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인 정보
1.1. 출생 및 유년 시절
치아키 미노루는 1917년 4월 28일,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군 온네나이촌(현재의 비후카정)에서 옷감 및 양품 잡화점을 운영하는 모리타케 가문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가미스나가와정으로 이주하여 초등학교를 다녔다.
1.2. 학력
초등학교 졸업 후 삿포로의 홋카이 고등학교에 입학했으며, 육상부에서 400m 달리기와 도약 선수로 활약하며 "제2의 난부 주헤이"로 불릴 만큼 유망한 선수였다. 그러나 발목 염좌로 인해 육상 선수의 꿈을 포기했다. 어릴 적부터 연극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그는 배우의 길을 택하기 위해 도쿄에 있던 형을 의지하여 상경했고, 요요기에 위치한 명교 중학교(현 도카이 대학 부속 우라야스 고등학교)로 전학했다.
1936년, 주오 대학 전문부 법학과에 입학했지만, 연극에 대한 열정으로 신치쿠지 극단의 연구생으로 입단했다. 같은 해 11월, 신치쿠지 극단의 야마모토 유조 원작의 《女人哀詞뇨닌 아이시일본어》 공연으로 첫 무대에 섰다. 당시 연구생 동기로는 타타라 준과 도노야마 타이시 등이 있었다. 그의 예명인 '치아키 미노루'는 연구생 시절 존경했던 극단원 야마모토 야스에가 지어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신장은 182 cm였다.
1.3. 결혼 및 가족
1942년 8월, 치아키 미노루는 배우인 사사키 코마루의 외동딸인 배우 사사키 후미에와 결혼했다. 슬하에 둘째 아들인 배우 사사키 카츠히코가 있다. 또한 배우 미야모토 노부코의 아버지와는 사촌 관계였는데, 사촌의 딸이라는 관계를 설명하기 번거롭다는 이유로 미야모토 노부코를 조카로 소개하기도 했다.
2. 경력
치아키 미노루는 연극 무대에서 경력을 시작하여 영화 배우로 전환한 후 수많은 작품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펼쳤다. 특히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에 자주 출연하며 강렬한 존재감을 드러냈고, 후반기에는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다.
2.1. 연극 활동
1938년 3월, 치아키는 타타라 준 등과 함께 신치쿠지 극단에서 탈퇴하여 오가츠자(五月座)를 결성했으나, 이듬해 1939년 3월 대학 졸업과 동시에 병역 의무를 이행하며 보병 제26연대에 입대하면서 오가츠자도 자연스럽게 해체되었다. 군 복무 기간 동안 그는 사할린섬 우에시키카의 국경 수비대에서 근무했으며, 1942년 7월 제대했다. 이후 이동 연극대인 호가라카타이(ほがらか隊)의 대장으로서 종전까지 일본 각지를 순회하며 공연했다.
종전 후 1946년 5월, 치아키는 아내 사사키 후미에와 함께 바라자(薔薇座)를 결성하고 구도 타츠로 원작의 《新樹신주일본어》를 창립 공연으로 칸다히토츠바시의 교리츠 여자대학 교리츠 강당에서 상연했다. 그는 서양 연극 중심의 신극에 반발하여, 일본 작가에 의한 대중적인 연극을 지향했으며, 기쿠타 가즈오 원작의 《東京哀詞도쿄 아이시일본어》, 《堕胎医다타이이일본어》를 비롯해 《너 또한 아름다워》, 《나가사키의 종》, 《냉동 부대》 등 창작극을 상연했다. 이때 '현대극'이라는 호칭을 처음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특히 《다타이이》는 좋은 평판을 얻었고, 이 연극을 관람한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에 의해 1949년 《静かなる決闘시즈카나루 겟토일본어》라는 제목으로 영화화되었다. 이를 계기로 구로사와 감독의 권유를 받아 《들개》에 리뷰 극장 연출가 역으로 영화에 처음 출연하게 된다. 이 영화 출연을 계기로 바라자를 해산하고 이후 영화 배우로 전향했다.
