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청연공주의 삶은 조선 왕실의 복잡한 정치적 격변 속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왕족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며, 특히 사후 왕실의 위상 회복 과정에서 그 지위가 추증되었다.
1.1. 출생과 가계
청연공주는 1754년(영조 30년) 7월 14일, 조선의 왕세자였던 사도세자(思悼世子)와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의 장녀로 태어났다. 본관은 전주 이씨이다. 아버지 사도세자는 조선의 제21대 왕인 영조의 유일한 적통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1762년(영조 38년) 나경언의 모함에 영조가 속아들어 뒤주에 갇혀 비극적인 죽음을 맞았다. 어머니 혜경궁 홍씨는 풍산 홍씨 출신의 홍봉한(洪鳳漢, 1713~1778)의 딸로, 훗날 궁중문학의 효시로 평가받는 회고록 《한중록》을 저술하였다.
청연공주는 두 명의 오빠와 한 명의 여동생을 두었다. 큰오빠는 의소세자(懿昭世子, 1750~1752)로, 어린 나이에 요절하였다. 둘째 오빠는 훗날 조선의 제22대 왕이 되는 정조(正祖, 1752~1800)이며, 여동생은 청선공주(淸璿公主, 1756~1802)이다. 비록 사도세자의 딸이었으나, 청연공주는 왕세자의 적녀였기에 공주가 아닌 정2품에 해당하는 군주(郡主)의 작위를 받았다.
1.2. 군주 시절과 혼인
청연공주는 1765년(영조 41년) 음력 윤2월 2일, 참의를 지낸 김상익(金相翊, 1721~1781)의 아들 김두성(金斗星)과 정혼하였다. 같은 해 음력 4월 11일 혼례를 올렸으며, 김두성은 훗날 김기성(金箕性)으로 이름을 고치고 군주와 혼인하여 광은부위(光恩副尉)에 책봉되었다. 광은부위는 왕세자의 적녀와 혼인한 이에게 처음으로 내리는 정3품의 품계이다.
청연공주는 문학적 소양도 겸비했던 것으로 보인다. 1773년(영조 49년) 봄에는 동생 청선군주와 정조의 후궁이었던 의빈 성씨 등과 함께 고전 소설인 《곽장양문록(郭張兩門錄)》을 직접 필사하였다.
1.3. 사망과 추증
청연공주는 1821년(순조 21년) 음력 6월 9일(양력 7월 7일) 향년 68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그녀의 죽음에 순조는 깊은 슬픔을 표하며, 특별히 그녀의 장례를 해조(海漕)에서 거행하도록 명하였다.
훗날 대한제국을 개창한 고종황제는 청연공주의 아버지인 사도세자를 장조의황제(莊祖懿皇帝)로,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헌경의황후(獻敬懿皇后)로 각각 추존하였다. 이 과정에서 청연군주 역시 왕의 적녀에게 주어지는 최고 작위인 청연공주(淸衍公主)로 추증되었고, 그녀의 남편 김기성도 광은위(光恩尉)로 진봉되었다.
2. 가족 관계
청연공주의 가족 관계는 조선 왕실과 당시 사대부 가문과의 긴밀한 연결을 보여준다.
2.1. 왕가 전주 이씨
청연공주는 전주 이씨 가문의 일원으로, 조선의 왕실과 직계 혈연으로 연결되어 있다.
- 아버지 : 추존 장조의황제(莊祖懿皇帝, 사도세자, 1735~1762)
- 친조부 : 조선 영조(朝鮮 英祖, 1694~1776)
- 친조모 : 영빈 전의 이씨(寧嬪 全義 李氏, 1696~1764)
- 양조모 : 정성왕후 서씨(貞聖王后 徐氏, 1693~1757)
- 어머니 : 추존 헌경의황후(獻경懿皇后, 혜경궁 홍씨, 1735~1816)
- 외조부 : 홍봉한(洪鳳漢, 1713~1778)
- 외조모 : 한산부부인 한산 이씨(漢山府夫人 韓山 李氏, 1713~1755)
- 형제자매
- 오빠 : 의소태자(懿昭太子, 1750~1752)
- 오빠 : 제22대 정조(正祖宣皇帝, 1752~1800)
- 동생 : 청선공주(淸璿公主, 1756~1802)
2.2. 시가 광산 김씨
청연공주의 시가는 당대의 명문가인 광산 김씨 가문이었다.
- 시아버지 : 김상익(金相翊, 1721~1781)
- 시어머니 : 증 정부인 홍씨(贈 貞夫人 洪氏, 1722~1786)
- 남편 : 김기성(金箕性, 광은위, 1752~1811)
- 자녀
- 장남 : 김재창(金在昌, 1770~1849) - 훗날 이조판서와 판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 며느리 : 이씨(李氏, 1770~1818)
- 장녀 : 광산 김씨(光山 金氏, 1771~1787) - 임천 조씨 조재규(趙在奎, 1772~1843)의 처가 되었다.
- 차남 : 김재삼(金在三, 1776~1837) - 음보(蔭補)로 벼슬길에 올라 의주부윤 등을 역임하였다.
- 며느리 : 이씨(李氏, 1776~1852)
- 그 외 5남 1녀가 일찍 사망하였다.
- 장남 : 김재창(金在昌, 1770~1849) - 훗날 이조판서와 판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 자녀
3. 대중문화에서
청연공주는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등장하거나 그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 1998년 MBC 드라마 《대왕의 길》 - 배우 장수혜
- 2007년 CGV TV 시리즈 《8일》 - 배우 설지윤
- 2021년 MBC 드라마 《옷소매 붉은 끝동》 - 배우 김이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