전까지 벤치의 마지막 자리를 채웠다. 메이저리그에서는 4경기에만 출전했으며, 소속 팀인 AAA 포터킷에서는 116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94, 16홈런, OPS 0.823의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3.2.2. New York Mets
2009년 10월 7일, 카터는 빌리 와그너 트레이드의 '추후 지명 선수'로 뉴욕 메츠로 이적했으며, 40인 로스터에 추가되었다. 스프링 트레이닝 기간 동안 메츠의 감독 제리 마누엘은 그의 끈기 있는 추진력과 직업 윤리를 높이 평가하여 '더 애니멀(The Animal디 애니멀영어)'이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
2010년 5월 10일, 메츠는 카터는 버팔로 바이슨스에서 승격시켜 프랭크 카탈라노토의 로스터 자리를 채웠다. 2010년 5월 11일, 메츠 선수로서 첫 타석에서 워싱턴 내셔널스를 상대로 8회말에 결승 2루타를 터뜨렸다. 2010년 6월 11일, 그는 지명타자로 출전하여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투수 제레미 거스리를 상대로 메이저리그 첫 홈런을 기록했다. 이틀 뒤인 6월 13일, 카터는 다시 지명타자로 출전하여 오리올스의 투수 케빈 밀우드를 상대로 두 번째 홈런을 쳤다. 2010년 시즌에 그는 우투수를 상대로 주로 선발 출전하며 개인 최다인 100경기에 출장했다.
3.3. Post-MLB career
메이저리그 경력 이후, 카터는 마이너리그 및 해외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3.3.1. Tampa Bay Rays and Atlanta Braves
2011년 1월 6일, 카터는 탬파베이 레이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다. 그는 6월 16일 계약을 해지하고 FA 신분이 되었다.
2011년 6월 18일, 카터는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체결했다. 브레이브스 산하 트리플-A 그위넷 브레이브스에서 23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338, 4홈런, OPS 0.974를 기록했으나, 메이저리그로 승격되지는 못했다.
3.3.2. Nippon Professional Baseball (NPB)
카터는 일본 프로야구의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3.3.3. Mexican League
2014년 카터는 멕시칸 리그 소속팀에서 활동하다가 6월에 은퇴를 선언했다.
- 아세레로스 데 몬클로바: 2014년 4월 24일 계약을 맺었으나, 6월 13일 방출되었다. 27경기에서 타율 0.384, 출루율 0.410, 장타율 0.485를 기록하며 2홈런 14타점을 올렸다.
- 바케로스 라구나: 2014년 6월 14일 계약을 맺었으나, 7월 1일 방출되었다. 13경기에서 타율 0.269, 출루율 0.321, 장타율 0.404를 기록하며 1홈런 8타점을 올렸다.
4. Player profile and characteristics
윌리엄 크리스토퍼 카터는 뛰어난 선구안과 장타력을 가진 타자로 평가받았다. 마이너리그 통산 9.8%의 볼넷 비율을 기록하며 선구안이 좋았고, 메이저리그에서 15홈런 이상을 기대할 수 있는 장타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다만, 좌완 투수를 상대로는 약점을 보여 메이저리그에서는 주로 우완 투수를 상대로 기용되었다.
그는 매 타석 타격 방향을 미리 정해놓는 극단적인 '밀어치기' 스타일을 구사했는데, 외야 수비의 명수로 알려진 오카다 유키후미는 카터의 타구를 예측하기 어렵다고 언급하며 "어느 정도 구종과 코스로 타구를 예측할 수 있지만, 카터는 불가능하다. 불쾌한 타자"라고 평했다.
수비에서는 약점을 보였다. 마이너리그에서는 주로 1루수와 좌익수로 기용되었으며, 메이저리그에서는 우익수와 좌익수로 출전 경험이 있으나 수비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일본 프로야구 (세이부)에서는 오른쪽 무릎 수술의 영향으로 1군 경기에서는 모두 대타 또는 지명타자로 출전했으며, 한 번도 수비에 나서지 않았다. 그러나 2군 경기에서는 2013년에 1루수로 출전한 기록이 있다.
5. Personal life and character
카터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인간생물학을 전공하고 3년 만에 조기 졸업한 학구적인 인물이다. 그의 가족은 의사 집안이었으나, 그는 어릴 때부터 야구 선수를 목표로 삼았다.
세이부 라이온즈 입단 후에는 도쿄 시내에서 홈구장인 세이부 돔까지 기차로 통근하는 생활을 했다. 그는 또한 '열혈한'으로 알려져 있었다. 2012년 8월 23일 소프트뱅크 호크스와의 경기를 앞두고 팀이 2연패 중이었고 주장 쿠리야마 타쿠미가 부상으로 이탈한 상황에서, 카터는 경기 전 미팅에서 "승자와 패자 사이에는 1센티미터의 차이밖에 없다. 우리는 우승을 목표로 하는 팀이다. 오늘은 챔피언처럼 싸우자. 챔피언은 포기하지 않는다"고 열변을 토하며 팀원들을 고무시켰고, 이는 팀이 승리하는 데 기여했다.