2.2. 영화 경력
영화계로 전향한 치아키 미노루는 한때 도쿄 영화나 도에이와 편수 계약을 맺기도 했지만, 주로 프리랜서 배우로 활동하며 수많은 영화에 출연했다. 특히 그는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작품에서 핵심적인 조연으로 총 11편에 출연하며, 구로사와 영화의 단골 배우로 자리매김했다.

2.2.1.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 작품
치아키 미노루는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여러 걸작에서 인상 깊은 연기를 선보였다.
- 《라쇼몽》(1950)에서는 스님 역으로 출연하여 혼란스러운 사건의 목격자로서 고뇌하는 모습을 그렸다.
- 《7인의 사무라이》(1954)에서는 친절한 사무라이 헤이하치 하야시다 역을 맡아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극 중에서 헤이하치는 사무라이 중 가장 먼저 죽음을 맞이하는 인물이었지만, 흥미롭게도 실제 배우 중에서는 치아키 미노루가 《7인의 사무라이》에 출연했던 일곱 배우 중 가장 마지막까지 생존했다.
- 《거미집의 성》(1957)에서는 요시아키 미키 역을 맡아 극의 비극성을 더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숨겨진 요새의 세 악인》(1958)에서는 후지와라 카마타리와 함께 농민 콤비 다헤이 역을 연기하며 극에 유머와 인간적인 요소를 불어넣었다. 이들의 캐릭터는 훗날 조지 루카스 감독의 영화 《스타워즈》에 등장하는 두 로봇 R2-D2와 C-3PO의 모델이 되기도 했다.
- 그 외에도 《들개》(1949), 《백치》(1951), 《이키루》(1952), 《생존의 기록》(1955), 《밑바닥》(1957), 《천국과 지옥》(1963) 등 구로사와 감독의 여러 작품에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2.2.2. 기타 주요 영화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 외에도 다양한 감독들의 작품에 출연하여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 《고질라의 역습》(1955)에서는 코바야시 역을 맡았다.
- 《미야모토 무사시: 결투 간류섬》(1956)에서는 뱃사공 사스케 역으로 등장했다.
- 《상속인》(1962)에서는 후지이 준이치 역을 맡았다.
- 《사나다 풍운록》(1963)에서는 사나다 유키무라 역으로 출연했다.
- 《타인의 얼굴》(1966)에서는 아파트 관리인 역으로 섬뜩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 《카라후토 1945년 여름 효설의 문》(1974)에서는 식목원 역으로 등장했다.
- 특히 이토 슌야 감독의 《花いちもんめ。하나 이치몬메일본어》(1985)에서는 노인 역을 맡아 연기력을 인정받으며 그 해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주연 남우상 등 다수의 영화상을 휩쓸었다.
2.3. 텔레비전 드라마 경력
1960년대부터는 텔레비전 드라마에도 출연하기 시작했으며, 오토와 노부코와 부부 역할을 맡았던 《ママちょっと来て마마 춋토 키테일본어》를 통해 안방극장의 사랑을 받았다. 이후에도 《肝っ玉かあさん키못타마 카아산일본어》과 같은 홈드라마에서 주로 아버지 역으로 출연하며 인기를 이어갔다.
1975년 드라마 《微笑비쇼일본어》에서 다카미네 히데코와 함께 출연하던 중 이쿠타 스튜디오에서 촬영 중 뇌출혈로 쓰러져 입원했고, 이듬해인 1976년 드라마 《喜びも悲しみも幾歳月요로코비모 카나시미모 이쿠토시츠키일본어》로 재기했다. 뇌출혈에서 기적적으로 회복하는 과정과 그에 따른 재활 이야기는 1979년에 출간한 그의 저서 《生きるなり이키루나리일본어》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3. 수상 및 서훈
3.1. 주요 수상 경력
치아키 미노루는 뛰어난 연기력으로 여러 영화제에서 주요 상을 수상했다. 특히 1985년 영화 《花いちもんめ。하나 이치몬메일본어》로 많은 영예를 안았다.
- 1985년 제40회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연기 특별상
- 1985년 제28회 블루리본상 주연 남우상
- 1985년 제9회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주연 남우상
- 1985년 제10회 호치 영화상 특별상
- 1985년 제31회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주연 남우상
3.2. 서훈
치아키 미노루는 일본 정부로부터도 공로를 인정받았다.
