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즐라트코 크란차르의 어린 시절과 가족 배경에 대해 설명한다.
1.1. 어린 시절과 교육
즐라트코 크란차르는 1956년 11월 15일 유고슬라비아 자그레브에서 태어났다. 그는 1966년 10세의 나이에 GNK 디나모 자그레브에 입단하여 1983년까지 클럽에 머물렀다. 1974년 3월 3일, 17세의 나이에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와의 경기에서 1군 데뷔전을 치렀다. 그는 스트라이커로 활약하며 빠르게 클럽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선수 중 한 명이 되었다.
1.2. 가족
크란차르는 1983년에 결혼했으며, 아들 니코 크란차르 또한 프로 축구 선수로 활동했다. 그는 독일어에 능통했다.
2. 선수 경력
즐라트코 크란차르는 GNK 디나모 자그레브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고, 이후 SK 라피트 빈에서 전성기를 보냈다. 그는 유고슬라비아와 크로아티아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하며 중요한 순간들을 만들었다.
2.1. 클럽 경력
크란차르는 GNK 디나모 자그레브에서 총 556경기에 출전하여 256골을 기록했으며, 이 중 98골은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서 기록했다. 그는 디나모 자그레브 소속으로 24년 만에 첫 리그 우승을 차지한 1981-82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우승과 1980년 유고슬라비아 컵, 1983년 유고슬라비아 컵 우승을 경험했다. 또한 유고슬라비아 유스 컵 1973년 대회에서도 우승했다.
1983년 디나모 자그레브를 떠나 오스트리아 클럽 SK 라피트 빈으로 이적하여 1990년까지 활약했다. 라피트 빈에서 그는 1986-87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와 1987-88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에서 두 차례 오스트리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1984년 오스트리아 컵, 1985년 오스트리아 컵, 1987년 오스트리아 컵에서 우승하며 오스트리아 컵 3회 우승을 기록했다. 1985년 UEFA 컵 위너스컵 결승에 진출하기도 했으며, 1986년 오스트리아 슈퍼컵, 1987년 오스트리아 슈퍼컵, 1988년 오스트리아 슈퍼컵에서도 우승했다. 그의 선수 경력 마지막 클럽은 SKN 장크트푈텐으로, 1990년 말 두 달 동안 뛰었다.
2.2. 국가대표 경력
크란차르는 1977년 1월 콜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친선 경기에서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그는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에서 총 11경기에 출전하여 3골을 기록했다. 그의 마지막 유고슬라비아 국가대표 경기는 1983년 11월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친선 경기였다.
또한 크란차르는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2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다. 특히 1990년 10월 17일 자그레브에서 열린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 크로아티아 대표팀의 첫 주장을 맡아 역사적인 첫 국제 경기에 출전했다. 하지만 당시 크로아티아는 여전히 유고슬라비아의 일부였기 때문에 이 두 경기는 비공식 경기로 기록되었다.
3. 지도자 경력
크란차르는 선수 은퇴 후 다양한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지도자 경력을 쌓았다. 그는 여러 팀을 이끌며 리그 우승과 컵 대회 우승을 경험하는 등 성공적인 감독 생활을 보냈다.
