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경력 및 배경
하트는 선수로서의 기반을 다진 시기에 토미 존 수술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성장하며 프로 무대에 진출할 준비를 했다.
1.1. 출생 및 학력
하트는 1992년 11월 23일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내티에서 태어났다. 그는 신시내티에 위치한 사이카모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인디애나 대학교에 진학하여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시즌 동안 인디애나 후지어스 야구단에서 대학 야구 선수로 활동했다.
1.2. 대학 시절 부상
인디애나 대학교 재학 중이던 2014년, 하트는 토미 존 수술을 받았다. 이 수술은 그의 선수 경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었으나, 그는 재활을 통해 성공적으로 복귀하며 프로 선수로서의 꿈을 이어갈 수 있었다.
2. 미국 프로야구 경력
하트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및 마이너 리그에서 여러 팀을 거치며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1. 보스턴 레드삭스
보스턴 레드삭스는 2016년 메이저리그 드래프트에서 하트를 19라운드 전체 568순위로 지명했다. 계약 후 그는 루키 리그 걸프 코스트 리그 레드삭스에서 프로 데뷔를 했고, 4경기에 등판하여 0승 2패, 평균자책점 2.31, 19탈삼진을 기록했다.
2017년에는 A급 그린빌 드라이브와 A+급 살렘 레드삭스에서 활약하며 총 22경기(19선발)에 등판해 117이닝 동안 6승 5패, 평균자책점 2.15, 109탈삼진의 뛰어난 성적을 올렸다. 2018년에는 더블A 소속 포틀랜드 시 도그스에서 시즌 전체를 보내며 24경기 전 선발 등판하여 7승 9패, 평균자책점 3.57, 100탈삼진을 기록했다.
2019년에는 포틀랜드 시 도그스에서 시즌을 시작한 뒤 5월 말 트리플A 소속 포터킷 레드삭스로 승격되었다. 그는 이 시즌 동안 총 27경기(24선발)에서 12승 13패, 평균자책점 3.52, 140탈삼진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2019년 시즌 종료 후, 보스턴 레드삭스는 하트를 40인 로스터에 포함시켰다.
2020년 3월 8일, 하트는 트리플A 포터킷 레드삭스로 옵션되었다. MLB 시즌이 지연된 후, 2020년 8월 13일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경기에 선발 투수로 나서며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이 경기에서 그는 2이닝 동안 7실점(5자책) 7피안타 3볼넷을 기록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9월 2일 좌측 고관절 충돌증후군으로 부상자 명단에 올랐고, 9월 15일에는 45일 부상자 명단으로 옮겨졌다. 2020년 보스턴 레드삭스 시즌 동안 하트는 4경기(3선발)에 등판하여 11이닝 동안 0승 1패, 15.55의 높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20년 11월 20일, 그는 40인 로스터에서 제외되어 트리플A로 이관되었다.
2021년에는 트리플A 소속 우스터 레드삭스에서 23경기(20선발)에 등판하여 106.2이닝 동안 6승 9패, 평균자책점 4.22, 90탈삼진을 기록했다. 2022년 시즌을 우스터 레드삭스에서 시작한 그는 5월 16일 포틀랜드 시 도그스로 이관되었다. 2022년에는 우스터와 포틀랜드에서 총 24경기(10선발)에 출전하여 82.1이닝 동안 7승 3패, 평균자책점 5.25, 74탈삼진을 기록했다. 11월 10일 시즌 종료 후 FA를 선언했다.
2.2. 필라델피아 필리스
2023년 2월 7일, 하트는 필라델피아 필리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체결했다. 그는 트리플A 소속 리하이밸리 아이언피그스에서 단 한 경기에 등판하여 1이닝 무실점 1탈삼진을 기록했으며, 4월 19일 필리스에서 방출되었다.
2.3. 시애틀 매리너스
2023년 6월 3일, 하트는 시애틀 매리너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다. 그는 트리플A 소속 타코마 레이니어스에서 18경기 선발 등판하여 88.1이닝 동안 4승 6패, 평균자책점 4.58, 85탈삼진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11월 6일 다시 FA가 되었다.