- 1989년 보관장 4등 서훈
4. 저술 활동
치아키 미노루는 배우로서의 경험과 삶의 역정을 담은 저서를 남겼다.
- 《生きるなり 脳卒中から奇跡の生還이키루나리 뇌졸중에서 기적의 생환일본어》 (文藝春秋분게이슌주일본어, 1979년 / 文春文庫분슌분코일본어, 1984년) - 뇌출혈에서 회복하는 과정을 담은 회고록이다.
- 《わが青春の薔薇座와가 세이슌노 바라자일본어》 (사사키 후미에와 공저, 후타미 서점 리옹사, 1989년) - 아내와 함께 결성하고 활동했던 극단 바라자에 대한 기록이다.
5. 사망
치아키 미노루는 1999년 11월 1일, 도쿄도 후추시의 한 병원에서 급성심폐부전으로 사망했다. 향년 82세였다. 그의 묘소는 후지 영원에 안장되었다.
6. 영향력 및 평가
치아키 미노루는 일본 영화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배우로 평가받는다. 특히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작품에서 보여준 인상적인 연기는 그의 경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꼽힌다. 《숨겨진 요새의 세 악인》에서 후지와라 카마타리와 함께 연기한 농민 콤비는 훗날 조지 루카스 감독의 《스타워즈》에 등장하는 로봇 R2-D2와 C-3PO의 모델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의 연기가 할리우드에도 영감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7인의 사무라이》에서 헤이하치 역을 맡았던 치아키 미노루가 사망함으로써, 이 영화에 출연했던 일곱 사무라이 역의 배우들 모두가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그는 영화 속에서 가장 먼저 전사하는 사무라이 역을 맡았지만, 실제로는 일곱 배우 중 마지막까지 생존한 배우였다. 이 점은 그의 연기 인생이 작품의 틀을 넘어선 상징성을 지녔음을 보여준다.
영화 외적으로는 1960년대부터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도 활약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고, 특히 홈드라마에서 자애로운 아버지 역할로 시청자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갔다. 1975년 뇌출혈로 쓰러진 후에도 재활을 통해 다시 연기 활동을 이어가는 불굴의 의지를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경험을 담은 저서를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용기와 영감을 주었다. 지바 롯데 마린즈 투수 무라타 조지가 재활 후 복귀했을 때 꽃다발을 들고 축하하러 갈 정도로 주변인들과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7. 출연작 목록
치아키 미노루는 생전 총 100편 이상의 영화와 수많은 텔레비전 드라마에 출연했다. 다음은 주요 출연작 목록이다.
7.1. 영화
- 《들개》(1949) - 리뷰 극장 연출가
- 《추문》(1950) - 신문 기자
- 《산 저편에》(1950) - 교사
- 《라쇼몽》(1950) - 여행 법사
- 《일곱 빛깔 꽃》(1950) - 이즈미 다헤이
- 《백치》(1951) - 가야마 무츠오, 비서
- 《사랑의 오란다자카》(1951) - 스에키치
- 《사이죠 가문의 향연》(1951) - 장남 코타로
- 《아라키 마타에몬: 가기야 노 츠지 결투》(1952) - 가와이 마타고로
- 《이키루》(1952) - 노구치
- 《猛獣使いの少女모주츠카이노 쇼죠일본어》(1952)