3.1. 초기 지도자 경력
크란차르는 1991년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의 고문으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1992년부터 1994년까지 크로아티아 클럽 HNK 세게스타를 감독했으며, 1994년에는 크로아티아 자그레브로 이적하여 첫 시즌에 크로아티아 1부 리그와 크로아티아 컵 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에는 오스트리아로 돌아와 FC 린츠를 감독했다. 1년 후 크로아티아로 복귀하여 NK 슬라벤 벨루포, 세게스타(재임), NK 사모보르를 지도했다. 1998년에는 크로아티아 자그레브로 다시 돌아와 클럽을 또 한 번의 크로아티아 챔피언십과 컵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UEFA 챔피언스리그에도 진출시켰다. 1999년에는 이집트 클럽 알마스리 SC를 감독했고, 2000년에는 슬로베니아 클럽 NK 무라를 1시즌 동안 이끌었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 NK 마르소니아를 감독했으며, 2002년에는 NK 자그레브를 이끌고 크로아티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 2002년부터 2003년까지 HNK 리예카를,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다시 NK 자그레브를 감독했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NK 크로아티아 세스베테를 이끌고 클럽을 1부 리그로 승격시켰으나, 선수 급여 미지급 문제로 프런트와 갈등을 겪고 사임했다. 2007년 6월에는 아랍에미리트 팀 알샤브의 감독을 맡았으나, 선수 선발에 대한 이사회와의 갈등으로 12월에 해고되었다. 2009년 4월 22일에는 FC DAC 1904 두나이스카 스트레다의 새로운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3.2. 국가대표팀 지도

UEFA 유로 2004에서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이 조별 리그를 통과하지 못하자, 크란차르는 오토 바리치의 후임으로 2년간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그는 2004년 8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총 25번의 국제 경기를 크로아티아 대표팀을 이끌었다. 그의 지도 아래 크로아티아는 2006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7승 3무의 무패 기록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그러나 2006 FIFA 월드컵 본선에서는 1패 2무로 조별 리그를 통과하지 못했다. 특히 당시 컨디션이 좋지 않던 아들 니코 크란차르를 계속 기용하여 국내에서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로 인해 크로아티아 축구 협회는 2006년 7월 14일 크란차르의 만료되는 계약을 갱신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2010년 2월, 그는 조란 필리포비치의 뒤를 이어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과 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친선 경기에서 2연패를 당하고,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도 패하는 등 매우 좋지 않은 출발을 보였다. 2011년 9월 8일, 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패한 지 6일 만에 해임되었다. 몬테네그로 축구 협회는 그의 해임 사유가 알코올 중독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3.3. 클럽 지도
2009년 7월 1일, 크란차르는 이란 프로리그의 페르세폴리스 FC의 감독으로 부임하며 2년 계약을 체결했다. 카림 바게리, 미사그 메마르자데, 세페르 헤이다리, 슈페이팀 아리피, 셰이스 레자에이와 같은 좋은 선수들을 보유했음에도 불구하고, 2009-10 페르시안 걸프 컵 시즌 초반 페르세폴리스는 부진했다. 그는 2009년 9월 25일 페이칸 FC에게 패한 후 구단주 하비브 카샤니에 의해 해고되었으나, 5일 후 기술 위원회의 지지를 받아 복귀했다. 그의 계약은 시즌 후반까지 연장되었고, 계약 만료 후 2009년 12월 28일 알리 다에이로 교체되었다.

2011년 10월 28일, 크란차르는 이란 프로리그 3회 우승팀인 세파한 FC와 2년 계약을 체결하며 동포 루카 보나치치의 후임으로 부임했다. 세파한 감독으로서 첫 경기에서 2009년 자신이 감독했던 페르세폴리스와 0대0 무승부를 기록했다. 2012년 5월 11일, 세파한은 메스 사르체슈메 FC와의 무승부로 4번째 리그 우승(3연속)을 확정했으며, 이는 크란차르 감독 체제에서 첫 우승이었다. 또한 AFC 챔피언스리그 16강에서 에스테글랄 FC를 꺾고 8강에 진출했다.
2012-13 하즈피 컵 32강에서 풀라드 FC를 2대1로 꺾었다. 이후 메스 랍산잔 FC, 사낫 나프트 FC, 에스테글랄을 차례로 물리치고 결승에 진출했다. 2013년 하즈피 컵 결승에서 페르세폴리스를 승부차기 끝에 4대2로 꺾고 지난 10년간 4번째 국내 컵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세파한 감독으로서 두 번째 시즌에는 리그 3위를 기록하며 우승팀 에스테글랄에 승점 3점 뒤졌다.

2014년 9월 8일, 크란차르는 미발표된 이유로 세파한 감독직에서 사임했으며, 호세인 파라키가 그의 후임으로 부임했다.
2015년 2월 7일, 크란차르는 카타르 도하를 연고로 하는 클럽 알아흘리 SC (도하)의 새로운 감독으로 임명되며 2년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2016년 2월, 부진한 성적을 이유로 해고되었다.
2017년 3월 17일, 크란차르는 이란 클럽 세파한 FC로 복귀하며 2년 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2018년 1월 20일, 일련의 부진한 결과 끝에 상호 합의로 세파한과 결별했다.
3.4. 청소년 및 대표팀 지도

2014년 11월 20일, 크란차르는 이란 U-23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2018년 4월 29일, 크란차르는 다시 이란 U-23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이 되며 2020년까지 계약을 체결했다.
4. 개인사
크란차르는 1983년에 결혼하여 아들 니코 크란차르를 두었으며, 니코 또한 프로 축구 선수이다. 그는 독일어에 유창했다.
