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및 교육
1.1. 출생과 가족
최미선은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지장리에서 아버지 최보녕과 어머니 오영애의 3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1.2. 학력
그녀는 일로초등학교, 전남체육중학교, 전남체육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광주여자대학교 양궁부에서 초등특수교육학을 전공하고 졸업하였다.
1.3. 양궁 입문
최미선은 초등학교 4학년이던 11살 때 처음 활시위를 당기며 양궁에 입문했다. 차분한 성격과 뛰어난 집중력을 바탕으로 어린 시절부터 양궁에 재능을 보였으며, 세계 최고의 선수가 되겠다는 꿈을 키웠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2013년에 처음으로 국가대표로 발탁되며 엘리트 선수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2. 양궁 경력
2.1. 2015: 국제 무대 데뷔와 초기 성과
최미선은 2015년 5월 상하이에서 열린 2015년 양궁 월드컵 개막전에서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여자 개인전 3위를 차지하며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같은 달 안탈리아에서 열린 월드컵 2차 대회에서는 장혜진과 기보배와 같은 선배 선수들을 꺾고 여자 개인전 우승을 차지했으며, 김우진과 함께 혼성 단체전에서도 우승했다.
2015년 7월에는 광주에서 열린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 참가하여 여자 개인전 결승에서 기보배와 명승부를 펼친 끝에 은메달을 획득했고, 단체전에서도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같은 해 열린 2015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각각 동메달을 획득했다. 시즌을 마무리하는 2015년 양궁 월드컵 파이널에서는 개인전 금메달과 혼성 단체전 금메달을 차지하며 성공적인 한 해를 보냈다.
2.2. 2016 리우 올림픽: 금메달과 개인전
2016년 봄, 최미선은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장혜진과 기보배와 함께 여자 단체전 금메달을 목표로 리우데자네이루로 향했다. 올림픽을 앞두고 그녀는 기보배, Tan Ya-ting탄야팅중국어(대만)과 함께 여자 개인전 금메달 후보 중 한 명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특히 6월에 열린 2016년 양궁 월드컵 3차 대회에서는 기보배의 72발 라운드 세계 기록인 686점과 동점을 기록하며 올림픽에서의 활약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리우 올림픽 여자 단체전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은 어려운 조건 속에서도 러시아를 세트 포인트 5대1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양궁의 8회 연속 올림픽 여자 단체전 우승이라는 위업을 달성했다. 그러나 개인전에서는 다소 아쉬운 성적을 기록했다. 72발 랭킹 라운드에서 강한 시작을 보였고, 리나 헤라시멘코가 20년 전 세운 올림픽 기록인 673점을 넘어설 기세였으나, 라운드 중반에 불어온 강풍으로 인해 기록 경신에는 실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669점을 기록하며 랭킹 라운드 1위를 차지, 토너먼트의 톱 시드를 확보했다. 그러나 8강전에서 2011년 팬아메리칸 게임 2관왕인 Alejandra Valencia알레한드라 발렌시아스페인어에게 예상 밖의 패배를 당하며 탈락했다. 첫 화살에서 5점을 쏘는 등 부진한 출발을 보였고, 결국 세트스코어 0대6으로 패했다.
2.3. 2017: 세계 신기록과 세계 선수권 우승

2017년 타이베이에서 열린 201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최미선은 72발 라운드에서 687점을 기록하며 기보배가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세운 종전 세계 기록을 1점 경신했다. 최미선은 당시 월드컵 출전으로 피로가 누적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좋은 날씨 조건이 좋은 기록을 내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언급했다.
2017년 9월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2017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에서는 장혜진과 강채영과 함께 여자 단체전 결승에서 개최국 멕시코를 꺾고 우승하며 첫 세계 선수권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대한민국이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여자 단체전에서 차지한 13번째 우승이었다. 개인전에서는 랭킹 라운드에서 671점으로 4위를 기록했으나, 16강전에서 러시아의 Ksenia Perova크세니야 페로바러시아어에게 패하며 탈락했다.
2017년 10월, 최미선은 제55회 대한민국 스포츠 시상식에서 스포츠 공로 부문 국가 표창을 받은 9명의 선수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2.4. 2018-2019: 공백기와 복귀
최미선은 2018년 국제 대회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지 못했으나, 2019년 시즌에는 장혜진과 강채영과 함께 다시 국가대표팀에 합류했다. 2019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에서는 여자 단체전 은메달과 개인전 동메달을 획득하며 성공적으로 복귀했다.
2.5. 2020년 이후 주요 경력
2021년 청두에서 열린 2021년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에서는 개인전 금메달과 단체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2년 틀락스칼라에서 개최된 2022년 양궁 월드컵에서는 개인전 은메달을 차지했다. 2022년 항저우에서 열린 2022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여자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다시 한번 아시안 게임 정상에 올랐다. 2023년 방콕에서 열린 2023년 아시아 양궁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모두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아 정상의 자리를 지켰다.
2.6. 주요 기록과 수상
최미선은 선수 경력 동안 다음과 같은 주요 기록과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대회 | 종목 | 메달 |
---|---|---|
올림픽 |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단체전 | 금 |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 ||
2015 코펜하겐 | 개인전 | 동 |
2015 코펜하겐 | 단체전 | 동 |
2017 멕시코시티 | 단체전 | 금 |
2019 스헤르토헨보스 | 단체전 | 은 |
2019 스헤르토헨보스 | 개인전 | 동 |
양궁 월드컵 | ||
2015 멕시코시티 | 개인전 | 금 |
2015 멕시코시티 | 혼성 단체전 | 금 |
2016 오덴세 | 혼성 단체전 | 금 |
2016 오덴세 | 개인전 | 은 |
2022 틀락스칼라 | 개인전 | 은 |
아시안 게임 | ||
2022 항저우 | 단체전 | 금 |
아시아 양궁 선수권 대회 | ||
2013 타이베이 | 단체전 | 금 |
2013 타이베이 | 혼성 단체전 | 은 |
2019 방콕 | 단체전 | 금 |
2023 방콕 | 개인전 | 금 |
2023 방콕 | 단체전 | 금 |
유니버시아드 | ||
2015 광주 | 개인전 | 은 |
2015 광주 | 단체전 | 은 |
2017 타이베이 | 혼성 단체전 | 금 |
2017 타이베이 | 단체전 | 금 |
2019 나폴리 | 단체전 | 금 |
2019 나폴리 | 개인전 | 은 |
2021 청두 | 개인전 | 금 |
2021 청두 | 단체전 | 은 |
- 세계 신기록**:
- 2016년 6월: 72발 라운드 686점 (기보배의 세계 기록과 동점)
- 2017년 8월: 72발 라운드 687점 (세계 기록 경신)
- 수상**:
- 제55회 대한민국 스포츠 시상식 스포츠 공로 부문 국가 표창 (2017)
3. 평가와 영향
최미선은 대한민국 양궁계에서 꾸준히 뛰어난 활약을 펼쳐온 선수로 평가받는다. 특히 2016년 리우 올림픽 여자 단체전 금메달 획득에 기여하며 한국 양궁의 독보적인 위상을 이어나가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녀는 여러 차례 세계 신기록을 경신하고 주요 국제 대회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양궁의 역사를 새롭게 쓰는 데 기여했다. 차분하고 뛰어난 집중력으로 경기에 임하는 모습은 많은 양궁 꿈나무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으며, 그녀의 활약은 한국 스포츠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