- 《미녀와 도적》(1952) - 타케이치의 타카마루
- 《오늘은 회사 월급날》(1952) - 총무부장
- 《두더지 골목》(1953) - 후카미 쿄
- 《7인의 사무라이》(1954) - 헤이하치 하야시다, 사무라이 중 한 명

- 《슌킨 이야기》(1954) - 데이조
- 《그리하여 꿈이 있다》(1954) - 나스 센스케
- 《사이잔스 이도류》(1954) - 사사키 코지로 / 다이지로 (그의 아들) / 단주로 (유랑 배우)
- 《지로초 산고쿠시 제9부 아라가미야마》(1954) - 고베의 초키치
- 《첫 모습 우시마츠 격자》(1954) - 요리사 유지
- 《어머니의 첫사랑》(1954) - 사와다
- 《지옥의 경호원》(1955) - 이토 형사
- 《불멸의 열구》(1955) - 우치보 포수
- 《고질라의 역습》(1955) - 코바야시 히로지
- 《지로초 유쿄덴: 아마기 가라스》(1955) - 돈마츠
- 《생존의 기록》(1955) - 나카지마 지로
- 《미야모토 무사시: 결투 간류섬》(1956) - 뱃사공 사스케
- 《신부 회의》(1956) - 나카니시 지로
- 《흡혈나방》(1956) - 가와세 산고
- 《아내의 마음》(1956) - 젠이치
- 《요타자와 와카단나》(1956) - 다카기
- 《거위발의 문》(1956)
- 《현대의 욕망》(1956) - 미카미
- 《수다쟁이 사장》(1957)
- 《거미집의 성》(1957) - 미키 요시아키
- 《우죠》(1957) - 다나베 켄키치
- 《36인의 승객》(1957) - 모토하시 (약품 판매원)
- 《그늘진 딸》(1957)
- 《도호쿠의 좀모들》(1957) - 다스케
- 《밑바닥》(1957) - 도노사마 (전 사무라이)
- 《살색 달》(1957) - 이시쿠라 우메키치
- 《닌술 수호전 이나즈마 코텐구》(1958)
- 《둘만의 다리》(1958) - 이시다 카이키치
- 《안즈코》(1958) - 요시다 사부로
- 《나이팅게일 성의 신부》(1958)
- 《꽃의 망향》(1958) - 후쿠조 야나미
- 《숨겨진 요새의 세 악인》(1958) - 다헤이
- 《수다쟁이 아주머니》(1959)
- 《쿠라마 텐구》(1959) - 쿠로히메노 키치베에
- 《날뛰는 다이묘》(1959) - 로쿠스케
- 《전국 군도전》(1959) - 지부 모로나가
- 《나니와노코이노모노가타리》(1959) - 단바야 하치에몬
- 《암야행로》(1959) - 토키토 노부유키
- 《인간의 조건 제4부》(1959) - 오노데라 헤이초
- 《살해당해도 좋나 (I)》(1960)
- 《미토 고몬 3: 올스타 버전》(1960) - 지베에
- 《도련님 사무라이 체포첩》(1960) - 사사지마 토시조
- 《신란》(1960) - 쇼젠보
- 《요도 이야기: 꽃의 요시와라 백인 베기》(1960) - 죠스케
- 《시라코야 코마코》(1960) - 마타시로
- 《속 신란》(1960)
- 《야타로 가사》(1960) - 키치타로
- 《도련님 사무라이 체포첩: 검은 동백》(1961) - 오시마노 겐베에
- 《겐과 부동명왕》(1961) - 아저씨
- 《벌거벗은 아이》(1961) - 치도리야 친돈야 주인
- 《신고 20번 승부 시리즈》(1961 - 1963) - 로쿠샤쿠 로쿠헤이타
- 《내일이 있는 한》(1962)
- 《히바리 치에미의 야지키타 도중》(1962) - 가타야마 군지베에
- 《젊은 날의 지로초 토카이도의 회오리바람》(1962) - 가타와노 곤
- 《상속인》(1962) - 후지이 준이치
- 《공주님과 수염 대명》(1962) - 히가시노 나이젠
- 《아마쿠사 시로 토키사다》(1962)
- 《샐러리맨 이신타스케》(1962) - 다카다 영업부장
- 《십자가 아래의 사랑》(1962)
- 《치이사코베》(1962) - 다이로쿠
- 《코미디: 데타토코 쇼부 - '친자라라 모노가타리'에서》(1962) - 야마다 타로
- 《히바리 치에미의 오시도리 센료 가사》(1963) - 츠치하시 신자에몬