5. 사망
2021년 3월 1일, 크란차르는 짧지만 심각한 질병으로 6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건강은 자다르에서 악화되어 병원에 입원했으며, 긴급히 자그레브로 이송되었으나 의료진은 그의 생명을 구하지 못했다.
6. 통계
6.1. 선수 통계
클럽 | 시즌 | 리그 | 컵 | 유럽 | 기타 | 총합 | ||||||
---|---|---|---|---|---|---|---|---|---|---|---|---|
디비전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디나모 자그레브 | 1973-74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 12 | 2 | 0 | 0 | - | - | 12 | 2 | ||
1974-75 | 30 | 8 | 3 | 0 | - | - | 33 | 8 | ||||
1975-76 | 31 | 6 | 5 | 3 | - | - | 36 | 9 | ||||
1976-77 | 32 | 9 | 1 | 0 | 10 | 6 | - | 43 | 15 | |||
1977-78 | 18 | 9 | 2 | 0 | - | - | 20 | 9 | ||||
1978-79 | 26 | 13 | 0 | 0 | - | - | 26 | 13 | ||||
1979-80 | 32 | 14 | 6 | 5 | 2 | 0 | - | 40 | 19 | |||
1980-81 | 17 | 5 | 2 | 0 | 2 | 0 | - | 21 | 5 | |||
1981-82 | 17 | 12 | 3 | 2 | 0 | 0 | - | 20 | 14 | |||
1982-83 | 29 | 13 | 4 | 9 | 2 | 0 | - | 35 | 22 | |||
1983-84 | 17 | 7 | 2 | 0 | 2 | 2 | - | 21 | 9 | |||
총합 | 261 | 98 | 28 | 19 | 18 | 8 | 0 | 0 | 307 | 125 | ||
라피트 빈 | 1983-84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13 | 6 | 6 | 2 | 2 | 1 | - | 21 | 9 | |
1984-85 | 30 | 17 | 7 | 3 | 9 | 1 | - | 46 | 21 | |||
1985-86 | 34 | 23 | 5 | 2 | 6 | 1 | - | 45 | 26 | |||
1986-87 | 28 | 18 | 7 | 1 | 3 | 2 | 1 | 1 | 39 | 22 | ||
1987-88 | 31 | 17 | 2 | 0 | 4 | 3 | 1 | 0 | 38 | 20 | ||
1988-89 | 33 | 17 | 1 | 3 | 2 | 1 | 1 | 0 | 37 | 21 | ||
1989-90 | 27 | 8 | 4 | 3 | 6 | 2 | - | 37 | 13 | |||
1990-91 | 5 | 0 | 1 | 0 | 0 | 0 | - | 6 | 0 | |||
총합 | 201 | 106 | 33 | 14 | 32 | 11 | 3 | 1 | 269 | 132 | ||
장크트푈텐 | 1990-91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12 | 2 | - | - | - | 12 | 2 | |||
커리어 총합 | 467 | 204 | 62 | 33 | 50 | 19 | 3 | 1 | 582 | 257 |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전 | 득점 |
---|---|---|---|
유고슬라비아 | 1977 | 2 | 0 |
1978 | 1 | 0 | |
1979 | 1 | 2 | |
1980 | 1 | 0 | |
1981 | 0 | 0 | |
1982 | 1 | 1 | |
1983 | 5 | 0 | |
총합 | 11 | 3 | |
크로아티아 | 1990 | 2 | 1 |
총합 | 2 | 1 |
6.1.1. 국가대표팀 득점
번호 | 날짜 | 장소 | 출전 | 상대 | 득점 | 결과 | 대회 | |
---|---|---|---|---|---|---|---|---|
유고슬라비아 득점 | ||||||||
1 | 1979년 11월 14일 | 카라조르제 스타디움, 노비사드, 유고슬라비아 | 4 | 키프로스 | 1-0 | 5-0 | UEFA 유로 1980 예선 | |
2 | 2-0 | |||||||
3 | 1982년 12월 15일 | 포드고리차 시립 경기장, 티토그라드, 유고슬라비아 | 6 | 웨일스 | 3-1 | 4-4 | UEFA 유로 1984 예선 | |
크로아티아 득점 | ||||||||
1 | 1990년 12월 22일 | 칸트리다 스타디움, 리예카, 유고슬라비아 | 2 | 루마니아 | 1-0 | 2-0 | 친선 경기 |
6.2. 지도자 통계
팀 | 부임 | 해임 | 기록 | |||||||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률 % | |||