은퇴 후에도 그는 자신을 '세이부 팬'이라고 공언하고 있다. 2018년 세이부가 우승 매직 넘버를 5로 줄였을 때는, 입고 있던 셔츠를 찢고 그 안에 자신의 2012년도 유니폼을 보여주는 퍼포먼스와 함께 격려의 메시지를 보냈다. 또한, 전 팀 동료인 아키야마 쇼고가 신시내티 레즈와 계약했을 때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응원하며 그를 "귀감이 되는 선수"라고 칭했다.
6. After retirement
카터는 2014년 멕시칸 리그에서 은퇴를 선언했다. 2014년 12월 29일자 닛칸스포츠 보도에 따르면, 그는 미국 헤지펀드 회사인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에서 프로젝트 매니저로 근무했다. 이후 2018년에는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위치한 iFOLIO라는 회사에서 스포츠 장학금 지원 업무를 담당했다.
7. Career statistics and records
윌리엄 크리스토퍼 카터의 프로 경력을 아우르는 각종 기록과 통계는 다음과 같다.
7.1. Batting statistics
연도 | 팀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사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2008 | BOS | 9 | 20 | 18 | 5 | 6 | 0 | 0 | 0 | 6 | 3 | 0 | 0 | 0 | 0 | 2 | 0 | 0 | 5 | 0 | .333 | .400 | .333 | .733 |
2009 | 4 | 6 | 5 | 0 | 0 | 0 | 0 | 0 | 0 | 1 | 0 | 0 | 0 | 1 | 0 | 0 | 0 | 4 | 0 | .000 | .000 | .000 | .000 | |
2010 | NYM | 100 | 180 | 167 | 15 | 44 | 9 | 0 | 4 | 65 | 24 | 1 | 2 | 0 | 0 | 12 | 0 | 1 | 17 | 2 | .263 | .317 | .389 | .706 |
MLB 총계: 3년 | 113 | 206 | 190 | 20 | 50 | 9 | 0 | 4 | 71 | 28 | 1 | 2 | 0 | 1 | 14 | 0 | 1 | 26 | 2 | .263 | .316 | .374 | .689 | |
2012 | 세이부 | 59 | 138 | 126 | 9 | 37 | 8 | 0 | 4 | 57 | 27 | 0 | 0 | 0 | 1 | 10 | 0 | 1 | 22 | 3 | .294 | .348 | .452 | .800 |
2013 | 14 | 34 | 30 | 0 | 4 | 0 | 0 | 0 | 4 | 3 | 0 | 0 | 0 | 1 | 3 | 0 | 0 | 11 | 2 | .133 | .206 | .133 | .339 | |
NPB 총계: 2년 | 73 | 172 | 156 | 9 | 41 | 8 | 0 | 4 | 61 | 30 | 0 | 0 | 0 | 2 | 13 | 0 | 1 | 33 | 5 | .263 | .320 | .391 | .715 |
독립 리그 타격 성적
연도 | 구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삼진 | 볼넷 | 사구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도루 | 실책 | 병살타 | 잔루 | 타율 | 장타율 | 출루율 | OPS |
---|---|---|---|---|---|---|---|---|---|---|---|---|---|---|---|---|---|---|---|---|---|---|---|
2013 | 이시카와 | 29 | 91 | 11 | 31 | 2 | 0 | 3 | 47 | 17 | 8 | 25 | 2 | 0 | 1 | 1 | 0 | 2 | 29 | .341 | .516 | .487 | 1.003 |
통산: 1년 | 29 | 91 | 11 | 31 | 2 | 0 | 3 | 47 | 17 | 8 | 25 | 2 | 0 | 1 | 1 | 0 | 2 | 29 | .341 | .516 | .487 | 1.003 |
7.2. NPB records
윌리엄 크리스토퍼 카터가 일본 프로 야구에서 달성한 주요 개인 기록 및 이정표는 다음과 같다.
- 첫 출장: 2012년 6월 23일, 세이부 돔에서 열린 오릭스 버팔로즈와의 6차전, 6회말 호시 히데카즈의 대타로 출장.
- 첫 타석: 2012년 6월 23일, 세이부 돔에서 열린 오릭스 버팔로즈와의 6차전, 6회말 고마츠 사토시를 상대로 뜬공.
- 첫 안타·첫 타점: 2012년 7월 1일, 세이부 돔에서 열린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와의 11차전, 7회말 미야니시 나오키를 상대로 좌전 적시타.
- 첫 선발 출장: 2012년 7월 2일, 도쿄 돔에서 열린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의 7차전, 5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
- 첫 홈런: 2012년 8월 7일, QVC 마린 필드에서 열린 지바 롯데 마린즈와의 13차전, 9회초 카를로스 로사를 상대로 좌월 솔로 홈런.
7.3. Uniform numbers
윌리엄 크리스토퍼 카터가 선수 생활 동안 사용했던 소속팀별 등번호 변화는 다음과 같다.
- 51 (2008년, 보스턴 레드삭스)
- 54 (2008년 ~ 2009년, 보스턴 레드삭스)
- 23 (2010년, 뉴욕 메츠)
- 2 (2012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7 (2013년, 이시카와 밀리언스타즈)
- 10 (2013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복귀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