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 및 아마추어 경력
카일 데이비스는 1983년 9월 9일 조지아주 디케이터에서 태어나 스톡브리지에서 성장했다. 그는 스톡브리지 고등학교에 재학하며 야구 선수로 활동했으며, 졸업 후에는 조지아 공과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주요 대학 야구 프로그램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그는 대학에 진학하는 대신 프로 야구 선수의 길을 선택했다.
2. 프로 경력
카일 데이비스는 2001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여러 팀을 거치며 메이저 리그와 마이너 리그, 일본 프로 야구, 독립 리그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2.1. 초기 마이너 리그 경력
카일 데이비스는 2001년 MLB 드래프트 4라운드(전체 135순위)에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의 지명을 받고 입단했다. 그는 그해 걸프 코스트 리그 브레이브스에서 프로 데뷔를 하며 12경기(9선발)에서 4승 2패, ERA 2.25를 기록했다. 또한 싱글A 메이컨 브레이브스에서 추가로 1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승리를 따냈다. 2002년에는 메이컨과 루키 리그의 댄빌 브레이브스에서 뛰며 16경기(15선발)에서 합계 5승 4패, ERA 3.72를 기록했다.
2003년에는 싱글A 롬 브레이브스의 창단 멤버로 활동하며 팀이 사우스 애틀랜틱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27번의 선발 등판에서 8승 8패, ERA 2.89를 기록했으며, 148개의 탈삼진으로 팀 내 1위를 차지했다. 2004년에는 트리플A까지 승격했으며, 브레이브스 산하 세 팀에서 26경기(25선발)에 등판하여 13승 3패, ERA 2.72를 기록했다. 또한 142와 1/3이닝 동안 173개의 탈삼진을 잡아냈다.
2.2.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05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의 투수 존 톰슨과 마이크 햄프턴이 부상으로 부상자 명단에 오르자, 데이비스는 5월 21일 메이저 리그로 승격되었다. 그는 그날 밤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의 펜웨이 파크에서 비가 오는 가운데 보스턴 레드삭스를 상대로 MLB 데뷔전을 치렀다. 이 경기에서 5이닝 동안 무실점 6탈삼진을 기록하며 승리 투수가 되었고, 팀의 승리에 기여했다. 데이비스는 이처럼 첫 4번의 선발 등판 중 3번의 경기에서 실점을 허용하지 않는 등 즉시 강한 인상을 남겼다. 그는 2005년 시즌 동안 브라이언 매캔, 제프 프랜코어 등 마이너 리그에서 함께 승격된 신인 선수들과 함께 '베이비 브레이브스'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톰슨과 햄프턴이 8월에 복귀하자 데이비스는 다시 마이너 리그로 내려갔으나, 9월에 다시 승격되어 시즌 잔여 기간 동안 주로 불펜에서 등판했다. 2005년 총 21경기(14선발)에서 7승 6패, ERA 4.93을 기록했다.
2006년, 데이비스는 스프링 트레이닝에서 트리플A 선발 후보로 분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애틀랜타의 선발 투수로 시즌을 시작했다. 그러나 5월 15일 플로리다 말린스와의 경기 중 오른쪽 서혜부에 부상을 입었고, 결국 서혜부 근육 파열 진단을 받고 수술을 받았다. 이 부상으로 인해 10주간 부상자 명단에 오르며 시즌 대부분을 결장했다. 2006년에는 단 14경기만 선발 등판하여 3승 7패, 실망스러운 ERA 8.38을 기록했다.
2007년 스프링 트레이닝 당시 데이비스는 인터내셔널 리그의 트리플A 리치몬드 브레이브스에 배정되었으나, 스프링 트레이닝 막판 랜스 코미어의 부상으로 4월 5일 다시 메이저 리그로 승격되어 그의 자리를 채웠다. 코미어가 재활 후에도 복귀하지 못하고 햄프턴이 시즌 아웃되는 수술을 받으면서, 데이비스는 임시 선발이 아닌 정식 로테이션의 한 자리를 맡게 되었다. 그러나 17번의 선발 등판에서 4승 8패, ERA 5.76을 기록하는 등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특히 7월 16일 신시내티 레즈와의 경기에서는 단 22개의 공만 던지고 아웃 카운트를 하나도 잡지 못한 채 강판당했다. 결국 7월 19일 AAA 리치몬드로 다시 내려갔고, 신인 투수 조조 레이예스가 그의 선발 자리를 이어받았다.