세게스타 | 1992년 7월 | 1994년 5월 | 64 | 22 | 15 | 27 | 79 | 88 | -9 | 34.38 |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 1994년 10월 27일 | 1996년 6월 5일 | 70 | 48 | 12 | 10 | 170 | 59 | +111 | 68.57 |
사모보르 | 1997년 5월 | 1998년 1월 | 10 | 9 | 1 | 0 | 26 | 8 | +18 | 90.00 |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 1998년 2월 16일 | 1998년 10월 24일 | 35 | 23 | 7 | 5 | 73 | 31 | +42 | 65.71 |
엘마스리 | 1999년 2월 | 2000년 8월 | 30 | 20 | 5 | 5 | 44 | 10 | +34 | 66.67 |
마르소니아 | 2000년 11월 | 2001년 3월 | 9 | 3 | 2 | 4 | 17 | 18 | -1 | 33.33 |
자그레브 | 2001년 4월 | 2002년 5월 | 41 | 21 | 9 | 11 | 83 | 49 | +34 | 51.22 |
리예카 | 2002년 6월 | 2002년 12월 | 22 | 5 | 3 | 14 | 23 | 33 | -10 | 22.73 |
자그레브 | 2003년 6월 | 2004년 2월 | 12 | 3 | 3 | 6 | 11 | 15 | -4 | 25.00 |
크로아티아 | 2004년 7월 | 2006년 8월 | 25 | 11 | 8 | 6 | 29 | 15 | +14 | 44.00 |
페르세폴리스 | 2009년 7월 | 2009년 12월 | 21 | 8 | 9 | 4 | 31 | 24 | +7 | 38.10 |
몬테네그로 | 2010년 2월 | 2011년 9월 | 12 | 6 | 2 | 4 | 14 | 11 | +3 | 50.00 |
세파한 | 2011년 10월 | 2014년 9월 | 120 | 62 | 34 | 24 | 181 | 108 | +73 | 51.67 |
알아흘리 | 2015년 2월 | 2016년 2월 | 36 | 17 | 11 | 8 | 55 | 37 | +18 | 47.22 |
디나모 자그레브 | 2016년 7월 | 2016년 9월 | 16 | 11 | 2 | 3 | 28 | 18 | +10 | 68.75 |
세파한 | 2017년 3월 | 2018년 1월 | 27 | 8 | 9 | 10 | 30 | 29 | +1 | 29.63 |
이란 U23 | 2018년 4월 | 2019년 5월 | 18 | 9 | 3 | 6 | 30 | 18 | +12 | 50.00 |
총합 | 568 | 286 | 135 | 147 | 924 | 571 | +353 | 50.35 |
7. 수상 경력
7.1. 선수 시절 수상
- 디나모 자그레브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1981-82
- 유고슬라비아 컵: 1980, 1983
- 유고슬라비아 유스 컵: 1973
- 라피트 빈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1986-87, 1987-88
- 오스트리아 컵: 1984, 1985, 1987
- 오스트리아 슈퍼컵: 1986, 1987, 1988
- 유고슬라비아 U-21 대표팀
-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1978
- 개인
- GNK 디나모 자그레브 역대 베스트 일레븐
7.2. 지도자 시절 수상
- 디나모 자그레브
- 크로아티아 1부 리그: 1995-96, 1997-98
- 크로아티아 컵: 1996, 1998
- NK 자그레브
- 크로아티아 1부 리그: 2001-02
- 세파한
- 이란 프로리그: 2011-12
- 하즈피 컵: 2012-13
- 개인
- 프라뇨 부차르 국가 스포츠상: 2005
- 이란 올해의 감독: 2012
- 이란 축구 연맹상 시즌의 감독: 2012-13
8. 평가 및 영향력
즐라트코 크란차르는 크로아티아 축구의 상징적인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선수 시절 GNK 디나모 자그레브와 SK 라피트 빈에서 수많은 우승을 차지하며 뛰어난 공격수로 이름을 날렸다. 특히 디나모 자그레브의 24년 만의 리그 우승을 이끄는 등 클럽의 황금기를 함께했다.
지도자로서도 그는 여러 클럽에서 성공을 거두었으며, 특히 이란 프로리그의 세파한 FC를 이끌고 우승을 차지하는 등 해외에서도 지도력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시절 2006 FIFA 월드컵 본선에서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고, 당시 컨디션이 좋지 않던 아들 니코 크란차르를 계속 기용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시절에는 알코올 중독 문제가 제기되며 해임되는 등 개인적인 어려움도 겪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크로아티아 축구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