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및 학력
캐슬린 배리는 학문적 배경과 사회 운동가로서의 활동을 통해 여성 인권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1. 출생 및 초기 생애
캐슬린 배리는 1941년 1월 22일 미국에서 태어났다.
1.2. 학력
배리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사회학과 교육학 분야에서 각각 박사 학위를 취득하며 두 개의 박사 학위를 보유하게 되었다. 이러한 학문적 배경은 그녀가 성적 착취와 인신매매 문제를 사회학적, 교육학적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비판적 이론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2. 학술 활동 및 사회 운동
캐슬린 배리는 학자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사회 운동가로서 여성 인권 보호와 성적 착취 반대 운동에 헌신했다.
2.1. 교수 활동
배리는 브랜다이스 대학교와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학문적 연구와 교육 활동을 병행했다. 그녀의 교수 활동은 후학들에게 성매매 및 인신매매 문제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심어주고, 여성주의 이론을 확산하는 데 기여했다.
2.2. 여성주의 운동 및 활동
캐슬린 배리는 국제적인 인신매매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관련 저서를 출판하면서 이 문제에 대한 국제적 인식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녀는 특히 성매매와 인신매매를 단순히 개인적인 선택의 문제가 아닌, 여성에 대한 구조적 폭력과 착취의 핵심 의제로 삼아 여성 운동의 주요 담론으로 끌어올렸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그녀는 국제 연합의 비정부 기구(NGO)인 여성인신매매반대연합(CATW, Coalition Against Trafficking in Women)을 공동 창설하여 국제적인 반인신매매 운동의 구심점을 마련했다. CATW는 전 세계적으로 인신매매와 성적 착취에 반대하는 정책 개발과 캠페인을 주도하며 여성 인권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3. 수상 및 인정
캐슬린 배리는 여성의 역량 강화와 인권 증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85년에 원더 우먼 재단상(Wonder Woman Foundation Award)을 수상했다. 이 상은 그녀의 사회 운동가로서의 헌신과 학문적 성과가 사회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음을 보여준다.
3. 주요 저작 및 사상
캐슬린 배리의 저작들은 급진 여성주의 이론과 반인신매매 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동의' 개념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성적 착취의 본질을 파헤쳤다.
3.1. 저서
- 《여성 성 노예제》(Female Sexual Slavery여성 성 노예제영어, 1979): 배리의 첫 번째 저서로, 국제적인 인신 성매매 문제에 대한 전 세계적인 인식을 불러일으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 책은 6개 언어로 번역되어 국제 사회에 그녀의 사상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 저서는 성매매를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이 아닌, 구조화된 성적 노예제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며, 여성에 대한 폭력과 착취의 본질을 고발한다.
- 《섹슈얼리티의 매춘화》(The Prostitution of Sexuality섹슈얼리티의 매춘화영어, 1995): 이 책은 《여성 성 노예제》의 후속작으로, 자유주의적 현대 미국 담론에서 흔히 논의되는 "동의" 개념에 대한 심층적인 비판을 담고 있다. 배리는 억압받는 집단이나 계급이 자신들의 착취에 명백히 '동의'하는 것처럼 보임으로써 "모든 형태의 억압이 유지된다"고 결론짓는다. 그녀는 매춘 여성의 동의에 기반한 매춘의 정상화와 수용이 실제로는 폭력은 동의할 수 없다는 인권 원칙을 무시하는 행위라고 주장한다. 또한 그녀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이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억압자인 자본가들과 협력하도록 강요받는다고 말하는 것처럼, 가부장제 하에서 억압된 계층의 일원인 여성들이 자신의 성적 착취에 사회적으로 '동의'하도록 강요받는다고 역설했다. 이 책은 한국어로도 번역되어 2002년 정금나와 김은정의 번역으로 출간되었다.