- 《천국과 지옥》(1963) - 신문 기자
- 《하타모토 야쿠자 다섯 망나니》(1963) - 요코이 진베에
- 《사나다 풍운록》(1963) - 사나다 유키무라
- 《우몬 체포첩: 뱀 눈 우산의 여자》(1963) - 가쿠라이 요스케
- 《고반초 유기리로》(1963) - 타케스에 진조
- 《바리칸 두목》(1963) - 에비나 긴페이
- 《상어》(1964) - 시로자
- 《이 하늘이 있는 한》(1964) - 노가미 류타로
- 《성 빼앗기》(1965) - 다와라 사나이
- 《찬밥과 오상과 찬》(1965) - 나카가와 하치로베
- 《제로 파이터 대공전》(1966) - 항공대 사령
- 《타인의 얼굴》(1966) - 아파트 관리인
- 《호수의 고토》(1966) - 모모세 키타유
- 《하타모토 야쿠자》(1966)
- 《사랑의 찬가》(1967) - 선장
- 《성의 기원》(1967) - 소녀의 아버지
- 《일본 제일의 단절남》(1969) - 시미즈 상무
- 《밤의 이소긴차쿠》(1970) - 와다 신부
- 《카라후토 1945년 여름 효설의 문》(1974) - 우에나카 켄지
- 《교진군 이야기 나아가라! 영광으로》(1977) - 다케미야 료장
- 《도쿠가와 일족의 붕괴》(1980) - 시시오인미야
- 《꽃 한 잎》(1985) - 다카노 후유키치
- 《돈 마츠고로의 대모험》(1987) - 아메노모리 세이카이 (최종 영화 출연)
7.2. 텔레비전 드라마 경력
- 《부부 백경》(일본 TV 방송망)
- 제58회 "최우수 아내" (1959)
- 제243회 "아내 필승의 결정타" (1962)
- 제383회 "반주 아내" (1966)
- 제389회 "봄 화창하다" (1967)
- 제392회 "돼지와 진주와 부부" (1967)
- 제397회 "속 돼지와 진주와 부부" (1967)
- 《ママちょっと来て마마 춋토 키테일본어》(1959, 일본 TV) - 아빠
- 《세설》(1959, TV 아사히 NET)
- 《백만 인의 극장》 제1회 "좋은 사람의 부부" (1960, 후지 TV)
- 《회색 시리즈》 제13, 14회 "나쁜 사람" (1960, NHK 종합 TV)
- 《과자와 나》(1961, 일본 TV) - 아사쿠라 센지
- 《닛산 스타 극장》(일본 TV)
- 《어디로》(1964) - 노구치 초타로
- 《아빠도 수험생》(1967)
- 《산들바람과 그 녀석》(1967)
- 《무지개 설계》(1964, NHK 종합)
- 《느티나무는 남았다》(1964, TV 도쿄)
- 《카이에서 보는 눈》(1965, TBS)
- 《시오노기 TV 극장 / 사쿠마 요시코 아워: 기타노 춤》(1965, 후지 TV)
- 《빛나는 바다》(1965, TBS)
- 《엄마와 친정엄마》(1965 - 1966, 일본 TV) - 아키타 유조
- 《노란 풍토》(1965 - 1966, NET) - 무라타 소하치
- 《더 가드맨》(TBS / 다이에이 TV실)
- 제41화 "말도 안 되는 계절" (1966)
- 제259화 "자, 여자의 복수가 시작된다" (1970)
- 《사랑의 일가》(1966, NHK 종합)
- 《세 명의 사무라이》 제4시리즈 제16화 "비보" (1967, 후지 TV)
- 《일곱 형사》(TBS)
- 제265화 "두 사람만의 긴자" (1967)
- 제336화 "제2의 인생" (1968)
- 제381화 "도망치다" (1969)
- 제382화 "지상 300미터의 사형대" (1969)
- 《도시바 일요극장》(TBS)
- 제550회 "노란 우산" (1967)
- 제1117회 "여자와 된장국 그 36" (1978)
- 제1152회 "여자와 된장국 그 37" (1979)
- 제1190회 "남색 거리" (1979)
- 제1204회 "여자와 된장국 그 38" (1980)
- 《얼빠진 녀석들》(1967 - 1968, NET) - 카네코 다이조
- 《형사님》 제2시리즈 제12화 "두 번 죽은 남자" (1968, NET)
