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와 경력
1.1. 초기 생애와 교육
주앙 카브라우 지 멜루 네투는 1920년 1월 6일 브라질 페르남부쿠주의 주도인 헤시피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대부분을 그의 가족이 소유한 사탕수수 농장에서 보냈다. 그의 가족 배경은 문학계와 학술계에 영향을 미친 인물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특히, 그는 브라질의 유명한 시인인 마누엘 반데이라와 저명한 사회학자 질베르투 프레이리의 사촌이었다. 1940년에 그의 가족은 리우데자네이루로 거주지를 옮겼다.
1.2. 외교계 입문과 가정 생활
리우데자네이루로 이주한 지 2년 후인 1942년, 멜루 네투는 그의 첫 시집 페드라 두 소누(Pedra do Sono페드라 두 소누포르투갈어, '잠의 돌')를 자비로 출판했다. 이 시집은 340부가 인쇄되었다. 1945년에는 외교관 직위에 지원하여 합격했으며, 이후 그의 인생 대부분을 외교관으로 보냈다. 이듬해인 1946년, 그는 스텔라 마리아 바르보사 지 올리베이라와 결혼하여 다섯 자녀를 두었다.
1.3. 외교 활동과 문학적 발전
멜루 네투는 외교관으로서 여러 국가에서 근무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특히 스페인에서 오랜 기간 근무했으며, 세비야에서의 경험은 그의 시에 명백한 영향을 미쳤다. 1956년, 멜루 네투는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인 모르치 이 비다 세베리나를 출판했다. 이후 1968년에는 브라질 문학 아카데미의 37번째 의석을 차지하는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984년에는 포르투 주재 브라질 영사로 부임했으며, 3년 후 리우데자네이루로 돌아왔다.
1.4. 말년과 사망
1986년, 멜루 네투는 말리 지 올리베이라와 재혼했다. 그로부터 2년 뒤인 1988년, 그는 대사직에서 사임하고 외교관 생활을 은퇴했다. 주앙 카브라우 지 멜루 네투는 1999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7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50년이 넘는 작가 경력 동안 총 18권의 시집과 2편의 희곡을 출판하며 브라질 문학계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2. 시의 특징과 주제
주앙 카브라우 지 멜루 네투의 시는 그의 독특한 시적 스타일과 철학, 그리고 사회적 현실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반영한다. 그의 시는 영감보다는 엄격한 작업을 통해 탄생하며, 이는 브라질의 빈곤과 불평등이라는 현실을 날카롭게 포착한다.
2.1. 시적 스타일과 철학
멜루 네투 스스로 '엔지니어'라는 별명을 즐겨 사용했는데, 이는 그의 시가 마치 건축가가 건물을 설계하듯이 인내심 있고 명석한 작업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그의 시는 초기부터 탁월한 이미지 묘사력을 특징으로 했다. 그의 첫 시집 페드라 두 소누에 대해 안토니우 칸디두는 멜루 네투가 입체주의와 초현실주의로부터 영향을 받았음을 지적하며, 그의 시가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이미지의 축적을 통해 구성되며, 단어를 거의 회화적인 방식으로 사용한다고 언급했다.
멜루 네투는 "시란 감정에서 촉발된 영감의 산물이 아니라, 시인의 인내심 있고 명석한 작업의 산물이다"라고 말하며 자신의 시적 철학을 밝혔다. 그는 전통적인 5음절 또는 7음절의 운율을 유지하면서도 사선 각운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독특한 소리를 만들어냈다.
2.2. 사회 및 지역적 주제
멜루 네투는 자신의 고향인 페르남부쿠주의 사회적 현실에 깊이 천착했다. 1950년에 쓰인 그의 첫 장편시 깃털 없는 개(O Cão sem Plumas오 캉 상 플루마스포르투갈어)에서 그는 카피바리비 강에 의존하여 살아가는 가난한 계층의 삶과 사탕수수 공장의 힘든 노동을 묘사했다. 3년 후, 강(O Rio오 히우포르투갈어)에서는 그 자신이 강의 목소리가 되어 강줄기의 흐름과 그 강이 지나가는 마을, 풍경들을 1인칭 시점으로 서술했다. 이처럼 그의 작품은 브라질 북동부 지역의 빈곤과 불평등이라는 사회적 현실을 생생하게 다루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2.3. 현대 시에 미친 영향
멜루 네투의 작품은 후대 브라질 시 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브라질 구체시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아우구스투 지 캄푸스는 멜루 네투에게 진 빚을 명확히 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는 브라질 시에 선례가 없다고 말할 수도 있지만, 그의 작품은 결과(후속작품들)를 낳았다. 그것은 바로 구체시이며, 감상적이지 않고 객관적인 이 시적 언어, 구체성의 시, 비판적인 시를 지탱하고, 이어가고, 확장하고, 더 넓은 길로 이끌 것이다. 주앙의 시가 바로 그러하다." 이는 멜루 네투의 시가 후대 브라질 시인들에게 형식적 엄격함과 객관적이고 비판적인 시학의 중요성을 일깨워주었음을 보여준다.