2.3. 캔자스시티 로열스

2007년 7월 31일, 데이비스는 투수 옥타비오 도텔과의 트레이드를 통해 캔자스시티 로열스로 이적했다. 8월 4일 로열스 소속으로 첫 등판하여 3이닝 동안 5자책점을 기록했으며, 1회에는 알렉스 로드리게스에게 통산 500번째 홈런을 허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8월 9일 미네소타 트윈스와의 경기에서는 6.2이닝 동안 무실점, 3안타 5탈삼진을 기록하며 1대0 승리에 기여하는 등 반등에 성공했다. 트레이드 이후 로열스에서 11번의 선발 등판을 통해 3승 7패, ERA 6.66을 기록했다.
2008년 스프링 트레이닝에서 선발 로테이션 진입을 경쟁했으나, 3월 26일 트리플A 오마하 로열스로 옵션 이적되었다. 그러나 5월 29일 브렛 톰코의 자리를 대신하여 다시 승격되었다. 5월 31일 시즌 첫 등판에서 5이닝 1실점으로 호투하며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 4대2 승리를 이끌었고, 팀의 12연패를 끊는 데 기여했다. 2008년 로열스에서 21번의 선발 등판에서 9승 7패, ERA 4.06을 기록하며 개인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2009년 1월 9일, 데이비스는 연봉 조정을 피하기 위해 로열스와 1년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2009년에는 기복이 심한 모습을 보이며 22선발에서 8승 9패, ERA 5.27로 시즌을 마쳤다. 2009년 12월 13일, 로열스는 데이비스와 다시 1년 계약을 체결했다. 2010년에는 32번의 선발 등판에서 8승 12패, ERA 5.34를 기록했다.
2011년 8월 1일, 데이비스는 오른쪽 어깨 충돌 증후군으로 15일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8월 10일 로열스로부터 방출되었고, 8월 12일 웨이버 공시를 통과했다. 방출 당시 그의 성적은 13선발에서 1승 9패, ERA 6.75였다.
2.4. MLB 산하 마이너 리그 팀
2011년 8월 20일, 데이비스는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으나, 시즌 종료 후인 11월 2일 FA가 되었다.
2013년 2월 19일, 미네소타 트윈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체결했다. 어깨 문제로 4월과 5월 절반을 결장한 후, 5월 15일 하이싱글A 포트 마이어스 미라클에서 첫 선발 등판했다. 한 차례 더 등판한 후 다시 한 달간 부상으로 결장했으며, 걸프 코스트 리그 트윈스에서 재활 등판을 거쳐 포트 마이어스로 복귀하여 3번 더 선발 등판했다. 7월 23일에는 더블A 뉴 브리튼 록캐츠로 승격되어 시즌을 마무리하기 위해 7번 선발 등판했다. 2013년 총 12번의 선발 등판에서 4승 3패, ERA 3.41을 기록했으며, 58이닝 동안 47개의 탈삼진을 잡았다. 시즌 종료 후인 11월 4일 FA를 선택했다.
2014년 2월 12일,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다. 그는 이 시즌을 마이너 리그에서 보냈으며, 더블A 애크런 러버덕스와 트리플A 콜럼버스 클리퍼스에서 총 26번의 선발 등판에서 11승 9패, ERA 3.91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인 11월 2일 FA를 선택했다.
2.5. 뉴욕 양키스 복귀
2015년 2월 9일, 카일 데이비스는 뉴욕 양키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다. 4월 12일 메이저 리그로 승격되어 그날 밤 경기에 등판했다. 그러나 다음 날 양키스에서 지명 할당되었고, 웨이버 공시를 통과한 후 4월 15일 트리플A 스크랜턴/윌크스-배러 레일라이더스로 이적했다. 그는 이 해 양키스 산하 트리플A에서 11승을 거두었다. 시즌 종료 후인 10월 7일 FA를 선택했다.
2.6. 일본 프로 야구 (NPB)
2015년 12월 19일, 카일 데이비스는 NPB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 계약을 맺었다. 그는 메이저 리그 공식전에서 통산 43승을 거둔 실적을 바탕으로 선발 투수로 기용될 예정이었다. 등번호는 캔자스시티 로열스 시절에도 잠시 사용했던 34번을 배정받았다. 일본으로 오기 전에 6년간 한신 타이거스에서 뛰었던 동향의 맷 머턴으로부터 일본 야구 적응에 대한 조언을 받기도 했다.
2016년 3월 31일, 메이지 진구 야구장에서 열린 한신 타이거스와의 경기에 선발 등판하며 일본 무대에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그러나 1회 초, 신인 1번 타자 다카야마 슌에게 던진 첫 공을 초구 홈런으로 허용하며 프로 첫 홈런을 내주는 불운을 겪었다. 이는 NPB 역사상 6번째, 센트럴 리그 공식전에서는 2번째로 기록된 초구 선두타자 홈런이었다. 데이비스는 이 경기에서 5이닝 2실점(자책 1)을 기록했으나 승패는 기록하지 못했다. 또한 이 경기 2회 말에 랜디 메신저를 상대로 유격수 내야 안타를 기록하며 일본 무대 첫 타석에서 첫 안타를 신고했다.