- 《肝っ玉かあさん키못타마 카아산일본어》(1968 - 1972, TBS) - 키요타 야스후미
- 《오오쿠》 제30, 31화 (1968, 간사이 TV 방송) - 나루시마 도치쿠
- 《통나무와 칼》(1968 - 1969, 일본 TV)
- 《안녕하세요! 산들바람 씨》(1969, TBS) - 니시카타 미치스케
- 《개와 아사짱》(1969, NET) - 노무라 코헤이
- 《아아 주신구라》(1969, 간사이 TV) - 토베에
- 《독신의 스캣》(1970, TBS) - 나카니시 산업 사장
- 《치바 슈사쿠 검도 맛시구라》(1970 - 1971, TBS)
- 《어머니의 맛》(일본 TV)
- 제1시리즈 (1970) - 나츠무라 츠네토
- 제2시리즈 (1972) - 가미무라 킨타로
- 《정해라! 피니시》(1972, TBS) - 지로의 아버지
- 《대하드라마》(NHK 종합)
- 《나라 훔치는 이야기》(1973) - 오다 노부히데
- 《사자의 시대》(1980) - 카리야 무네유키
- 《태양에 짖어라!》 제64화 "아이들의 보물, 어른들의 꿈" (1973, 일본 TV) - 우메다 완구 사장
- 《은하 텔레비전 소설 / 산시로》(1974, NHK 종합)
- 《가족 맞추기》(1974, TBS) - 와타나베 켄지
- 《동심방 어용장 에도의 선풍》(1975, 후지 TV) - 하야미 시게타유
- 《화요극장》(일본 TV)
- 《미소》(1975) - 콘노 유타로
- 《요로코비모 카나시미모 이쿠토시츠키》(1976)
- 《불꽃의 카르테》(1976)
- 《돌아오지 않는 여정》(1979) - 야마무라 교수
- 《동경의 아기》(1981) - 우라마 신조
- 《G멘 '75》 제113화 "암을 선고받은 형사" (1977, TBS) - 이노마타 형사
- 《일본의 전후》 제7집 "퇴진의 아침" (1977, NHK 종합) - 카타야마 테츠
- 《개인 후 맑음》(1977, TBS) - 야마오키 테츠마
- 《가족》(1977, TBS) - 이마이
- 《하늘은 일곱 가지 사랑의 색》(1978, 요미우리 TV 방송) - 미쿠모 쇼이치로
- 《신고 체포첩》 제71화 "사랑의 정 눈물의 줏대" (1979, 일본 TV / 유니온 영화) - 키타혼쇼의 리스케
- 《형사 텟페이》(간사이 TV)
- 제12화 "노 형사의 만가" (1979)
- 최종화 "출발의 노래" (1979)
-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 제9화 "저녁놀 구름" (1979, 후지 TV) - 후지이 요시조
- 《히라이와 유미에 드라마 시리즈 / 여인들의 집》(1980, 후지 TV)
- 《목요일 골든 드라마 / 이키루나리》(1980, 요미우리 TV)
- 《오야도 카와세미》 제3화 "오동나무 꽃 지다" (1980, NHK 종합) - 타다야 키치에몬
- 《세키가하라》(1981, TBS) - 야마우치 카즈토요
- 《제니가타 헤이지》 제766화 "남자와 여자의 여정" (1981, 후지 TV / 도에이) - 이즈츠야 타헤에
- 《아사키유메미시》(1982, NHK 종합)
- 《드라마 인간 문양 / 태양의 아이》(1982, NHK 종합) - 아저씨
- 《어제, 카나시베츠에서》(1984, 일본 TV) - 후타구치 신키치
- 《알자스의 푸른 하늘》(1985, 후지 TV) - 후지카와 유스케
- 《오산의 사랑》(1985년 10월 12일, NHK 종합) - 세이베에
- 《은하 텔레비전 소설》(NHK 종합)
- 《80일째잖아》(1988) - 후지시마 히코조
- 《떠돌이 형사 여정편》 제2화, 제11화 (1988, TV 아사히)
- 《수요 그랜드 로망 / 늙은 아버지와》(1990, 일본 TV)
- 《도망자》 제2화 (1992, 후지 TV)
- 《가을 역》(1993, 후지 TV)
- 《토요드라마 / 극락 유원지》(1997, NHK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