3. 주요 작품
주앙 카브라우 지 멜루 네투는 다수의 중요한 시집과 희곡을 출판했다.
3.1. 시집
- 1942년: 페드라 두 소누(Pedra do Sono잠의 돌포르투갈어)
- 1943년: 오스 트레스 말-아마두스(Os Três Mal-Amados사랑받지 못한 세 사람포르투갈어)
- 1945년: 오 엔젠헤이루(O Engenheiro엔지니어포르투갈어)
- 1947년: 프시콜로지아 다 콤포시상 콤 아 파불라 지 안피옹 이 안치오지(Psicologia da Composição com a Fábula de Anfion e Antiode암피온과 안티오데의 우화를 담은 구성의 심리학포르투갈어)
- 1950년: 오 캉 상 플루마스(O Cão sem Plumas깃털 없는 개포르투갈어)
- 1953년: 오 히우 오우 렐라상 다 비아젠 퀘 파스 오 카피바리비 지 수아 나센치 아 시다지 두 헤시피(O Rio ou Relação da Viagem que Faz o Capibaribe de Sua Nascente à Cidade do Recife강 또는 카피바리비 강이 발원지에서 헤시피 시까지 흐르는 여정에 대한 기록포르투갈어)
- 1960년: 도이스 파를라멘투스(Dois Parlamentos두 의회포르투갈어)
- 1960년: 콰데르나(Quaderna콰데르나포르투갈어)
- 1966년: 아 에두카상 펠라 페드라(A Educação pela Pedra돌을 통한 교육포르투갈어)
- 1975년: 뮤제우 지 투두(Museu de Tudo모든 것의 박물관포르투갈어)
- 1980년: 아 이스콜라 다스 파카스(A Escola das Facas칼 학교포르투갈어)
- 1984년: 아우토 두 프라지(Auto do Frade수도사의 길포르투갈어)
- 1985년: 아그레스치스(Agrestes아그레스치스포르투갈어)
- 1987년: 크리미 나 칼리 렐라토르(Crime na Calle Relator렐라토르 거리의 범죄포르투갈어)
- 1990년: 프리메이루스 포에마스(Primeiros Poemas첫 시들포르투갈어)
- 1990년: 세빌랴 안당두(Sevilha Andando세비야를 거닐며포르투갈어)
3.2. 희곡
- 1955년: 모르치 이 비다 세베리나(Morte e Vida Severina세베리나의 삶과 죽음포르투갈어)는 엘리자베스 비숍에 의해 '세베리누의 삶과 죽음'으로 일부 번역되었다.
4. 수상 및 인정
주앙 카브라우 지 멜루 네투는 생애 동안 여러 중요한 문학상과 명예를 얻으며 브라질 및 국제 문학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노벨 문학상 후보로 꾸준히 거론되었다는 점에서 그의 문학적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1968년에 그는 브라질 문학 아카데미의 37번째 의석을 차지하는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990년에는 포르투갈어권 최고 문학상인 카몽이스상을 수상했다. 이어 1992년에는 미국 오클라호마 대학교가 수여하는 국제 문학상인 노이슈타트 국제 문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현재까지 이 상을 받은 유일한 브라질 시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수상 경력과 함께, 그는 사망할 때까지 노벨 문학상의 영원한 경쟁자로 간주되며 그 가능성이 꾸준히 언급되었다.
5. 유산과 평가
주앙 카브라우 지 멜루 네투는 브라질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중요한 인물로 평가된다. 그의 시는 엄격하고 건축적인 구성, 그리고 형식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로 특징지어진다. 그는 감상적인 서정성을 배제하고 객관적이며 비판적인 시학을 추구함으로써 후대의 브라질 시인들, 특히 구체시 운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의 작품은 브라질 북동부의 사회적 현실, 특히 빈곤과 불평등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며, 이는 그의 문학이 단순한 미학적 탐구를 넘어 사회 참여적인 성격을 띠고 있음을 보여준다.
멜루 네투는 카몽이스상과 노이슈타트 국제 문학상 수상자이자 꾸준한 노벨 문학상 후보로 언급될 만큼 국제적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그의 작품은 브라질 문학의 한계를 확장하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으며, 현대 브라질 시의 중요한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의 문학적 유산은 여전히 많은 학자와 시인들에게 연구되고 영감을 주고 있으며, 그의 이름은 브라질 문학사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