- 《베트남 여성의 전환》(Vietnam's Women in Transition베트남 여성의 전환영어, 1995)
- 《수잔 B. 앤서니: 독특한 여성주의자의 전기》(Susan B. Anthony: A Biography of a Singular Feminist수잔 B. 앤서니: 독특한 여성주의자의 전기영어, 2000)
- 《전쟁을 해체하고 남성을 재구성하다: 공감이 어떻게 우리의 정치, 군인, 그리고 우리 자신을 재형성할 수 있는가》(Unmaking War, Remaking Men: How Empathy Can Reshape Our Politics, Our Soldiers and Ourselves전쟁을 해체하고 남성을 재구성하다: 공감이 어떻게 우리의 정치, 군인, 그리고 우리 자신을 재형성할 수 있는가영어, 2010)
3.2. 기타 저술
캐슬린 배리는 주요 저서 외에도 다양한 주제에 대한 논문과 에세이를 통해 그녀의 광범위한 학문적 관심과 깊이 있는 사상을 보여주었다. 그녀의 기타 주요 저술은 다음과 같다.
- "재판 중인 질"(The Vagina on Trial재판 중인 질영어, 1971)
- "문화적 가학성의 역사에 대하여"(On the History of Cultural Sadism문화적 가학성의 역사에 대하여영어, 1982): 《반사도마조히즘: 급진 여성주의 분석》(Against Sadomasochism: A Radical Feminist Analysis반사도마조히즘: 급진 여성주의 분석영어)이라는 책의 한 장으로 수록되었다.
- "포르노그래피를 넘어서: 방어적 정치에서 비전 창조로"(Beyond Pornography: From Defensive Politics to Creating a Vision포르노그래피를 넘어서: 방어적 정치에서 비전 창조로영어, 1980): 《밤을 되찾다: 포르노그래피에 대한 여성들의 시각》(Take Back the Night: Women on Pornography밤을 되찾다: 포르노그래피에 대한 여성들의 시각영어)이라는 책의 한 장으로 수록되었다.
- "포르노그래피와 증오 선전에 대한 여성주의 법적 관점"(Feminist Legal Perspectives on Pornography and Hate Propaganda포르노그래피와 증오 선전에 대한 여성주의 법적 관점영어, 1993) 학술회의 기조연설.
- "포르노그래피와 전 지구적 성적 착취: 여성주의 인권을 위한 새로운 의제"(Pornography and Global Sexual Exploitation: A New Agenda for Feminist Human Rights포르노그래피와 전 지구적 성적 착취: 여성주의 인권을 위한 새로운 의제영어, 1995): 《우리가 치르는 대가: 인종차별적 언어, 증오 선전, 그리고 포르노그래피에 반대하는 사례》(The Price We Pay: The Case Against Racist Speech, Hate Propaganda, and Pornography우리가 치르는 대가: 인종차별적 언어, 증오 선전, 그리고 포르노그래피에 반대하는 사례영어)라는 책의 한 장으로 수록되었다.
- "해체주의 해체하기 (혹은 여성주의 연구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Deconstructing Deconstructionism (or, whatever happened to feminist studies?)해체주의 해체하기 (혹은 여성주의 연구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영어, 1996)와 "포르노그래피와 여성의 전 지구적 성적 착취"(Pornography and the Global Sexual Exploitation of Women포르노그래피와 여성의 전 지구적 성적 착취영어, 1996): 《급진적으로 말하기: 여성주의 재확립》(Radically Speaking: Feminism Reclaimed급진적으로 말하기: 여성주의 재확립영어)이라는 책의 두 장으로 수록되었다.
- "남성이 여성의 역사를 말할 때"(When Men Tell Women's History남성이 여성의 역사를 말할 때영어, 1999): 시카고 트리뷴에 실린 오피니언 기고문이다.
4. 영향 및 평가
캐슬린 배리는 급진 여성주의 이론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인신매매와 성매매 문제를 여성 인권의 핵심 의제로 부각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녀의 저서 《여성 성 노예제》와 《섹슈얼리티의 매춘화》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인식을 높이고, 성적 착취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배리는 '동의'라는 개념이 억압 관계에서 어떻게 착취를 정당화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정치 철학과 여성주의 이론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그녀의 주장은 성적 착취가 단순히 개인의 선택 문제가 아니라, 가부장적 사회 구조와 권력 불균형 속에서 발생하는 인권 침해임을 명확히 했다. 이러한 사상은 반인신매매 운동의 이론적 기반을 강화하고, 성매매 근절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녀의 지속적인 활동과 학문적 기여는 여성의 존엄성과 인권을 옹호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