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젤그 갈레시치는 1979년 2월 16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풀라에서 태어났으며, 현재는 크로아티아 이스트라 주 풀라에 거주하고 있다. 그는 10세 때 태권도를 시작하여 이 스포츠의 달인으로 성장했다. 갈레시치는 ITF 유럽 챔피언에 3회, ITF 세계 챔피언에 2회, 그리고 ITC 풀 컨택트 세계 챔피언에 2회 등극하며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또한 그는 영국에서 열린 컴뱃 스포츠 오픈 트라이얼 아마추어 규칙 경기에서 무패를 기록했으며, 이 경기들 중 단 한 경기를 제외하고는 모두 1분 이내에 승리했다. 그는 태권도 4단 자격도 보유하고 있다.
2. 종합격투기 경력
젤그 갈레시치는 2004년부터 전문 종합격투기 선수로서 활동을 시작했으며, 다양한 국제 및 지역 단체에서 인상적인 경력을 쌓았다. 그의 경력은 주로 미들급에서 펼쳐졌으나, 이후 라이트헤비급으로 체급을 올려 경기를 치르기도 했다.
2.1. 초기 경력
갈레시치의 첫 프로 종합격투기 경기는 2004년 9월 12일 '얼티밋 컴뱃 11: 짐승의 분노'(Ultimate Combat 11: Wrath of the Beast) 대회에서 열렸다. 그는 이 경기에서 짐 벤틀리를 상대로 심판 중단으로 1라운드 1분 16초 만에 KO 승을 거두었다. 이후 2005년 4월 10일 '어반 디스트럭션 1'(Urban Destruction 1)에서 폴 테일러에게 3라운드 TKO 패배를 당했으나, 같은 해 7월 30일 '어반 디스트럭션 2'(Urban Destruction 2)에서 존 플레밍에게 1라운드 KO 승을 거두며 재기했다.
2.2. 케이지 레이지 (Cage Rage)
갈레시치는 영국의 주요 종합격투기 단체인 케이지 레이지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그는 2006년 2월 4일 '케이지 레이지 15'(Cage Rage 15)에서 마이클 홀름스에게 1라운드 TKO 승을 거두었고, 2006년 7월 1일 '케이지 레이지 17'(Cage Rage 17)에서 커티스 스타우트를 1라운드 1분 10초 만에 암바로 제압했다. 2006년 9월 30일 '케이지 레이지 18'(Cage Rage 18)에서는 제임스 에번스니콜에게 1라운드 TKO 승을 추가했다.
그의 케이지 레이지 경력의 정점은 2006년 12월 9일 '케이지 레이지 19'(Cage Rage 19)에서 마크 위어를 상대로 펼쳐진 케이지 레이지 영국 미들급 챔피언십 경기였다. 갈레시치는 이 경기에서 1라운드 50초 만에 펀치에 의한 KO 승을 거두며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
2.3. PRIDE 및 HERO'S
케이지 레이지 챔피언으로서의 활약에 힘입어, 갈레시치는 일본의 주요 격투기 단체인 PRIDE와 K-1 히어로즈에 진출했다.
2007년 4월 8일, 그는 PRIDE 34에서 타키모토 마코토를 상대로 PRIDE 데뷔전을 치렀으나, 1라운드 5분 40초 만에 기무라 록에 의한 서브미션 패배를 기록했다.
같은 해 9월 17일, 히어로즈 10 대회에서 윤동식을 상대로 히어로즈 데뷔전을 가졌지만, 1라운드 1분 29초 만에 암바에 의한 서브미션 패배를 당했다.
이후 2007년 10월 28일 K-1 히어로즈 코리아 2007에서 김태영과 맞붙어 1라운드 36초 만에 하이킥으로 인한 김태영의 눈 부상으로 닥터 스톱 TKO 승을 거두며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다.
2.4. 드림 (DREAM)
갈레시치는 2008년 DREAM 미들급 그랑프리에 참가하며 일본 무대에서 활약을 이어갔다.
2008년 4월 29일 드림 2 미들급 그랑프리 1회전에서 마고메드 술타나크메도프를 상대로 1라운드 1분 40초 만에 암바로 승리하며 순조롭게 출발했다.
이어 6월 15일 드림 4 2회전에서 김태영과 재대결하여, 1라운드 1분 5초 만에 김태영의 오른쪽 팔꿈치 탈구로 인한 TKO 승을 거두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그러나 9월 23일 드림 6 준결승전에서 호나우도 소우자와 맞붙어 1라운드 1분 27초 만에 암바로 패배하며 그랑프리에서 탈락했다.
2009년 10월 26일, DREAM 최초의 케이지 대회인 드림 12에서 사쿠라바 카즈시와 대결했으나, 1라운드 1분 40초 만에 니바에 의한 서브미션 패배를 당했다. 이 경기를 기점으로 그의 소속팀은 런던 슛파이터스로 변경되었다.