두 번째 선발 등판을 위한 조정 기간 중 허리 통증을 호소하여 4월 5일 출장 선수 등록이 말소되었다. 하지만 5월 30일 삿포로 돔에서 열린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의 경기에서 6.1이닝 1실점을 기록하며 일본 무대 첫 승을 거두었다. 12월 2일, 그는 자유 계약 공시되었다.
2.7. 독립 리그
2017년 시즌에는 소속팀 없이 지내다가, 2018년 5월 7일 아틀란틱 리그의 서머셋 패트리어츠와 계약했다. 그는 21번의 선발 등판에서 6승 8패, ERA 4.50을 기록했으며, 104이닝 동안 90개의 탈삼진과 1번의 완투를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FA가 되었다.
2019년 3월 15일, 다시 아틀란틱 리그의 랭커스터 반스토머스와 계약했다. 15번의 선발 등판에서 4승 9패, ERA 4.44, 68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FA가 되었다.
3. 선수로서의 특징
카일 데이비스는 주로 선발 투수로 기용되었으며, 다양한 구종을 구사했다. 그의 주요 구종으로는 약 145 km/h 전후의 포심 패스트볼, 약 140 km/h 전후의 커터, 약 132 km/h 전후의 체인지업, 그리고 약 124 km/h 전후의 너클 커브가 있다. 특히 그의 포심 패스트볼은 2007년에 최고 구속 약 157 km/h(97.7mph)를 기록했으나, 2015년에는 약 147 km/h(91.1mph) 정도로 줄어들었다.
4. 주요 기록 및 통계
카일 데이비스는 MLB에서 8시즌, NPB에서 1시즌을 포함하여 프로 경력 전반에 걸쳐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4.1. 연도별 투수 성적
카일 데이비스의 메이저 리그 및 일본 프로 야구 연도별 투수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팀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사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회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방어율 | WHIP |
---|---|---|---|---|---|---|---|---|---|---|---|---|---|---|---|---|---|---|---|---|---|---|---|---|---|
2005 | ATL | 21 | 14 | 0 | 0 | 0 | 7 | 6 | 0 | 2 | .538 | 403 | 87.2 | 98 | 8 | 49 | 5 | 1 | 62 | 4 | 0 | 51 | 48 | 4.93 | 1.68 |
2006 | ATL | 14 | 14 | 1 | 0 | 0 | 3 | 7 | 0 | 0 | .300 | 312 | 63.1 | 90 | 14 | 33 | 0 | 3 | 51 | 3 | 0 | 60 | 59 | 8.38 | 1.94 |
2007 | ATL | 17 | 17 | 0 | 0 | 0 | 4 | 8 | 0 | 0 | .333 | 389 | 86.0 | 92 | 12 | 44 | 3 | 2 | 59 | 1 | 1 | 61 | 55 | 5.76 | 1.58 |
2007 | KC | 11 | 11 | 0 | 0 | 0 | 3 | 7 | 0 | 0 | .300 | 239 | 50.0 | 63 | 10 | 26 | 1 | 3 | 40 | 7 | 0 | 41 | 37 | 6.66 | 1.78 |
2007 합계 | 28 | 28 | 0 | 0 | 0 | 7 | 15 | 0 | 0 | .318 | 628 | 136.0 | 155 | 22 | 70 | 4 | 5 | 99 | 8 | 1 | 102 | 92 | 6.09 | 1.65 | |
2008 | KC | 21 | 21 | 0 | 0 | 0 | 9 | 7 | 0 | 0 | .563 | 487 | 113.0 | 121 | 10 | 43 | 0 | 2 | 71 | 8 | 1 | 57 | 51 | 4.06 | 1.45 |
2009 | KC | 22 | 22 | 1 | 0 | 0 | 8 | 9 | 0 | 0 | .471 | 538 | 123.0 | 122 | 18 | 66 | 1 | 4 | 86 | 10 | 0 | 76 | 72 | 5.27 | 1.53 |
2010 | KC | 32 | 32 | 1 | 0 | 0 | 8 | 12 | 0 | 0 | .400 | 817 | 183.2 | 206 | 20 | 80 | 1 | 2 | 126 | 5 | 1 | 114 | 109 | 5.34 | 1.56 |