3. 한국 프로야구 경력
카일 하트는 2024년 KBO 리그에서 NC 다이노스 소속으로 인상적인 활약을 펼치며 팀의 에이스로 자리매김했다.
3.1. 계약 및 시즌 성적
2023년 12월 19일, 하트는 KBO 리그 NC 다이노스와 2024년 시즌 총액 90.00 만 USD (계약금 20.00 만 USD, 연봉 50.00 만 USD, 인센티브 20.00 만 USD)에 계약을 체결했다.
2024년 3월 23일, 그는 두산 베어스와의 시즌 개막전에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7이닝 5피안타 2실점을 기록했으나, 승패는 기록하지 못했다. 7월 한 달 동안 5경기에 출전하여 33이닝 16피안타 39탈삼진 2실점(2자책)을 기록하며 3승을 추가했고, 구단 선정 7월 투수 MVP에 선정되었다.
KBO 리그 역대 최초 투수 4관왕에 도전했으나, 9월 25일 SSG 랜더스와의 경기에서 6이닝 6실점 10탈삼진을 기록하며 아쉽게 4관왕 달성에는 실패했다. 최종적으로 2024년 시즌 26경기에 선발 출장하여 157이닝 동안 13승 3패, 182탈삼진, 38볼넷, 평균자책점 2.69를 기록했다. 그는 2024년 KBO 리그에서 다승 3위, 탈삼진 1위, 평균자책점 2위를 기록하며 NC 다이노스의 1선발 투수로 맹활약했다. 시즌 종료 후 MLB 복귀를 위해 다시 FA가 되었다.
3.2. 주요 수상 및 기록
하트는 2024년 시즌 종료 후 KBO 리그 최고 투수에게 수여되는 최동원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또한 2024년 KBO 리그에서 총 182개의 탈삼진을 기록하며 KBO 리그 단일 시즌 최다 탈삼진 신기록을 세웠다.
4. 현 소속팀
하트는 2025년 시즌부터 다시 MLB 무대에서 활약하게 되었다.
4.1.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25년 2월 13일, 하트는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2026년 시즌 구단 옵션이 포함된 1년짜리 메이저 리그 계약을 체결하며 MLB로 복귀했다.
5. 통산 기록
5.1. 연도별 투수 성적
연도 | 팀명 | 평균자책점 | 경기 | 선발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2020 | BOS | 15.55 | 4 | 3 | 0 | 0 | 0 | 1 | 0 | 0 | .000 | 67 | 11.0 | 24 | 4 | 10 | 0 | 13 | 21 | 19 |
2024 | NC | 2.69 | 26 | 26 | 0 | 0 | 13 | 3 | 0 | 0 | 0.813 | 631 | 157.0 | 124 | 11 | 38 | 11 | 182 | 51 | 47 |
MLB 통산 | 15.55 | 4 | 3 | 0 | 0 | 0 | 1 | 0 | 0 | .000 | 67 | 11.0 | 24 | 4 | 10 | 0 | 13 | 21 | 19 | |
KBO 통산 | 2.69 | 26 | 26 | 0 | 0 | 13 | 3 | 0 | 0 | 0.813 | 631 | 157.0 | 124 | 11 | 38 | 11 | 182 | 51 | 47 |
- 2024년 시즌 종료 기준
- 각 연도별 볼드체는 리그 최고 기록
6. 여담
카일 하트는 등판하는 날마다 벤치에서 수첩에 메모를 하는 습관으로 화제가 되었다. 그는 이에 대해 "최근 생긴 습관이다. 공부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 쉬는 시간에 틈틈이 수첩에 메모를 한다"면서 "내 투구를 복기하고, 상대 타자의 반응도 적어 넣는다. 아직 KBO 리그 타자들의 정보가 많지 않아서 가능하면 꼼꼼하게 적으려고 노력한다"고 설명했다. 2020년 시즌에는 등번호 81번을, 2024년 시즌에는 등번호 30번을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