사쿠라바에게 패한 후 15개월간의 공백기를 가졌던 갈레시치는 2011년 3월 5일 영국 리버풀에서 열린 OMMAC 9 대회에 복귀하여 리 채드윅을 상대로 1라운드 2분 40초 만에 펀치 KO 승을 거두며 성공적인 복귀전을 치렀다.
2.5. 벨라토르 FC (Bellator Fighting Championships)
갈레시치는 미국의 주요 종합격투기 단체인 벨라토르 FC 토너먼트에도 참가했다.
2011년 9월 17일 벨라토르 50에서 열린 벨라토르 시즌 5 미들급 토너먼트 8강전에서 알렉산더 슐레멘코를 상대로 1라운드 1분 55초 만에 스탠딩 길로틴 초크에 의한 서브미션 패배를 당하며 탈락했다.
이후 그는 라이트헤비급으로 체급을 올려 2012년 벨라토르 라이트헤비급 토너먼트에 참가했다. 2012년 6월 22일 벨라토르 71 8강전에서 아틸라 베그에게 1라운드 1분 만에 리어네이키드 초크에 의한 서브미션 패배를 당하며 또 다시 토너먼트에서 고배를 마셨다.
2.6. 슈퍼 파이트 리그 및 UCMMA
벨라토르에서의 활동 외에도 갈레시치는 다른 단체에서도 경기를 치렀다.
2012년 5월 6일 인도에서 열린 슈퍼 파이트 리그의 세 번째 이벤트인 SFL 3에서 전 WEC 라이트헤비급 챔피언 더그 마셜과 대결했다. 갈레시치는 이 경기에서 1라운드 34초 만에 플라잉 니 킥에 의한 KO 승을 거두며 인상적인 승리를 기록했다.
2013년 2월 2일에는 UCMMA 라이트헤비급 챔피언십을 놓고 린턴 바셀과 맞붙었다. 이 경기에서 갈레시치는 1라운드 4분 31초 만에 펀치 연타에 의한 TKO 패배를 당하며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
그의 마지막 프로 종합격투기 경기는 2013년 10월 25일 크로아티아 자그레브에서 열린 파이널 파이트 챔피언십 8(Final Fight Championship 8) 대회에서 리코 로드리게스를 상대로 치러졌으며, 1라운드 2분 10초 만에 암바에 의한 서브미션 패배를 기록했다. 이 경기는 95NaN 경 kg의 캐치웨이트로 진행되었다.
3. 킥복싱 경력
젤그 갈레시치는 종합격투기 외에 킥복싱 무대에도 도전했다. 그의 킥복싱 데뷔전은 2014년 7월 12일 일본에서 열린 R.I.S.E. 100 대회에서 글로리 랭킹 12위의 우에하라 마코토를 상대로 치러졌다. 갈레시치는 경기 초반 펀치와 니킥으로 우에하라를 다운시켰으나, 성급하게 공격을 이어가다 1라운드 1분 25초 만에 라이트 훅에 의한 KO 패배를 당했다.
4. 챔피언십 및 업적
젤그 갈레시치는 그의 격투기 경력 전반에 걸쳐 다음과 같은 주요 타이틀과 업적을 달성했다.
- 종합격투기
- 케이지 레이지
- 케이지 레이지 영국 미들급 챔피언십 (1회)
- DREAM
- 2008년 DREAM 미들급 그랑프리 준결승 진출
- 케이지 레이지
5. 격투 스타일 및 별명
젤그 갈레시치는 태권도, 킥복싱, 가라테를 기반으로 한 타격 중심의 격투 스타일을 구사한다. 특히 그의 태권도 배경에서 비롯된 다채로운 킥 기술과 변칙적인 타격으로 상대를 공략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는 '벤케이'(弁慶벤케이일본어)라는 별명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이는 일본의 전설적인 승병 무사시보 벤케이에서 따온 것으로, 그가 친일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한때 '리틀 크로캅'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일본에서는 '크로아티아의 요도'(크로아티아의 마검)라는 별명으로도 불렸다.
갈레시치의 등장 음악은 린킨 파크의 '크롤링'(Crawling크롤링영어)이었다. 그의 신장은 188 cm, 체중은 약 84 kg이며, 리치는 183 cm이다.
6. 경력 기록
젤그 갈레시치의 종합격투기 및 킥복싱 경기 기록은 다음과 같다.