2011 | KC | 13 | 13 | 0 | 0 | 0 | 1 | 9 | 0 | 0 | .100 | 293 | 61.1 | 84 | 7 | 26 | 2 | 5 | 50 | 4 | 0 | 52 | 46 | 6.75 | 1.79 |
2015 | NYY | 1 | 0 | 0 | 0 | 0 | 0 | 0 | 0 | 0 | ---- | 10 | 2.1 | 3 | 0 | 0 | 0 | 0 | 2 | 0 | 0 | 0 | 0 | 0.00 | 1.29 |
2016 | 야쿠르트 | 15 | 15 | 0 | 0 | 0 | 4 | 5 | 0 | 0 | .444 | 361 | 82.0 | 84 | 14 | 31 | 1 | 4 | 64 | 4 | 0 | 44 | 40 | 4.39 | 1.39 |
MLB 합계 | 152 | 144 | 3 | 0 | 0 | 43 | 65 | 0 | 2 | .398 | 3488 | 770.1 | 879 | 99 | 367 | 13 | 22 | 547 | 42 | 3 | 512 | 477 | 5.57 | 1.62 | |
NPB 합계 | 15 | 15 | 0 | 0 | 0 | 4 | 5 | 0 | 0 | .444 | 361 | 82.0 | 84 | 14 | 31 | 1 | 4 | 64 | 4 | 0 | 44 | 40 | 4.39 | 1.39 |
4.2. 연도별 수비 성적
카일 데이비스의 메이저 리그 및 일본 프로 야구 연도별 수비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팀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2005 | ATL | 21 | 7 | 9 | 1 | 2 | .941 |
2006 | ATL | 14 | 3 | 5 | 0 | 0 | 1.000 |
2007 | ATL | 17 | 7 | 14 | 2 | 1 | .913 |
2007 | KC | 11 | 1 | 2 | 0 | 0 | 1.000 |
2007 합계 | 28 | 8 | 16 | 2 | 1 | .923 | |
2008 | KC | 21 | 4 | 10 | 1 | 0 | .933 |
2009 | KC | 22 | 10 | 10 | 2 | 1 | .909 |
2010 | KC | 32 | 13 | 23 | 2 | 2 | .947 |
2011 | KC | 13 | 1 | 9 | 1 | 0 | .909 |
2015 | NYY | 1 | 0 | 1 | 0 | 0 | 1.000 |
2016 | 야쿠르트 | 15 | 1 | 6 | 1 | 1 | .875 |
MLB 합계 | 152 | 46 | 83 | 9 | 6 | .935 | |
NPB 합계 | 15 | 1 | 6 | 1 | 1 | .875 |
4.3. 특이 기록
카일 데이비스가 NPB에서 달성한 특이하거나 주목할 만한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첫 등판·첫 선발: 2016년 3월 31일, 메이지 진구 야구장에서 열린 한신 타이거스와의 3차전. 5이닝 2실점(자책 1)으로 승패를 기록하지 못했다.
- 첫 탈삼진: 위 첫 등판 경기에서 3회 초 맷 헤이그를 상대로 헛스윙 삼진을 잡아냈다.
- 첫 타석·첫 안타: 위 첫 등판 경기에서 2회 말 랜디 메신저를 상대로 유격수 내야 안타를 기록했다.
- 첫 등판에서 상대한 첫 타자에게 초구 피홈런: 2016년 3월 31일, 다카야마 슌에게 1회 초 무사에서 우익수 솔로 홈런을 허용했다. 이는 NPB 역사상 6번째, 센트럴 리그 공식전에서는 2번째로 기록된 초구 선두타자 홈런이었다.
- 첫 승리·첫 선발 승리: 2016년 5월 31일, 삿포로 돔에서 열린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의 1차전. 6.1이닝 1실점을 기록했다.
5. 개인 생활
카일 데이비스는 오프시즌 동안 아버지의 건설 회사에서 일했다. 현재는 조지아주 맥도너에 거주하고 있다.
그의 남동생 제이크 데이비스는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조지아 공과대학교에서 야구 선수로 활동했다. 제이크는 2012년 MLB 드래프트 21라운드(전체 661순위)에서 보스턴 레드삭스의 지명을 받았다. 그는 그해 말 싱글A 뉴욕-펜 리그에 진출했으나, 2013년에 방출되었다.
2011년 8월 8일 야구 경기 후, 데이비스는 플로리다주 세인트피터스버그에서 풍기문란으로 체포된 기록이 있다.
6. 등번호
카일 데이비스가 프로 경력 동안 사용했던 등번호 목록과 그 기간은 다음과 같다.
- 26: 2005년 ~ 2007년
- 28: 2007년 ~ 2009년
- 34: 2010년 ~ 2011년, 2016년
- 40: 2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