6.1. 종합격투기 기록
결과 | 전적 | 상대 | 방식 | 대회 | 날짜 | 라운드 | 시간 | 장소 | 비고 |
---|---|---|---|---|---|---|---|---|---|
패 | 11-9 | 리코 로드리게스 | 서브미션 (암바) | 파이널 파이트 챔피언십 8 | 2013년 10월 25일 | 1 | 2:10 | 자그레브, 크로아티아 | 캐치웨이트 95kg 경기. |
패 | 11-8 | 린턴 바셀 | TKO (펀치) | UCMMA 32 | 2013년 2월 2일 | 1 | 4:31 | 런던, 영국 | UCMMA 라이트헤비급 챔피언십 경기. |
패 | 11-7 | 아틸라 베그 | 서브미션 (리어네이키드 초크) | 벨라토르 71 | 2012년 6월 22일 | 1 | 1:00 | 체스터, 미국 | 라이트헤비급 데뷔전; 벨라토르 2012 라이트헤비급 토너먼트 8강전. |
승 | 11-6 | 더그 마셜 | KO (플라잉 니 킥) | 슈퍼 파이트 리그 3 | 2012년 5월 6일 | 1 | 0:34 | 뉴델리, 인도 | |
패 | 10-6 | 알렉산더 슐레멘코 | 서브미션 (스탠딩 길로틴 초크) | 벨라토르 50 | 2011년 9월 17일 | 1 | 1:55 | 할리우드, 미국 | 벨라토르 2011 미들급 토너먼트 8강전. |
승 | 10-5 | 리 채드윅 | KO (펀치) | OMMAC 9: Enemies | 2011년 3월 5일 | 1 | 2:40 | 리버풀, 영국 | |
패 | 9-5 | 사쿠라바 카즈시 | 서브미션 (니바) | 드림 12 | 2009년 10월 26일 | 1 | 1:40 | 오사카, 일본 | |
패 | 9-4 | 호나우도 소우자 | 서브미션 (암바) | 드림 6: 미들급 그랑프리 2008 결승전 | 2008년 9월 23일 | 1 | 1:27 | 사이타마, 일본 | DREAM 미들급 그랑프리 준결승전. |
승 | 9-3 | 김태영 | TKO (팔꿈치 부상) | 드림 4: 미들급 그랑프리 2008 2nd 라운드 | 2008년 6월 15일 | 1 | 1:05 | 요코하마, 일본 | DREAM 미들급 그랑프리 8강전. |
승 | 8-3 | 마고메드 술타나크메도프 | 서브미션 (암바) | 드림 2: 미들급 그랑프리 2008 개막전 | 2008년 4월 29일 | 1 | 1:40 | 사이타마, 일본 | DREAM 미들급 그랑프리 1회전. |
승 | 7-3 | 김태영 | TKO (닥터 스톱) | K-1 히어로즈 코리아 2007 | 2007년 10월 28일 | 1 | 0:36 | 서울, 대한민국 | 캐치웨이트 95kg 경기. |
패 | 6-3 | 윤동식 | 서브미션 (암바) | 히어로즈 10 | 2007년 9월 17일 | 1 | 1:29 | 요코하마, 일본 | |
패 | 6-2 | 타키모토 마코토 | 서브미션 (기무라 록) | PRIDE 34 | 2007년 4월 8일 | 1 | 5:40 | 사이타마, 일본 | |
승 | 6-1 | 마크 위어 | KO (펀치) | 케이지 레이지 19 | 2006년 12월 9일 | 1 | 0:50 | 런던, 영국 | 케이지 레이지 영국 미들급 챔피언십 획득. |
승 | 5-1 | 제임스 에번스니콜 | TKO (스톰프 및 펀치) | 케이지 레이지 18 | 2006년 9월 30일 | 1 | 2:02 | 런던, 영국 | |
승 | 4-1 | 커티스 스타우트 | 서브미션 (암바) | 케이지 레이지 17 | 2006년 7월 1일 | 1 | 1:10 | 런던, 영국 | |
승 | 3-1 | 마이클 홀름스 | TKO (펀치) | 케이지 레이지 15 | 2006년 2월 4일 | 1 | 1:41 | 런던, 영국 | |
승 | 2-1 | 존 플레밍 | KO (펀치) | 어반 디스트럭션 2 | 2005년 7월 30일 | 1 | N/A | 브리스틀, 영국 | |
패 | 1-1 | 폴 테일러 | TKO (펀치) | 어반 디스트럭션 1 | 2005년 4월 10일 | 3 | 1:42 | 브리스틀, 영국 | |
승 | 1-0 | 짐 벤틀리 | KO (펀치) | 얼티밋 컴뱃 11: 짐승의 분노 | 2004년 9월 12일 | 1 | 1:16 | 브리스틀, 영국 |
6.2. 킥복싱 기록
결과 | 상대 | 방식 | 대회 | 날짜 | 라운드 | 시간 | 장소 |
---|---|---|---|---|---|---|---|
패 | 우에하라 마코토 | KO (라이트 훅) | R.I.S.E. 100 | 2014년 7월 12일 | 1 | 1:25 | 도쿄, 일본 |